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수능대비 > 국어영역
· ISBN : 9788968191800
· 쪽수 : 478쪽
· 출판일 : 2015-04-06
책 소개
목차
<문법 1>
[1] 국어와 앎
1. 언어의 본질
1-1. 언어와 인간
1-2. 언어의 특성
① 언어의 기호성 ② 언어의 자의성 ③ 언어의 규칙성 ④ 언어의 체계성 ⑤ 언어의 창조성
⑥ 언어의 사회성 ⑦ 언어의 역사성
2. 국어의 구조
2-1. 음운 (음운론)
2-1-1. 음소
① 자음 ㉠ 성대의 울림 여부 ㉡ 조음 방법 ㉢ 조음 위치
② 모음 ㉠ 단모음 ㉡ 이중모음
2-1-2. 운소
장단, 연접, 억양
2-1-3. 음운의 변동
① 음운의 교체
㉠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음운의 동화
① 자음 동화 ㉮ 비음화 ㉯ 유음화 ㉰ 경음화 ㉱ 구개음화
② 모음 동화 ㉮ 전설 모음화
㉢ 두음 법칙
㉣ 사잇소리 현상
② 음운의 축약
㉠ 자음 축약(거센소리되기)
㉡ 모음 축약
③ 음운의 탈락
㉠ 자음 탈락 ① 자음군 단순화 ② ‘ㄹ’ 탈락 ③ ‘ㅎ’ 탈락 ④ 두음법칙
㉡ 모음 탈락 (‘으’ 탈락)
④ 음운의 첨가 ㉠ 사잇소리 현상 ‘ㄴ’ 첨가
2-1-4. 기타
① 모음조화 ② 이화
2-2. 단어(형태론)
2-2-1. 형태소
① 형태소의 종류 ㉠ 실질 형태소 ㉡ 형식 형태소 ㉢ 자립 형태소 ㉣ 의존 형태소
② 이형태의 종류 ㉠ 음운론적 이형태 ㉡ 형태론적 이형태
2-2-2. 단어
① 단어의 형성
㉠ 어간
㉡ 어미
㉢ 어근
㉣ 접사
① 접두사 ㉮ 파생 접두사
② 접미사 ㉮ 파생 접미사 ㉯ 굴절 접미사
② 단어 형성 방식
㉠ 단일어
㉡ 복합어
① 합성어 ㉮ 통사적 합성어 ㉯ 비통사적 합성어
② 파생어 ㉮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 ㉯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
2-2-3. 품사
① 불변어 ㉠ 체언
① 명사
② 대명사
③ 수사
㉡ 수식언
① 관형사 ㉮ 성상 관형사 ㉯ 지시 관형사 ㉰ 수 관형사
② 부사 ㉮ 성분 부사 ㉯ 문장 부사
㉢ 관계언 ① 조사 ㉮ 격조사 ㉯ 접속 조사 ㉰ 보조사
㉣ 독립언 ① 감탄사
② 가변어
㉤ 용언
① 동사
② 형용사
㉤-1. 용언의 활용
① 선어말 어미
② 어말 어미
㉮ 종결 어미
㉯ 비종결 어미
㉯-1. 연결어미
ⓐ 대등적 연결 어미
ⓑ 종속적 연결 어미
ⓒ 보조적 연결 어미
㉯-2. 전성어미
ⓐ 명사형 전성 어미
ⓑ 관형사형 전성 어미
ⓒ 부사형 전성 어미
2-3. 문장(통사론)
2-3-1. 문장의 성분
① 주성분 ㉠ 주어 ㉡ 목적어 ㉢ 보어 ㉣ 서술어
② 부속성분 ㉠ 관형어 ㉡ 부사어
③ 독립성분 ㉠ 독립어
2-3-2. 문장의 구조
① 홑문장
② 겹문장
㉠ 안은 문장
① 명사절을 안은 문장
② 서술절을 안은 문장
③ 관형절을 가진 안은 문장
④ 부사절을 가진 안은 문장
⑤ 인용절을 가진 안은 문장
㉡ 이어진 문장 ① 대등적으로 이어진 문장 ②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2-3-3. 국어 문법 범주
① 종결 표현
㉠ 평서문
㉡ 명령문 ① 직접 명령문 ② 간접 명령문
㉢ 청유문
㉣ 의문문 ① 판정 의문문 ② 설명 의문문 ③ 수사 의문문
㉤ 감탄문
② 높임 표현
㉠ 주체 높임법 ① 직접 높임 ② 간접 높임
㉡ 객체 높임법
㉢ 상대 높임법
① 격식체
㉮ (아주높임) 하십시오체
㉯ (예사높임) 하오체
㉰ (예사낮춤) 하게체
㉱ (아주낮춤) 해라체
② 비격식체 ㉮ (높임) 해요체
㉯ (낮춤) 해체
③ 시간 표현
㉠ 시제 ① 과거 시제 ② 현재 시제 ③ 미래 시제
㉡ 상 ① 진행상 ② 완료상
④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 피동 표현 ① 파생적 피동문 ② 통사적 피동문
㉡ 사동 표현 ① 파생적 사동문 ② 통사적 사동문
⑤ 부정 표현
㉠ ‘안’ 부정문 ① 긴 부정문 ② 짧은 부정문
㉡ ‘못’ 부정문 ① 긴 부정문 ② 짧은 부정문
2-4. 담화(화용론)
2-4-1. 담화의 개념
① 발화 ㉠ 직접 발화 ㉡ 간접 발화
② 담화의 구성요소 ㉠ 화자 / 청자 ㉡ 발화(내용) ㉢ 장면(맥락)
2-4-2. 담화의 종류 및 기능
① 정보 제공 담화 ② 호소 담화 ③ 약속 담화 ④ 사교 담화 ⑤ 선언 담화
2-4-3. 매체 담화 ① 신문 매체 ② 방송 매체 ③ 인터넷 매체
2-5. 의미(의미론)
2-5-1. 의미의 종류
① 개념적 의미 ㉠ 다의어 ㉡ 동음이의어
② 내포적 의미 ③ 사회적 의미 ④ 정서적 의미 ⑤ 반사적 의미 ⑥ 연어적 의미 ⑦ 주제적 의미
2-5-2. 의미의 성분 분석
2-5-3. 단어의 관계 ① 유의 관계 ② 반의 관계 ③ 상하 관계 ④ 부분-전체 관계
2-5-4. 문장의 관계 ① 유의 관계 ② 반의 관계 ③ 중의적 문장과 모호한 문장 ④ 통일성과 응집성
[2] 국어와 삶
1. 일상 언어 / 2. 매체 언어 / 3. 사회 언어 / 4. 학술 언어
<문법 2>
[1] 국어와 규범
1. 정확한 발음 1-1. 표준 발음과 표준어 ① 표준 발음법 ② 표준어
2. 올바른 단어 사용
2-1. 한글 맞춤법
2-2.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① 외래어 표기법 ② 로마자 표기법
3. 정확한 문장 표현
3-1. 정확하지 않은 문장의 구분
3-2. 자연스러운 문장의 요건 ① 문법성 ② 적절성
4. 효과적인 담화 구성 4-1. 표준 화법과 언어 예절
[2] 국어와 얼
1. 국어의 변천
1-1. 국어가 걸어온 길 ① 국어의 계통 ㉠ 국어의 형성 ㉡ 국어사의 시대구분
1-2. 국어의 변천
① 음운의 변천 ㉠ 자음의 변천 ㉡ 모음의 변천 ㉢ 성조
② 표기?문법의 변천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③ 어휘의 변천
1-3. 한글의 창제와 문자 생활 ① 한글의 창제 ㉠ 훈민정음 제자원리
① 초성 제자원리
② 중성 제자원리
③ 종성 제자원리
1-4. 선인들의 국어 생활
2. 국어의 미래 2-1. 통일 시대의 국어 / 2-2. 세계 속의 국어 / 2-3. 국어와 인접 분야
부록 : 한글맞춤법 및 표준발음법 327 교재 후기 382
빠른 정답 별책 01 해설 별책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