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70928174
· 쪽수 : 1030쪽
· 출판일 : 2023-11-30
책 소개
목차
제1부 정치: 제1~6공화정 전 시기를 정치학적 개념으로 접근
제1장 한국정치론
제1절 단일주제를 중심으로 집필된 한국정치론
제2절 여러 주제를 포괄한 한국정치론
제2장 정치이념 개관 및 민족주의
제1절 개관
제2절 민족주의
제3장 자유주의·자유민주주의·민주주의
제1절 일제강점기
제2절 제1공화정~제2공화정 시기
제3절 제3공화정~제4공화정 시기
제4절 제5공화정 시기
제5절 제6공화정 이후
제4장 보수주의·진보주의·민중민주주의·급진주의
제1절 보수주의 대 진보주의
제2절 민중민주주의(급진주의)와 그것에 대한 반론
제5장 정치전통과 정치문화 그리고 정치사회화
제1절 정치전통과 정치적 의식 및 태도
제2절 정치문화
제3절 법률문화
제4절 정치사회화 과정
제6장 정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제1절 자료
제2절 한국 언론의 역사 및 연구방법론
제3절 한국의 언론인
제4절 방송·미디어·광고(홍보)
제5절 언론의 자유와 공정성 그리고 통제
제6절 언론의 정치적·사회적 영향
제2부 제6공화정(노태우정부~문재인정부)의 공통 주제
제1장 민주화와 민주주의에 관한 담론: 국제사회 및 한국사례 연구
제1절 개관
제2절 세계적 차원에서의 조망
제3절 한국의 사례: 전이 또는 이행에 관한 개관
제4절 다른 나라와의 비교 및 개별적 행정부의 비교 등
제5절 전이(이행) 이후의 민주주의(민주화)
제6절 정치발전론
제2장 대통령제와 행정과정 및 관료제
제1절 개관(정치적 리더십 포함)
제2절 대통령: 대통령학 및 대통령직
제3절 행정과정
제4절 관료제
제3장 의회 및 입법과정: 선거를 중심으로
제1절 종합
제2절 의회 및 입법과정
제3절 여론조사
제4절 선거와 투표: 정치참여의 중요한 기제(機制)
제5절 지역주의·지역감정·지역균열과 선거
제6절 정치자금 또는 선거자금
제4장 정당의 행정부와의 관계: 정당을 중심으로
제1절 미군정기 정당에 대한 한국정치학계의 관심
제2절 이승만 대통령 재임기 정당에 대한 한국정치학계의 관심
제3절 민주당 및 진보당 창당 후 정당에 대한 한국정치학계의 관심
제4절 4월혁명부터 5‧16군사정변 직전까지 정당에 대한 한국정치학계의 관심
제5절 5‧16군사정변부터 제4공화정 출범 직전까지 정당에 대한 한국정치학계의 관심
제6절 정당에 대한 한국정치학계의 관심 확대: 1980년대
제7절 정당에 대한 한국정치학계의 관심 확대: 1990년대 이후
제8절 한국야당
제9절 압력단체 또는 이익단체
제5장 지방자치·지방선거·지방행정
제1절 제6공화정 이전의 지방행정 및 지방자치
제2절 지방선거
제3절 지방자치·지방행정·지방재정·지방교육자치제 등
제6장 사법부·헌법재판소·법무부·변호사회·행정안전부·국가정보기구
제1절 개관
제2절 사법부
제3절 헌법재판소
제4절 법무부(검찰)
제5절 변호사
제6절 행정안전부(경찰) 및 국가정보기구
제7장 시민사회·시민단체·시민운동·시민정치
제1절 기본자료
제2절 연구저술: 시민사회
제3절 연구저술: NGO를 중심으로
제8장 진보주의 운동과 사상
제1절 한국의 경제발전 재론: 1980년대 이후의 경제
제2절 노동
제3절 여성운동의 확산과 여성학의 성장
제4절 진보적 사회운동
제3부 제6공화정(노태우정부~문재인정부)의 한반도상황 및 국제관계 쟁점
제1장 남북한 비교
제1절 비교정치학적 개념에서의 비교
제2절 경제·사회·문화·교육
제3절 외교·통일·군사·안보정책
제2장 북한의 핵개발과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제1절 북한의 핵개발과 한반도평화구상
제2절 제네바 합의와 그 이후의 상황전개
제3절 한반도평화체제 구축 및 남북통일의 방안
제3장 동아시아국제관계: 역사적 유산과 분쟁 및 논쟁을 중심으로
제1절 동북아시아의 영토분쟁 및 논쟁
제2절 한중일이 함께 쓴 새로운 교과서의 출판
제3절 동(북)아시아 국제관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