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74645410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9-03-30
책 소개
목차
제 I 편 미국의 중동정책과 중동국가들의 대응 외교
제 1장 서론
제 2장 미국의 대중동구상과 이집트의 대응 외교
Ⅰ 서 론 /9
Ⅱ 미국의 대외정책과 대중동정책의 기조
1. 미국의 외교정책 결정의 논리
2. 부시정부의 대중동정책 기조
3. ‘대중동구상’의 배경과 주요 내용
(1) ‘대중동구상’ 배경과 과정
(2) ‘대중동구상’의 주요 내용
Ⅲ ‘대중동구상’에 대한 이집트의 대응외교
1. 외교정책 결정 요인
2. 외교정책 결정 행위자로서의 대통령
Ⅳ 무바라크 정권의 외교정책 기조와 ‘대중동구상’에 대한 대응외교
Ⅴ 결 론
제 3장 미국의 대중동구성과 사우디아라비아의 대응 외교 정책
Ⅰ 서 론
Ⅱ 분석의 틀
Ⅲ 미국의 대중동구상과 사우디아라비아
1. 민주화와 사우디아라비아
2. 시장화와 사우디아라비아
3. 테러와의 전쟁과 사우디아라비아
Ⅳ 사우디아리비아 대응 외교정책
1. 이익극대화 추구
2. 독자적 안전보장 추구
3. 중동안정화 추구
4. 걸프만(GCC)국가와의 협력
5. 유럽국가 및 아시아 국가와의 협력 강화
Ⅴ 결 론
제 4장 미국의 대중동구상과 시리아의 대응외교
Ⅰ 서 론
Ⅱ 시리아의 외교정책 결정 환경적 기본요인
1. 역사 및 지정학적 요인
2. 문화적 요인
3. 종족 및 종파적 요인
4. 인근국과의 관계
Ⅲ 알-아싸드 정권의 외교정책 목표와 기조
1. 범 아랍민족주의
2. 외교정책 결정구조
Ⅳ 미국의 대중동구상과 시리아의 대응 외교
1. 미국과 중동국가들의 관계(Louise 2005, 283~305)
(1) 미국의 대중동정책 결정시 고려되는 정책적 요소들
(2) 미국의 대중동정책 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국내 요인들
2. 미국과 시리아와의 관계
3. 대중동구상 결정 배경과 요지
4. 아랍국들의 반응
5. 시리아의 대응정책
Ⅴ 결 론
제 5장 미국의 대이란 정책과 대응전략
Ⅰ 이란-미국 관계
1. 팔레비 시대의 이란-미국 관계
2. 이슬람 공화국 시대의 이란-미국 관계
Ⅱ 부시 행정부의 對이란정책
Ⅲ. 부시 정부의 이란 핵개발 대응전략
Ⅳ 오바마 시대의 이란정책
제 II 편 미국의 중앙아시아 정책과 중앙아시아의 대응외교
제 6장 서론
제 7장 미국의 국제전략과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정책
Ⅰ 미국-카자흐스탄 외교관계
Ⅱ 미국의 對카자흐스탄 핵정책
Ⅲ 미국의 對우즈베키스탄 외교정책
Ⅳ 결 론
제 8장 미국의 투르크메니스탄 정책과 파이프라인 건설전략
Ⅰ 이란-미국의 대립과 남북 경유 파이프라인
Ⅱ 이란-투르크메니스탄간의 파이프라인 개통과 미국의 유화정책
Ⅲ 결 론
제 9장 투르크메니스탄의 영구 중립주의 외교정책
Ⅰ 서 론
Ⅱ 국내정치 상황
1. 정치체제
2. 반정부 세력과 언론
3. 이슬람과 니야조프 정권
Ⅲ 투르크메니스탄의 중립주의 외교정책
1. 니야조프의 중립주의 외교정책 강령
(1) 국제법의 정의에 따른 투르크메니스탄의 중립주의
(2) 외교정책의 목적
2. 중립주의 외교정책기조
Ⅳ 투르크메니스탄 국제관계와 경제발전
Ⅴ 결 론
제 10장 미국의 타지키스탄 정책
Ⅰ 미국의 對타지키스탄 정책과 경제원조
Ⅱ 타지키스탄과 미국의 對이슬람 원리주의정책
Ⅲ 결 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