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ISBN : 978897429374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00-08-30
목차
001. 발간사 ...5 002. 편집자 서문 ...11 제1장. 한반도 주변 4강과 북한 ...17 I.. 서론 ...17 II.. 21세기 동북아 신질서와 한반도 ...24 III..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의 현황과 전망 ...40 IV.. 결론:동북아 평화구도로의 북한 초대 ...48 제2장. 북 . 미관계 개선과 동북아 평화 ...55 I.. 서론 ...55 II.. 1990년대의 북한의 대미정책의 변화 ...58 III.. 제네바 북.미 기본합의 이후의 미국의 대북한정책의 변화 ...65 IV.. 페리보고서:미국의 새로운 대북정책 구상 ...74 V.. 미 의회의 대북 포용정책 반대 ...81 VI.. 미국 대통령선거와 페리보고서 구상의 전망 ...103 VII.. 결론:북 . 미관계 개선과 동북아 평화 ...110 제3장. 북한 . 중국관계의 변화와 동북아 평화 ...115 I.. 문제제기 ...115 II.. 탈냉전기 북 . 중관계의 변천과정 ...116 III.. 북 . 중관계 변화와 배경 ...124 IV.. 전통적 유대관계를 지속시키는 "전략적 이해관계들" ...134 V.. 항후 북 . 중관계 전망 ...138 제4장. 북 . 일 국교정상화의 일본 국내정치적 제약 ...145 I.. 문제제기 ...145 II.. 북 . 일 수교과정 ...150 III.. 결론:북 . 일관계의 일본 국내정치적 제약 ...167 제5장. 북 . 러 신조약과 동북아 평화 ...171 I.. 서론 ...171 II.. 동북아의 평화를 위협하는 요인들 ...175 III.. 러시아의 동북아정책과 한 . 러관계 ..191 IV.. 북 . 러 신조약과 양국관계 정상화 ...204 제6장. 페리 이니셔티브와 북한 ...227 I.. 페리의 권고 ...228 II.. 김정일 컬러의 표면화 ...229 III.. '김정일 외교' 본격 시동 ...232 IV.. 금후의 전망과 대응책 ...234 제7장. 페리 프로세스와 한 . 일관계 ...239 I.. 서론:한 . 미 . 일관계의 2가지 차원 ...239 II.. '페리 프로세스'와 일본:새로운 미사일문제의 문백 ...241 III.. 일.북 국교정상화 교섭과 '포괄적 해결'의 틀:양국간... 250 IV.. 결론: 일 . 북 간 신뢰양성의 한계 ...255 부록. "21세기 동북아 평화증진과 북한"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