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ISBN : 9788979985375
· 쪽수 : 266쪽
· 출판일 : 2011-12-31
목차
Ex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영향인자
1. 해수면 상승 현황
1)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
2)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 변동
2. 이상기상 현상에 따른 해수면 상승
1) 극한사상(태풍 등)에 의한 해일고
2)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해수면 극값 변화
제3장 연안 취약성 평가 관련 사례 연구
1. 연안취약성의 개념
2. 평가모형의 개념 틀
1) PSP 및 DPSIR 평가 개념 모형
2) IPCC 취약성 평가 개념 모형
3. 기존 취약성 평가모형 검토
1) 미국 지질조사국의 해수면 상승에 대한 연안 취약성 평가체계
2) 미 해양대기청의 기후변화 연안 적응 지침
3) Nicholls의 연안 취약성 평가
4) 캐나다 Climate Change Impacts and Adaptations program
5) 국립해양조사원의 연안재해취약성 평가
제4장 해수면 상승 연안 취약성 평가모형
1. 취약성 평가모형 구성의 이론적 배경
1) 취약성 평가의 의의
2) 취약성 평가모형 구성의 착안점
3) 평가모형의 구성
2. 해수면 상승과 영향권역 검토
1) 해역별 해수면 상승
2) 해일고의 변화
3) 침수예상도를 통한 영향권역 파악
4) 침수구역 분석을 위한 정보 선택과 활용
3. 연안의 사회경제적 영향인자
1) 사회경제적 영향인자 사례
2) 사회경제적 영향인자 구성시 고려요인
4. 해수면 상승 연안 대응역량 인자
1) 공적 영역의 대응역량
2) 민간 영역의 대응역량
3) 대응역량 인자의 평가
제5장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정책 제언
3. 연구의 한계와 방향
참고문헌
부록
부록1. 침수범람 지역 확인을 통한 해수면 상승의 공간적 영향 범위 파악
부록2.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태풍 경로와 영향반경
부록3. 한반도 상륙태풍의 강풍 영향 범위
부록4. 한반도 상륙태풍의 기상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