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어 듣기교육론

한국어 듣기교육론

(증보판)

김정남, 양명희, 성아영, 김보현 (지은이)
신구문화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000원 -0% 0원
850원
16,150원 >
17,000원 -0% 0원
0원
17,000원 >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어 듣기교육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어 듣기교육론 (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7668288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9-05

책 소개

저자들은 그동안 쌓인 한국어 듣기 교육의 연구 결과를 충분히 담아내고, 학부나 대학원에서 ‘한국어 듣기 교육론’이나 ‘한국어 이해 교육론’을 수강하는 예비 한국어 교원들이 참고할 수 있는 내용으로 책을 구성하기 위해 논의와 숙고를 거쳐 12장을 마련하였다.
증보판 머리말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들이 증가하고, 이들을 가르치는 한국어 교원이 되고자 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현재 한국의 대학에는 한국어 교육을 전공으로 하는 학부와 대학원 과정이 280여 개에 육박한다. 이 외에도 학점 은행제와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 등을 포함하면 한국어 교원이 되고자 하는 한국인(또는 외국인)이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다.
그동안 한국어 교육계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한국어 문법서와 교재 등 외국인 학습자를 교육하기 위한 학술적, 실용적 연구에 매진하는 한편, 전문적 지식을 갖춘 우수한 한국어 교원을 양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만들고 다양한 영역의 개론서를 출간하였다. 언어 교육 내용과 관련해서는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국어 어휘 교육론, 한국어 문법 교육론 등이 집필되었고, 언어 교수법과 관련해서는 한국어 교육 개론, 한국어 표현 교육론, 한국어 이해 교육론 등이 속속 나왔다. 이 외에도 한국어 교재론, 한국어 교육과정론, 한국어 평가론 등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개론서들은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 연구의 발전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듣기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네 가지 영역 중에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의사소통을 중시하는 외국어 교육에서 가장 기본적인 기능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듣기는 단순히 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이해하는 ‘알아듣기’를 뜻하며, ‘알아듣기’를 한 청자는 화자가 되어 들은 것에 대한 반응을 해야 한다. 이를 듣기 교육에서는 상호 작용적 듣기라고 하는데, 이처럼 듣기는 말하기와 짝이 되어 구어 습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책의 저자들은 그동안 쌓인 한국어 듣기 교육의 연구 결과를 충분히 담아 내고, 학부나 대학원에서 ‘한국어 듣기 교육론’이나 ‘한국어 이해 교육론’을 수강하는 예비 한국어 교원들이 참고할 수 있는 내용으로 책을 구성하기 위해 논의와 숙고를 거쳐 12장을 마련하였다. 먼저 1장은 듣기에 대한 이해, 2장과 3장은 듣기 교육의 기초와 교육 단계, 4장과 5장은 듣기 교육 방법과 듣기 교육 자료에 대한 기초적, 이론적 내용을 담았다. 6장부터 9장까지는 듣기 활동과 듣기 수업 등 듣기 교육의 실제적인 내용을 담아 미리 한국어 듣기를 가르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10장부터 12장까지는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듣기 평가, 듣기 전략, 학습자의 정서적 요인을 다루고 있다. 듣기 전략과 학 습자의 정서적 요인은 최근 연구자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주제로, 유학생뿐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 재외 동포 등 다양한 성격의 학습자들을 가르치는 데 중요한 교육 요인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다른 학문 분야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교육학 역시 영어 교육학을 중심으로 하는 여타 외국어 교육학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듣기의 정의’, ‘듣기의 중요성’, ‘듣기의 과정’ 등 이론적 주제는 외국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기술 내용과 관련한 예시나 교육 내용, 그리고 특히 교육 방법은 한국어학과 한국어 교육학의 연구 성과를 담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이 책이 한국어 듣기 교육론의 기본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학계에서 주제로 하는 내용을 가능한 한 모두 담으려 노력하였다.
이 책은 2011년 ‘신구 한국어 교육선서05’로 출판된 <한국어 듣기교육론>에 모태를 둔 증보판이다. 당시 이 한국어 교육선서는 한국어 교육의 제 영역에 걸쳐 핵심적인 내용을 담은 작은 책자 형식의 시리즈물로 기획되었고, 네 기능 영역 중 듣기 교육론이 가장 먼저 출판되었다. 당시에는 양명희, 김정남 두 사람의 공저였지만 지금 간행되는 이 증보판은 양명희의 제자 김보현, 김정남의 제자 성아영이 함께하여 모두 네 사람의 공동 저작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1, 2, 5, 10, 12장은 양명희, 김보현이 함께, 3, 4, 6, 7, 8, 9, 11장은 김정남, 성아영이 맡아서 하였다. 그 사이 15년에 가까운 간극이 있어 애초의 책에서 덜어 낼 부분은 덜어 내고 남길 부분은 남기되, 새롭게 저술해야 할 부분이 많았다. 체재와 구성도 상당히 달라지고 보충된 부분도 많다. 스승의 기존 저작 물을 덜고 깁는 데 협력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닌데 흔쾌히 공동 저작에 참여하겠다고 해 준 두 사람에게 고맙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 사이 한국어 듣기 교육과 관련한 많은 선행 논저들을 펴내 준 학계의 연구자들께도 감사드린다.
그리고 아마 한재영 선생님이 아니셨다면 이 책은 세상에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항상 적절한 시기에 충고와 조언을 주시는 한재영 선생님께 특별히 감사드리고 싶다. 또한 필자들의 까다로운 요구에 일일이 응해 주시고 예쁜 책을 만들어 준 신구문화사의 최승복 편집부장님을 비롯한 모든 편집진께 감사드린다.

2025년 7월 7일
저자 일동

목차

초판 머리말 005
증보판 머리말 009

1. 듣기의 이해
1.1. 듣기의 정의와 듣기의 중요성 18
1.2. 듣기의 과정 21
1.3. 모어 듣기와 외국어 듣기 24
1.4. 듣기를 어렵게 하는 요인 25
1.5. 듣기의 종류 30

2. 듣기 교육의 기초
2.1. 듣기 교육의 목표 36
2.2. 듣기 교육의 원리 47
2.3. 듣기 교육과정 57

3. 듣기 교육 단계 및 교육 모형
3.1. 듣기 교육 단계 70
3.2. 듣기 교육 모형

4. 듣기 교육의 방법
4.1. 듣기 교육의 일반적 방법 86
4.2. 학습자 수준별 듣기 교육 방법 90
4.3. 학습자 변인별 듣기 교육 방법 108
4.4. 교수법별 듣기 교육 방법 118

5. 듣기 교육 자료
5.1. 듣기 자료의 언어적 특성 124
5.2. 듣기 자료 구성의 원칙 131
5.3. 듣기 교육 자료의 개발 139
5.4. 듣기 교육 자료와 도구의 실례 143

6. 듣기 활동 (1) - 초급
6.1. 음의 식별 연습 148
6.2. 듣고 따라 하기 151
6.3. 그림, 사진, 지도 등 시각 항목 찾기 152
6.4. 그림 순서 맞추기 156
6.5. 단어 게임 158
6.6. 듣고 행동하기 160
6.7. 듣고 완성하기(빈칸 채우기) 161

7. 듣기 활동 (2) - 중·고급
7.1. 초분절적 요소의 식별 연습 166
7.2. 메모 및 요약하기 169
7.3. 내용 이해하기 171
7.4. 맥락 이해하기 176
7.5. 모형 및 수준별 듣기 활동 178

8. 타 기능과의 연계 활동
8.1. 듣고 말하기 182
8.2. 듣고 읽기 184
8.3. 듣고 쓰기 186

9. 듣기 수업의 실례
9.1. 초급 수업의 실례 192
9.2. 중·고급 수업의 실례 197
9.3. 어휘·문법 수업과 듣기 활동 202

10. 듣기 평가
10.1. 듣기 평가의 개념 210
10.2. 목적에 따른 듣기 평가 212
10.3. 듣기 평가의 등급별 기준 217
10.4. 듣기 평가의 유형 224

11. 듣기 전략
11.1. 성공적인 듣기를 위한 듣기 전략 245
11.2. 듣기의 세부 전략 및 활동 250
11.3. 교사 전략과 학습자 전략 253

12. 듣기 교육과 정의적 요인
12.1. 듣기 효능감과 듣기 교육 258
12.2. 듣기 불안과 듣기 교육 269

참고문헌 281
참고자료 291
찾아보기 293

저자소개

김정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주요 업적: <국어 형용사의 연구>, <한국어학습자용 말뭉치의 구축과 활용>(공저), <다문화학생 한국어 진단 평가 도구 개발>(연구 책임) 외 다수의 연구 논문. (상세 정보는 구글 스칼라 참조: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user=mgr7RFAAAAAJ&hl=ko)
펼치기
김정남의 다른 책 >
성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강사.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와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주요 업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기능 연구>, “한국어 말하기 교재 대화문의 상황 맥락 분석 연구”,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공저) 등.
펼치기
김보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FOUR 학술연구교수.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주요 업적: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학술 담화의 텍스트성과 장르성 연구: 학술 보고서와 학술 발표를 중심으로>,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에 대한 한국어 의사소통 불안 요인 분석”,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 발표에 나타난 말하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생성형 AI 기반 에듀테크의 한국어교육 적용 가능성과 쟁점”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