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리눅스
· ISBN : 9788980781997
· 쪽수 : 698쪽
· 출판일 : 2007-04-30
책 소개
목차
1장 리눅스 시작
1. 유닉스와 리눅스
2. 레드햇과 페도라
3. 페도라 리눅스의 설치
3.1 설치하기 전에
3.2 설치하기
3.3 설치 후 작업
2장 리눅스 입문
1. 리눅스 시작하기
1.1 콘솔로 로그인하기
1.2 컴퓨터 종료하기
1.3 로그인 환경의 언어 설정
1.4 일반 유저의 추가 및 로그인
1.5 명령어 정리
2. 기본 명령어(1)
2.1 경로 관련 명령어
2.2 파일 생성, 삭제 관련 명령어
2.3 파일 속성 변경
2.4 파일 찾기
3. 파이프, 연결 재지향
3.1 표준 입력, 표준 출력, 표준 에러, 파일 기술자
3.2 리다이렉션
4. 기본 명령어(2)
4.1 압축 관련 명령어
4.2 프로세스 관리
4.3 필터
5. vi와 vim 에디터
5.1 vi의 작동 모드들
5.2 vim으로 파일 열 때 주의점
5.3 일반 모드
5.4 입력 모드
5.5 명령행 모드
5.6 비주얼 모드(vim 전용)
5.7 도움말 기능
5.8 검색 후 교체
5.9 그 외의 유용한 옵션들
5.10 자동 정렬
5.11 자동 명령(autocmd)
5.12 단축 명령 지정
5.13 윈도우 분할
5.14 탭 페이지
3장 리눅스 관리
1. 파일 시스템 관리
1.1 파일 시스템 타입
1.2 파티션(partition)
1.3 디렉토리 구조
1.4 파일 시스템 기본 명령어
1.5 LABEL의 사용: e2label, findfs
1.6 fdisk
1.7 파일 시스템 포맷 및 검사
1.8 스왑 공간
1.9 정리
2. 패키지 관리
2.1 RPM(Redhat Package Manager)
2.2 YUM(Yellowdog Updater Modified)
2.3 그 외의 사항들
3. 네트워크 관리
3.1 SELinux와 네트워크 서비스
3.2 네트워크 설정
3.3 네트워크 검사 프로그램
3.4 네트워크 접속 프로그램
3.5 퀴즈 정답
4장 리눅스 네트워크 서버
1. inet 서비스: xinetd
1.1 inet 서비스
1.2 xinetd의 설정
1.3 xinetd와 관련 설정 유틸리티
1.4 xinetd 연습 문제 답안
2. FTP서비스: vsftpd
2.1 vsftpd의 설정
2.2 다른 ftpd 데몬의 소개
3. HTTP 서비스: apache
3.1 웹 서버의 실행 및 구조
3.2 전역 설정
3.3 메인 서버 설정
3.4 가상 호스트 설정
3.5 아파치의 관리자 기능
3.6 아파치의 튜닝
3.7 스레드 모델의 사용
4. 윈도우즈 네트워크 서비스: samba
4.1 SMB와 samba
4.2 삼바 패스워드 작성 및 smbclient 사용
4.3 SMB 자원의 mount : 공유 드라이브 연결
4.4 유저 맵의 사용
4.5 삼바의 관리
5. DNS 서비스: bind
5.1 bind의 구조
5.2 bind의 구동
5.3 bind의 로드 밸런싱
5.4 bind의 관리 및 보안
5.5 bind 연습 문제 답안
6. E-mail 서비스: sendmail
6.1 sendmail의 설정
6.2 메일 중계(relay) 기능
6.3 access.db를 통한 메일 서버 접근 제어
6.4 SMTP AUTH를 이용한 인증
6.5 그 외의 sendmail 설정
6.6 다른 smtpd 데몬의 소개
7. POP3, IMAP
7.1 dovecot의 설치
7.2 dovecot의 실행과 테스트
7.3 dovecot의 설정
8. DHCP 서버
8.1 설정 파일: dhcpd.conf
8.2 고정된 IP 할당
8.3 DHCP 서버의 시작과 임대 기록 파일
5장 X 윈도우 시스템
1. X 윈도우 설정
1.1 듀얼 헤드의 사용
1.2 nvidia 전용 드라이버의 사용
2. 입력기와 키보드
2.1 한글 입력기
2.2 103/106 키보드를 위한 한자/한영 키
3. GNOME
3.1 보안 업데이트
3.2 데스크탑 구조
3.3 그놈 터미널(gnome-terminal)
3.4 노틸러스 파일관리자
3.5 제어판과 원격 데스크탑 제어
3.6 패키지 관리자 : pirut
4. KDE
4.1 switchdesk의 사용
4.2 데스크탑 구조
4.3 KDE 터미널(Konsole)
4.4 컹커러 파일 관리자
5. XFCE
5.1 데스크탑 구조
5.2 설정 도구와 테마
6. 유용한 X 윈도우 유틸리티
6.1 음악 재생기: xmms, beep media player, rhythmbox
6.2 동영상 재생기: totem player
6.3 그래픽 프로그램
6.4 오피스 프로그램
6.5 원격 제어 프로그램
7. X 윈도우의 3D 환경
7.1 beryl의 사용
7.2 beryl의 시작과 설정
6장 리눅스 보안 및 튜닝
1. 프로세스/서비스 제어
1.1 /proc 디렉토리
1.2 top의 각종 수치와 프로세스의 대한 이해
1.3 로드 평균(load average)
1.4 런레벨(runlevel)
1.5 런레벨 편집
2. 스케줄러
2.1 at 스케줄러
2.2 cron 스케줄러
3. 고급 디스크 관리
3.1 부트 매니저: GRUB
3.2 LVM(Logical Volume Management)
3.3 디스크 사용 한도 할당(quota)
3.4 NTFS 파일 시스템 지원
3.5 그 외의 유용한 명령들
4. 보안 및 복구
4.1 setUID, setGID, sticky bit
4.2 ulimit 사용자의 자원 제한
4.3 PAM을 통한 사용자의 자원 제한
4.4 방화벽: iptables
4.5 비상시 부팅(싱글 유저 모드, CD 부팅)
5. 커널
5.1 커널 업데이트
5.2 페도라에 포함된 가상화 기술: Xen의 소개
부록 A 정규 표현식(REGEX)
부록 B 쉘 프로그래밍
부록 C 유닉스/ 리눅스의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