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양 예술에 깃든 어울림의 멋

동양 예술에 깃든 어울림의 멋

(보편 예술의 조화관과 특정 예술의 풍격론)

장궈칭 (지은이), 조민환, 차민경, 최미숙, 황인옥 (옮긴이)
예문서원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550원 -5% 0원
870원
26,680원 >
29,000원 -0% 0원
0원
29,000원 >
26,100원 -10% 0원
290원
25,810원 >
26,100원 -10% 2,500원
0원
28,600원 >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23,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양 예술에 깃든 어울림의 멋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양 예술에 깃든 어울림의 멋 (보편 예술의 조화관과 특정 예술의 풍격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6464866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3-12-26

책 소개

유가가 지향하는 이상적인 미가 무엇인지를 잘 정리하고 있다. 여기에서 언급된 저자의 “중화미는 중국 고대예술이 추구하는 최고의 경지”, “중화는 유가미학사상의 핵심이자 기둥으로 그 영향이 매우 심원하다” 등의 말은 이러한 점을 잘 보여 준다.

목차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일러두기

제1장 ‘중화中和’에 관한 과거와 현재의 담론
1. ‘중화’에 관한 개관
2. 최근 수십 년간의 중화미에 관한 연구
3. 중화에 관한 현재의 두 가지 견해

제2장 “화실생물和實生物”, “제지이미齊之以味”―보편 예술의 조화관으로서의 중화미(상)
1. 중中과 중용中庸
2. 화和
3. 중화中和

제3장 “악樂은 천지의 조화이다”―보편 예술의 조화관으로서의 중화미(중)
1. 「악기」 이전의 중화미 이론
2. 「악기」에서 논한 중화미
3. 중화미의 미학적 특징
1) 가치론적 미학의 색채를 띠다
2) 적합성의 원칙을 내적 정신으로 삼다
3) 보편적 조화관
4) 역사적 변증 원칙―시중時中

제4장 “악樂의 조화처럼 마음의 소리도 잘 어우러질 수 있다”―보편 예술의 조화관으로서의 중화미(하)
1. 중화미의 주된 표현 형식
1) ‘A而B’ 형식
2) ‘A而不B’ 형식
3) ‘亦A亦B’ 형식
4) 예술의 전체적 조화에 대한 표현 형식
2. 고대 서예 이론에서의 중화미에 관한 표현
3. 고대 회화 이론에서의 중화미에 관한 표현
4. 고대 시가 이론[및 실천]에서의 중화미에 관한 표현
5. 예술 전체 조화의 내적 조절 기제로서의 시중時中

제5장 “온유돈후溫柔敦厚”, “발정지례發情止禮”―특정 예술의 풍격론으로서의 중화미
1. 시교詩敎와 중화
2. 시교의 이론적 특징
3. 시교의 존숭과 붕괴

제6장 “동정動靜이 때를 잃지 않으니 그 도가 광명하다”―중화미의 역사적 의의와 현실적 의의
1. 두 중화미 이론의 간략한 비교
2. 중화미의 역사적 의의와 현실적 의의
3. 시교의 역사적 의의와 현실적 의의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조민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과 교수 겸 유학대학원장, 풍수명리철학회, 동양예술학회, 도가철학회, 도교문화학회, 간재학회, 서예학회 회장,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인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철학연구회 논문상과 원곡 서예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동양 문인의 예술적 삶과 철학』 『조선조 서예미학』 『동양의 광기와 예술』 『동양 예술 미학 산책』 『노장철학으로 동아시아문화를 읽는다』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 『중국철학과 예술정신』등이 있다. 공저로는 『강좌 한국철학』등 20여 권이 있으며, 역서로는 『도덕지귀道德指歸』 『이서李漵「필결筆訣」역주譯註』 『태현경太玄經』등이 있다. 학술논문 160여 편과 서화잡지에 실린 100여 편의 서화평론글이 있다. 동양의 그림과 글씨 및 유물에는 유가철학과 도가철학이 담겨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양철학과 동양예술의 경계 허물기에 주력하면서 예술작품을 철학적으로 이해하는 새로운 눈을 제시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