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 데이터베이스 구축
· ISBN : 9788974679378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02-05-15
책 소개
목차
Part 1 모델링 b백그라운드
Chapter 01 데이터베이스 설계 소개
1.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대한 찬사
2. 데이터베이스
3. 파일 처리 시스템(File Processing System)
4. 데이터베이스(Database)
5. 데이터베이스의 발전 역사
6. 집합적 사고란?
7. 시스템의 취약
8. 엔터프라이즈 데이터베이스 구조
9. OLTP용인가 DSS용인가?
Chapter 02 관계 모델(Relational Model)
1. 관계 모델 소개
2. 릴레이션(Relation)
3.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것들
4. 함수적 종속(Functional Dependency)
5. 관계형 키(Relational Key)
6. Candidate Key(후보 키)
7. Primary Key(프라이머리 키)
8. Alternate Key(대리 키)
Chapter 03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프로세스
1. 데이터 모델링 VS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2. 애플리케이션은 어떤 방식으로 개발되는가?
3.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프로세스
4. 데이터베이스 디자인은 어떠한 순서로 이루어집니까?
5. 논리적 모델링 개념
6. 논리적 모델링 방식들
7. 물리적 모델링(Physical Modeling)
Chapter 04 정보 수집하기
1. 가장 먼저 해야 할 것
2. 셜록 홈즈가 되자
3. 인터뷰(Interview) 기술 익히기
4. 주관식 질문 연습
5. 물어볼 만한 질문 목록들
6. 인터뷰 시 참고 사항
7. 이 밖에 참고해야만 할 자료들
8. 문서화 작업과 커뮤니케이션
Chapter 05 개체 관계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
1. IDEF1X
2. 개체-관계 모델을 시작하기 전에
3. 개체-관계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 ER Model)
4. 엔터티(Entity)
5. 애트리뷰트(Attribute)
6. ID(Identifier)
7. 도메인(Domain)
8. 릴레이션쉽(Relationship)
9. 이항 관계의 유형들에 대해서
10. One-to-Many(일대다, 1:M)
11. Identifying과 Non-Identifying Relationship
12. Mandatory와 Optional(맨데토리와 옵셔널)
13. 릴레이션쉽 카디널러티(Relationship Cardinality)
14. Role Name(롤 네임)
15. Verb Phrases
16. 다른 형식의 릴레이션쉽들
17. Many-to-Many Relationship
18. Recursive Relationship(재귀적 릴레이션쉽, 리커시브 릴레이션쉽)
19. Sub-Type Relationship(서브 타입 릴레이션쉽)
20. Complete과 Incomplete Sub-Type 릴레이션쉽
21. Exclusive 및 Inclusive Sub-Type 릴레이션쉽
22. 다른 방식의 표기법들
23. IE(Information Engineering)
24. Chen ERD
25. 마이크로소프트 SQL 서버 2000 다이어그램
Part 2 논리적인 모델링
Chapter 06 논리적 모델링의 개요
1. 목표를 세우자
2. 프로세스 모델링(Process Modeling)
3. 논리적 모델링(Logical Modeling)
4. 논리적 모델링의 단계
Chapter 07 엔터티(Entity)
1. 엔터티의 중요성
2. 엔터티란?
3. 엔터티의 구조
4. 엔터티 후보의 선정
5. 엔터티 후보의 선정
6. 문서에서 엔터티 후보 찾기
7. 스프레드시트에서 엔터티 후보 찾기
8. 인터뷰에서 엔터티 후보 찾아내기
9. 기타 엔터티 후보 찾기
10. 엔터티의 선정
11. 중복 관계에 주의하라
12. 서브 타입
13. 엔터티와 릴레이션쉽을 혼동하지 마세요
14. 엔터티를 찾기 위한 사고의 전개
15. 엔터티 설명
16. 엔터티 네이밍(Entity Naming)
17. 기타 참고할 것들
Chapter 08 애트리뷰트(Attribute)
1. 애트리뷰트(Attribute)
2. 애트리뷰트의 구조
3. 애트리뷰트들을 어떻게 찾아내는가?
4. 애트리뷰트 검증
5. 애트리뷰트 네이밍(Attribute Naming)
6. 키(Key)
7. 키(Key)가 왜 필요한가?
8. 후보 키(CK, Candidate Key) 조사하기
9. 인조 키(Artificial Key)의 설정
10. UID의 선정
11. UID의 역할
Chapter 09 릴레이션쉽(Relationship)
1. 릴레이션쉽이란?
2. 릴레이션쉽의 구조
3. 릴레이션쉽 읽기
4. 릴레이션쉽 파악 단계들
5. 릴레이션쉽 찾아내기
6. 엔터티에 릴레이션쉽 맺기
7. 릴레이션쉽의 형식을 설정하기
8. Identifying / Non-Identifying 릴레이션쉽 설정
9. Mandatory와 Optional
10. 카디널러티(Cardinality)
11. Role Name
12. 재귀적인 릴레이션쉽(Recursive relationship)
Chapter 10 정규화(Normalization)
1. 정규화는 왜 하는가?
2. 설계상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
3. 정규화의 본질
4. 정규화의 역사와 종류
5. 1차 정규형(First Normal Form, 1NF)
6. 2차 정규형(Second Normal Form, 2NF)
7. 3차 정규형(Third Normal Form, 3NF)
8. 보이스-코드 정규형(Boyce-Codd Normal Form, BCNF)
9. 4차 정규형(Fourth Normal Form, 4NF)
10. 5차 정규형(Fifth Normal Form, 5NF: Projection-Join Normal Form, PJ/NF)
11. 도메인-키 정규형(Domain-Key Normal Form, DK/NF)
Chapter 11 기타 모델링 기법들
1. 역 정규화(Denormalize)
2. 역 정규화의 시점
3. 통제된 중복(Controlled redundancy)
4. 릴레이션 병합
5. 계산 값(Computed value)
6. 릴레이션쉽의 역 정규화(Relationship denormalization)
7. 역 정규화 마무리
8. 이력 관리 데이터 모델(History management data model)
9. 선분 범위 처리(Segment Scope Handling)
Part 3 물리적인 모델링
Chapter 12 물리적 모델로의 전환
1. 물리적 모델링 개요
2. 물리적 모델링 프로세스(Physical Modeling Process)
3. 논리적 모델을 물리적 모델로 전환
4. 슈퍼 타입/서브 타입 릴레이션쉽의 해소
5. 파티셔닝(Partitioning)
6. 수평 파티셔닝(Horizontal partitioning)
7. 수직 파티셔닝(Vertical Partitioning)
8. 파티셔닝 마무리
9. 관리상 필요한 엔터티 및 애트리뷰트 추가하기
10. 코드 엔터티 설계하기
11. 엔터티 및 애트리뷰트 이름 변경(Convert name of Entity and Attribute)
Chapter 13 릴레이션으로의 전환 1
1. Forward Engineering
2. 데이터베이스 정의하기
3. 테이블 및 컬럼 정의하기
4. 데이터 형식의 설정
5. 문자 형식(Character data type)
6. 숫자 형식(Numeric types)
7. 날짜 형식(Datetime types)
8. 바이너리(Binary types)
9. 유니코드 문자 정렬(Collation)
10. 데이터 형식 판단 팁(Tip)
11. 프라이머리 키(Primary Key, PK)
12. 자연 키(Natural PK)와 인조 키(Artificial PK)
13. TIMESTAMP 컬럼
14. NULL 그리고 NOT NULL
15. 기본값(Default)
16. 체크 제약 조건(Check constraint)
17. 컬럼 정의서를 테이블 생성문으로 변환
18. 확장 프로퍼티(Extended Property)
Chapter 14 릴레이션으로의 전환 2
1. 릴레이션쉽 전환
2. 기타 무결성 제약 조건
3. 유니크 제약조건(Unique index)
4. 클러스터드 인덱스 설정
5. 테이블 옵션(Table option) 설정하기
6. sp_tableoption
7. Fill Factor(채우기 비율)
8. 파일 그룹 배치
9. 데이터 파일 및 로그 파일
10. 파일 그룹(File Group)
11. 용량 계획(Capacity Planning)
12. 테이블 크기 측정하기
Part 4 기타
Chapter 15 ERwin 4.0
1. 모델링 도구로서의 ERwin
2. ERwin 모델 생성
3. ERwin 작업 환경 설명
4. 전체 모델의 구조
5. 엔터티 생성하기
6. 서브 타입 설정하기
7. 릴레이션쉽 설정하기
8. Physical 모드
9. 데이터 형식의 설정
10. 도메인 설정
11. Validation Rules
12. Default Values
13. Index
14. 뷰 생성
15. Transform wizard
16. 대상 데이터베이스 선택
17. Database Connection
18. Forward engineer/Schema Generation
19. Reverse Engineering
20. Volumetrics(용량 계획)
21. Report Builder
22. 모델 표기법 변경하기
23. 주의해서 이용하라
Chapter 16 Last Message
1. 파일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File system and Database)
2. 나쁜 설계란 무엇인가?
3. 파일 디자인(File design)
4. 스프레드시트 디자인
5. 다용도 테이블(Multi-use table)
6. 회로 설계도 모델
7. 아무것도 믿지 마라
Appendix 부록
Appendix 01 샘플 디자인
Appendix 02 SQL 서버 Information Schema와 시스템 저장 프로시저
Appendix 03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유용한 참고 서적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