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간호학 일반
· ISBN : 9788973867929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1-02-25
목차
PART I 응급간호·1
Chapter 01 응급간호의 개요······· 3
Section 01 응급의료의 개념······· 5
1. 용어의 정의 5
2. 응급환자의 분류 6
Section 02 응급의료의 법적·윤리적 원칙······· 6
1. 권리와 의무 6
2. 응급의료종사자 7
Section 03 응급의료체계······· 10
1. 응급의료체계 개념 10
2. 응급의료 관련 부처 및 응급의료기관 10
3. 응급의료체계의 활동단계 11
4. 응급의료체계의 운용단계 12
Section 04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13
Section 05 응급간호사의 역할 및 실무 ······· 14
1. 응급간호의 이해 14
2. 응급간호사 14
3. 응급전문간호사 17
Chapter 02 응급환자의 사정······· 21
Section 01 병원 전 응급현장 평가······· 23
1. 사전 평가 23
2. 초기 현장 평가 23
Section 02 응급환자 평가······· 25
1. 1차 평가 25
2. 2차 평가 35
3. 활력징후 40
4. 질병력과 손상에 관한 조사 44
5. 환자의 재평가 50
Section 03 비침습적 평가기구······· 50
1. 맥박산소포화도 측정기 50
2. 호기말 이산화탄소 측정기 52
3. 식도감시기구 54
4. 최대호기량 측정기 54
Section 04 응급환자 중등도 분류······· 55
Chapter 03 응급현장에서의 처치······· 59
Section 01 출혈 응급처치······· 61
1. 환자 사정 62
2. 출혈 환자 응급간호 66
Section 02 발작 응급처치······· 75
1. 발작의 원인 76
2. 발작의 유형 76
3. 경련발작의 처치 78
4. 간질지속증 79
Section 03 쇼크 응급처치······· 80
1. 쇼크의 분류 80
2. 쇼크 환자 평가 82
3. 쇼크의 단계 83
4. 쇼크 환자의 관리 84
Chapter 04 응급의료물품 및 장비······· 93
Section 01 응급의료물품······· 95
1. 백밸브 마스크 95
2. 구인두 기도유지기 96
3. 비인두 기도유지기 96
4. 기관 내 튜브 98
5. 후두마스크 기도유지기 99
6. 기타 기도유지기 99
7. 후두경 100
8. 압력 수액 주입 백 101
9. 마질겸자 101
10. 골내 주사 102
11. 척추 보드 및 경추 보호대 102
Section 02 응급의료장비······· 105
1. 제세동기 105
2. 심전도 및 심전도 모니터 105
3. Syringe pump 및 Infusion pump 107
4. 체외막산소공급기 108
5. 인공호흡기 109
6. Level 1ⓡ H-1200 fast flow fluid warmer 110
7. 저체온요법 110
Chapter 05 심폐소생술과 응급약물······· 117
Section 01 심장정지······· 119
1. 심장정지의 원인 119
2. 심장정지의 발생과정 121
3. 심장정지 환자의 부정맥 121
4. 사망의 과정 121
Section 02 심폐소생술······· 122
1. 생존사슬 123
2. 심폐소생술 적용 연령 구분 125
3. 심폐소생술 표준화 126
4. 심폐소생술의 법적 측면 127
5. 심폐소생술의 원리 127
6. 심폐소생술 중 관상동맥관류압과 뇌관류압 128
7. 심폐소생술 중 순환상태 평가 129
8. 심폐소생술의 시작과 종료 130
Section 03 기본소생술······· 130
1. 반응 확인 및 응급의료체계 활성화 131
2. 맥박과 호흡 확인 132
3. 가슴압박 133
4. 기도유지 135
5. 인공호흡 136
6. 자동 제세동 137
7. 성인과 소아 기본소생술의 차이 140
Section 04 전문소생술······· 141
1. 성인 심장정지 알고리즘 141
2. 성인 심장정지 후 처치 알고리즘 142
3. 심장정지 시 약물투여 경로 143
Section 05 수동 제세동······· 146
1. 제세동의 원리 146
2. 제세동기 종류 146
3. 제세동 파형, 에너지 및 제세동 시행방법 147
Section 06 전기적 심장율동전환······· 148
Section 07 심장정지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149
1. 에피네프린 149
2. 바소프레신 149
3. 아미오다론 149
4. 리도카인 150
Chapter 06 심전도 리듬에 따른 응급간호······· 155
Section 01 심전도의 기본 개념······· 157
1. 심전도의 파형 157
2. 심전도의 기록 160
3. 심전도를 이용한 심박동수의 계산 162
Section 02 심장의 부정맥······· 163
1. 심방성 부정맥 164
2. 심실성 부정맥 167
3. 방실차단 170
4. 심실 무수축 173
5.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의 심전도 리듬 173
Chapter 07 응급상황별 간호······· 183
Section 01 뇌신경계 응급······· 185
1. 신경계 손상 185
2. 뇌순환 장애 189
3. 기타 뇌 응급질환 194
Section 02 호흡기계 응급······· 198
1. 호흡곤란 198
2. 호흡기계 흉통 200
3. 천식 203
4. 기흉 204
5. 폐색전증 206
6. 기도폐쇄 207
7. 일산화탄소 중독 210
Section 03 심혈관계 응급······· 212
1. 관상동맥질환 212
2. 심부전 214
3. 고혈압 218
4. 대동맥 질환 218
Section 04 소화기계 응급······· 220
1. 복통 220
2. 토혈, 하혈 223
3. 충수돌기염 226
4. 급성 복막염 228
5. 장폐색 229
6. 식도정맥류 파열 230
Section 05 다발성 외상 응급······· 232
1. 외상의 응급처치 232
2. 근·골격계 응급 234
3. 연부조직 응급 239
4. 기타 응급 243
Section 06 소아 응급······· 247
1. 발열 247
2. 열성 경련 248
3. 복통 249
4. 장중첩증 251
5. 뇌수막염 253
6. 크룹 증후군 255
7. 안전사고 256
Section 07 기타 응급······· 258
1. 화상 258
2. 중독 261
3. 교상 및 자상 263
4. 과호흡증후군 265
PART II 재난간호·283
Chapter 01 재난간호의 개요······· 285
Section 01 재난의 개념과 유형······· 287
1. 재난의 개념 287
2. 재난의 범위 288
3. 발생 원인에 따른 재난의 분류 289
4. 발생 양상 및 진행 특성에 따른 재난의 분류 290
5. 재난발생 양상의 변화 291
6. 재난발생 시 위기경보단계 291
Section 02 재난간호와 재난관리체계······· 293
1. 재난간호 293
2. 재난관리 체계 298
Section 03 재난 유형에 따른 간호······· 309
1. 자연재난 309
2. 사회재난 314
3. 감염병 재난 322
Chapter 02 재난과 간호실무······· 339
Section 01 재난예방·대비단계에서의 간호실무······· 341
1. 재난대책 수립 341
2. 병원 재난대책 343
3. 재난 대비 기관별 역할 345
4. 안전문화의식 고취 346
5. 대피로 및 대피소 지정 348
Section 02 재난대응단계에서의 간호실무······· 351
1. 현장응급진료소 설치 운영 351
2. 응급환자의 중증도 분류 354
3. 재난현장에서의 통신체계 362
4. 재난 시 병원 내 대응 364
5. 재난 심리지원체계 367
6. 감염관리 370
Section 03 재난복구단계에서의 간호실무······· 377
1. 요구도 사정과 로드맵 작성 377
2. 집단구호 378
3. 심리적 지지 379
참고 문헌······· 389
찾아보기······· 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