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음악
· ISBN : 9788975814822
· 쪽수 : 632쪽
· 출판일 : 2014-08-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휘호
제1장 민요
1. 노작의 율동
2. 민요의 고장(김제)
제2장 논문
3. 황종에 관하여
4. 이해식 작곡 <밧삭>의 음악적 분석
제3장 특강
5. 하이브리드 리듬
6. <해동신곡>의 분석적 의미론
7. 라틴아메리카의 바람들
8. 초등학교 국악교육에서의 리듬에 관하여
9. 해금의 말과 바람의 춤 분석론
10. 이해식 작곡 <국악관현악을 위한 전이轉移>
11. 국악작곡을 위한 여러 준비들
12. 작곡가 이해식의 작품세계
제4장 대담
13. 이 땅의 오늘 음악, 윤중강입니다.
14. 오늘의 창작음악 어떻게 볼 것인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작품을 구상하는 과정은 명상(瞑想)이고, 이 명상을 오선지에 실천하는 과정은 마음닦음(修心), 즉 수행(修行) 과정입니다. 명상은 홀로 누리는 신비로운 정신세계입니다. ‘홀로’라는 말은 어디에도 매이거나 물들지 않고, 순진무구(純眞無垢)하고, 자유롭고, 부분이 아니라 전체이고, 그 무엇에도 흔들리지 않음을 뜻합니다. 작곡가는 이 명상과 고달픈 수행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자기만의 독특한 작곡밭을 일굴 수(耕作) 있습니다. 제 작품의 밭은 앞에서 언급한 아카이브에 있는 ‘굿’(祭儀)에서부터 지금은 제 인생관이나 다름없는 ‘바람’입니다.
바람은 잠시도 쉼이 없는 우주의 호흡이고 질서이며 이런 우주 안에서 우리가 생존하며 작곡도 합니다. 바람은 자유세상이고 해탈(解脫)한 세상의 그 무엇입니다. 마치 사람들이 토지나 가옥을 사고팔듯이 저는 제 작품의 전답을 여러 번 바꾸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