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산업인력관리공단 > 안전관리분야 > 소방설비
· ISBN : 9788970743264
· 쪽수 : 636쪽
· 출판일 : 2010-01-15
목차
Chapter 1 연 소 공 학
01 필수 아이템
01_연소의 정의
02_연소의 형태
03_연소제어
04_화재공학의 이해
05_기본적 공학이론
02 심화 학습
01_연소효율과 열효율
02_확산화염, 예혼합화염
03_훈소와 자연발화
04_고체에서의 화염확산
05_액체에서의 화염확산
06_정전기
07_연소한계의 영향요소
08_화재 플럼과 Ceiling Jet
09_Flashover
10_분체
11_알고 있어야 할 가스의 연소한계
12_르샤틀리 공식의 유도
13_Oil Quenching 위험성
14_에어로졸 물질의 화재특성과 소화방법
15_플라스틱 열분해 및 연소과정
16_중성대 수식
03 보충 학습
01_열발화이론 : Semenov 이론
02_구획실 실험에 따른 실험식 모음
03_지구온난화(Green House Effect)
04_파이어플럼 (Fire Plume)
05_산소밸런스(산소지수)
06_건축물 화재위험 관련
07_기타 주요 정의 등
08_Burning rate와 Burning Velocity
09_화재성장곡선에서의 방출열량 구하기
10_랭킨-우고니어 곡선
11_화재 지속시간의 정확한 표현
12_소염거리, 소염직경, 최대안전틈새(MESG), 화염일주한계, 안전간격
04 유형 분석
Chapter 2 방화방폭공학
01 필수 아이템
01_폭발의 분류
02_화재, 폭발에 대한 기본이론
03_방염
02 심화 학습
01_유입변압기
02_안전밸브의 특징, 불량원인, 유의점
03_외국에서의 방염규정
04_원자력 발전소
05_반도체 공정
06_전자 / 컴퓨터 / 정보처리 장치의 설치 건축물
07_구획실 화재 시 바닥과 천정의 온도분포
03 보충 학습
01_공동주택 화재원인 및 고찰
02_반도체용 가스
03_화학플랜트 인간공학 응용
04_지진관련 현황사항
05_폭발영향평가 모델
06_석유류 탱크화재 구분 정리
07_사업장 방폭구조 전기기계. 기구. 배선 등의 선정. 설치 및 보수 등에 관한 기준
04 유형 분석
Chapter 3 가스계 소화설비
01 필수 아이템
01_가스계 소화설비에 대한 이해
02_가스계 소화설비의 주요설비 이해
03_기동방식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
04_가스계 소화설비의 가압식과 축압식 작동순서
05_가스계 소화약제량 계산 등
06_선택밸브 동배관 연결
07_가스계 소화설비의 과압
08_가스계 기동장치 설치기준
09_가스계 소화설비 주요 배관설치 기준
10_가스계 저장용기
11_가스계 소화설비 약제량 측정법
12_가스계 시설의 점검 중 주요 지적사항과 문제점
13_가스계 소화설비 작동시험
14_가스계 설비의 NFPA 명칭
15_Engineered system, Pre Engineered system
16_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일반
17_NFPA CO2 개구부 보정
18_가스계 소화약제 방출 시 압력변화
19_전역방출 CO2 설비의 안전 고려사항
20_CO2 소화농도에 대한 이해
21_CO2 소화설비 NFSC 저장용기, 기동장치, 제어반 설치기준
22_CO2 소화설비 점검
23_분말소화설비 일반
24_분말소화설비의 검사, 시험, 보전절차
25_분말 소화약제 검정(미국)
26_청정소화약제 일반
27_FIC 13 I 1
28_FM 200
29_Novec 1230 : FK 5 1 12
30_NAF S-Ⅲ
31_FE13 (HFC 23 : Any Fire)와 HCFC BLEND A
32_Inergen
02 심화 학습
01_소화약제 Soaking Time
02_가스계 소화설비의 화재감지부터 설계농도 도달시간
03_오존층 파괴를 일으키는 원인
04_호스릴 가스계 소화설비
05_국내개발청정 소화약제
03 보충 학습
01_Door Fan Test 필요 이유
02_배관 체적비
03_최근 개발 소화설비
04_청정 소화약제 설비 설계 등 주요사항
05_개구부 보상에 대한 NFPA, GE GAP
06_청정소화약제 시스템설계의 검증과 승인
07_NFPA 할론, 청정 system 수 계산
08_가스계 소화설비 중요사항
09_할론계 청정소화약제의 소화효과
10_청정소화약제의 최대허용농도에 대한 NFPA와 우리나라의 비교
11_청정소화약제의 NFPA에 의한 특성
04 유형 분석
Chapter 4 성능위주설계 /위험성평가
01 필수 아이템
성능위주소방설계
01_성능위주소방설계 개념
02_화재실의 평가
03_성능위주소방설계 절차 및 방법
04_성능, 위험, 피난관련 용어 정의
05_확률론적 모델과 결정론적 모델
06_화재시뮬레이션
07_화재시뮬레이션 종류와 적용 시 고려사항
화재위험평가
01_화재위험평가
02_화재위험평가 절차 등
위험성 평가
01_위험성 평가
02 심화 학습
01_피난분석 프로그램
02_Simulex 피난분석
03_FDS
04_NUREG-1805 : Fire Dynamics Tools(FDTs)
05_FREM 기법 : 유럽건축허가, 보험업무 위험도평가 도구
06_Dow Index : Dow’s Fire & Explosion Index
07_HAZOP : 공정, 운전 문제점 guide word사용
08_PSM 공정안전관리 (Process Safety Management)
09_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
10_독성물질 표기법
11_CA와 Value Engineering
03 보충 학습
01_방재계획과 위험관리
02_방재관련 기관
03_ISO 도시방화관리 등급결정, 기준
04_화재 및 인명안전을 위한 건물 커미셔닝
05_건물의 화재위험성 평가방법
06_원자력 발전소 화재위험평가
07_HPR 보험 (Highly Protected Risk)
08_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04 유형 분석
Chapter 5 제연공학
01 필수 아이템
01_제연설비의 이해
02_제연방식별 적용방법
03_제연설비 설치장소와 제연구획
04_건축법상의 배연설비
05_거실 및 전실 부속실 제연량 설계
06_굴뚝효과와 Smoke Hatch
07_송풍기 특성
02 심화 학습
01_송풍기 성능 전압, 정압계산시 풍도의 수직높이 무시하는 이유
02_중성대
03_틈새누설 풍량식 유도
04_실내차압이 사라지는 시간
05_플랩댐퍼 : 과압 조절
06_제연 급기량 계산
07_최대차압, 최소차압, 국내외 법상 비교
08_BS 5588 Part 4
09_법상의 검토사항 및 점검
10_급기가압 제연설비의 TAB (Testing Adjusting and Balancing)
11_거실제연설비 정밀점검
12_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승강기 승강장 제연설비 종합정밀점검
13_거실 및 부속실 점검 요약
14_도로터널
15_화재안전기준 요약
16_덕트 계산
03 보충 학습
01_쇼핑몰 직접배연방식과 몰 배연방식
02_외부환경의 영향변수 실험
03_유속의 측정
04_덕트 기밀시험 (1.2만족) (KS)
05_송풍기의 선정 및 설치 시 유의사항
06_송풍기 관리상의 여러 가지 문제
07_기타 아이템
04 유형 분석
Chapter 6 위험물/화재조사
01 필수 아이템
위험물
01_위험물의 정의
02_위험물의 종류 및 지정수량
03_위험물의 종류 및 지정수량
04_위험물의 분류한계
05_위험물 관리법의 분류
06_위험물 안전관리법상의 설치기준
07_방유제 설치기준
08_위험물 저장 취급기준
02 심화 학습
01_소화난이도 I 위험물 해당시설
02_유기과산화물 / 무기과산화물
03_경질유, 중질유 비교
04_LNG 저장탱크 Rollover
05_NFPA 위험물 분류
06_특수가연물
07_금속화재 소화용 TMB와 TEC
08_위험물 제조소등에 피뢰침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은 경우
09_LNG와 LPG 특성
10_위험물 TANK 내진 및 내 풍압
11_위험물 저장 Tank 안전장치
12_맹독성 희가스
13_위험물 저장, 취급 사고분석
14_화학물질 분류 및 표지에 대한 세계조화 시스템(GHS)
03 보충 학습
화재 조사
01_발화부 추정방법
02_발화부 추정 5대 원칙
03_물적증거 감식 요령
04_화재 조사
05_화재감식 등 정의
위험물
01_금수성 물질의 화재·폭발 특성
02_금수성물질의 저장·취급시 안전대책
03_금수성 물질의 화재·폭발시 소화방법
04 유형 분석
위험물
Chapter 7 소방전기공학
01 필수 아이템
제1부 감지기
01_감지기 동작방법
02_감지기 설치 대상별 종류
03_감지기 종류별 특징
04_연기감지기
05_불꽃감지기
06_감지선형 감지기
07_Air Sampling Detector
08_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09_감지기 설치기준 (NFSC 요약)
제2부 자동화재탐지 설비
01_자동화재설비 개요
02_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대상 및 설치기준
03_발신기와 수신기
04_R형 수신기 신호전송
05_자동화재 탐지설비 경계구역 설정
06_R형 시스템 각 설비별 입출력
07_자동화재탐지설비 전용수신기와 감시제어반 겸용 복합수신기
제3부 비상전원설비 등
01_축전지설비 종류
02_축전지 충전방식
03_연축전지와 알카리축전지
04_축전지의 결정
05_축전지 용량 계산
06_발전설비
07_비상전원 설치 및 유지관리
08_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 부하전류에 따른 예비전원 용량 계산
09_축전지 용량 계산
10_비상전원 NFSC 요약
제4부 전동기
01_전동기의 정작용과 역작용 등
02_유도전동기
03_역률(교류전원) 정의 및 역률개선 콘덴서
04_고조파
제5부 소방배선 (전선)
01_소방설비의 배선 요약
02_소방설비 종류별 배선
03_내화전선과 내열전선
04_차폐배선
제6부 경보장치 등
01_경보장치 / 시각경보장치
02_비상방송설비
03_누전경보기
04_NFSC 기준 요약
제7부 무선통신 보조설비 등
01_무선통신 보조설비
제8부 유도등 설비 / 비상콘센트 설비
01_조도의 개념
02_유도등
03_NFSC 기준 요약
04_비상콘센트 설비
제9부 기타
01_부 식
02_전류, 전압 측정 및 콘덴서 시험(회로시험기)
03_점검기구
04_소화설비 감시제어반 기준
05_특수감지기
06_공기관식 감지기의 시험
07_R형 복합형 수신기(MXL)
08_Class와 Style
09_P형 수신기 시험방법 및 회로시험 방법
10_발전기 용량계산
11_전압의 종류
12_전압 강하
13_소방시설의 접지
14_소방시설의 절연
02 심화 학습
01_역률과 전력
02_인덕턴스, 커패시턴스, 임피던스, 리액턴스
03_50옴의 특성임피던스
04_빛의 산란
05_광섬유 감지선영 감지기
06_이온화식 감지기와 광전식 감지기
03 보충 학습
01_물질별 연기감지기 동작
02_이온화식 감지기의 스위칭 시간 4종류와 스위치 off 시 tail 현상
03_13. 감지기 점검 판정기준
04_차세대 감지기
05_자동화재탐지 OCS Engineering
06_자탐 경계구역 설정 시 주의사항
07_자탐화재수신기 배터리 용량 (NFSC와 NFPA)
08_소방설비용 비상발전기
09_유도등과 유도표지 기타
10_전선관련 기타
11_수배전반등 소공간 자동소화시스템
12_소방관련 ISO/ TC 21
13_소방현장 지휘용 무선영상 네트워크 장비 및 인명구조 경보기
04 유형 분석
전기공학 1
전기공학 2
Chapter 8 소방기계공학
01 필수 아이템
제1부 수리역학 및 설비 개념
01_기본개념
02_유량 및 유속의 측정
03_베르누이 방정식
04_마찰손실의 계산
05_펌프
06_소방펌프의 댓수 분할
07_배관의 설치 기타사항
08_설계시 소화설비 선정 방법
제2부 소화기, 옥내소화전, 옥외소화전
01_소화기
02_투척용 소화기
03_옥내소화전 배관 [수계소화설비 공통]
04_송수설비 종류
05_소화펌프 기동, 정지 압력의 설정
06_소화펌프 설치 규정 및 유의사항
07_옥내소화전 화재안전기준
08_옥내소화전과 호스릴
09_옥내소화전과 옥외소화전 기능상 구분
10_옥외소화전
제3부 스프링클러 설비 등
01_스프링클러 설비의 종류
02_가압수조 시스템
03_스프링클러의 화재 감지특성과 방사특성
04_스프링클러 헤드의 종류
05_SP헤드 검정기술기준
06_RTI (Response Time Index)
07_연결살수 전용헤드와 SP헤드비교
08_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09_스프링클러 설계기준
10_스프링클러 배관설치 기준
11_탬퍼 스위치
12_Grid 배관
13_수계설비 보온방법
14_SP, 옥내소화전 설비 관리요령
15_스프링클러와 간이스프링클러 설비 비교
16_SP 점검, 정비
17_건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장·단점 및 작동순서
18_건식밸브 작동점검
19_건식밸브 중간챔버
20_Quick opening divice
21_SP설비점검 : 옥내준용제외
22_준비작동식 밸브와 슈퍼비조리판넬
23_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장·단점
24_클래퍼형 프리액션 밸브 세부기능
25_준비작동식 설비의 작동시험 절차
26_간이 SP설비
27_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소화설비
28_ESFR (화재조기진압용) SP설비
29_유수검지장치와 일제개방밸브 설치기준
30_SP 설비 제어반 설치기준
31_SP 음향장치 기동장치 송수구 설치기준
32_수원 및 가압송수장치의 겸용
제4부 포 소화설비
01_포소화설비의 종류
02_포 소화약제
03_고발포와 저발포
04_표면하 주입식 포소화 설비
05_포소화설비 설치기준
06_포헤드. 고정포방출구 설치기준
07_포소화설비 헤드, 방출구 등
08_포소화전
09_포소화설비 점검
제5부 물분무 등 소화설비 및 기타설비
01_Water Mist 소화설비
02_물분무 소화설비
03_연결 송수관 설비
04_소화용수시설 및 기타설비
02 심화 학습
01_관로에 미치는 힘
02_Q = 0.654 D2 유도
03_내압용기응력 : 힘/면적5
04_밸브의 캐비테이션 : 교축 운전 시 발생
05_사이폰 작용 : 물이 흘러 내리고 있을때 h와 최대유량 Q
06_탱크 내 물 배수 소요시간
07_펌프의 양정계산
08_수조내 공기압력
09_소방용 합성수지 배관의 성능시험 등
10_NFPA 위험용도 구분
11_패들형 유수검지장치
12_SP설비의 문제점. 개선
13_옥내소화전과 sp차이점
14_미분무수 System 과 SP 비교
15_건식밸브 방수시간 지연
16_물기둥 현상
17_hardy Cross Method
18_압력수조식 소화설비의 Air Lock 현상
19_주거용 SP와 일반 SP 구분 8가지 특성
20_SP 프리액션 인터록 system
21_Quick Open SP설계 및 초고속 물분무 시스템
22_사수방지 : 쓰이지 않는 물
23_비수계소화약제 선택 시 고려사항
24_포원액과 설비에 관한 유지관리 점검항목과 주기, 성능테스트 관련 변수 등
25_포의 질량손실 Balance
26_최근 시스템 (ILBP / Hot Foam / 분말에어로졸)
27_LPG가스탱크와 유입변압기 물분무 소화 설비
03 보충 학습
01_감압밸브 직병렬 설치
02_무용접 이음배관과 방수형 슬리브
03_SP누설시험(NFPA) 및 Flushing방법
04_스프링클러의 중력 지배모드와 운동량 지배모드
05_APT의 경우 왜 헤드 10개 기준
06_스프링클러 관련 주요사항 요약
07_NFPA PVC 파이프 허용 사용제한
08_격납고 포 적용 시스템
09_포소화설비의 고정식과 반고정식
10_고팽창포 방출속도 설계
11_중, 고팽창포의 사용제한
12_고팽창포 설비의 설치·배치 준수사항 및 저, 고팽창포의 제한사항
13_비속도 보충
04 유형 분석
Chapter 9 건축방재/기타
01 필수 아이템
01_소방기술사의 업무
02_건축물의 방화계획
03_방화구획
04_건축물의 연소확대 방지 대책
05_비상용 승강기
06_건물 내부의 출구 관련 기준
07_자동방화셔터
08_방화문과 방화댐퍼 시험
09_수용인원의 산정
10_계단
11_지하층의 기준
12_내화구조와 내화성능
13_건축물 내부마감재료 적용기준
14_내화·난연·방염의 정의 및 국내 방화방염 제도 개선
15_목조 건축물
16_ISO 내장재의 안전성 평가
17_동일 건축물에 함께 설치 불가용도 : 복합건축물
18_2이상의 소방대상물을 하나의 소방대상물로 볼 수 있는 것
19_헬리포트와 피뢰설비
02 심화 학습
01_건축허가 동의
02_터널의 방호
03_다중이용업소
04_소방시설의 감리
05_초고층 빌딩
06_산불
07_집진설비 위험성
08_연구소 실험실 안전대책
09_전기화재원인
10_케이블 방화대책
11_공업별. 공정별 방화기준
12_대형 건축물
13_렉크식 창고
14_공사장 화재
15_지하구 (지하공간)
16_지하철
17_30년간 10대 인명화재
18_APT방화시설 문제점
19_ATRIUM 방재대책
20_모델하우스 방재대책
21_건축물 Remodeling
22_식용류 화재
03 보충 학습
01_뇌해방지
02_피난
03_NFPA 인명안전코드
04_소방시설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특정소방대상물
05_소방시설 업종별 등록기준
06_엔지니어링 사업대가 기준
07_외국방재기관
08_PL법(Product Liability)
09_HPR 보험 (Highly Protected Risk)
10_보험개발원 소화설비 규정에 의한 설계
11_NFPA 코드명
12_소방시설 점검
13_기타 참고 사항
04 유형 분석
건축방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