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시공
· ISBN : 9788982547966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08-01-15
목차
Ⅰ. 패러다임의 전환
01. 21C 산업의 메가트렌드와 건설산업 13
02. 건설기업 왜 세계 1위가 없는가? 19
03. 건설혁신을 가로막는 고정관념 25
04. 변화와 혁신 없인 발전 없다. 30
05. 브랜드가 일류를 만든다. 36
06. 왜 퓨전(fusion)인가? 42
07. 노동생산성의 향상 없이는 성장 없다. 47
08. 진짜‘바다이야기’- 두바이에서 배운다. 53
09. 해외건설시장 10% 점유의 선결과제 59
10. 지속가능한 건설 66
11. 문화적 브랜드로서의 건축과 도시 71
Ⅱ. 생산체계의 혁신
12. 고객지향적인 생산체계의 구축 79
13. 건설 원스톱 생산체계의 필요성 85
14. 힘의 이동 91
15. 좋은 발주자가 좋은 생산자를 만든다. 96
16. 심각한 건설 수급불균형의 문제점은? 101
17. 운니지차(雲泥之差) 106
18. 시장경제 원칙과 지역경제 활성화 111
19. 양적 확대와 질적 향상의 균형정책 116
20. 건설상생, 제도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121
21. 파트너링 정착은 건설선진화의 초석이다. 126
22. 해외건설 수주의 지속적 성장전략 131
23. 건설 R&D 확충 없이는 선진화 없다. 136
24. 가격에서 가치 중심 사고로의 전환 142
Ⅲ. 경영체계의 혁신
25. 지식경영을 통한 경쟁력 제고 151
26. 윤리경영은 기업경쟁력의 핵심이다. 155
27. 전문기술자의 윤리 160
28. 감성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165
29. 6시그마 경영의 확산을 기대한다. 170
30. 1 : 10 : 100의 법칙 175
31. 건설사업의 가치제고, VE에서 찾자. 180
32. 왜 건축사는 CM을 알아야 하는가? 185
33. 고객은 이런 아파트 브랜드를 선호한다. 190
34. 사업의 성공 여부는 사업비관리에 있다. 195
35. 그린 마케팅은 기업경쟁력의 핵심이다. 200
Ⅳ. 제도개선의 과제
36. 밀운불우(密雲不雨) 207
37. 건설정책에 대한 성과관리가 필요하다. 212
38. CM의 활성화, 제도의 선진화가 우선이다. 217
39. 분양원가 공개에 대한 찬성과 반대 222
40. 후분양제에 대한 기대와 우려 227
41. 이젠 퍼주기 논란을 불식시켜야 한다. 232
42. BTL 사업, 무엇이 문제인가? 238
43. 사업비관리자의 육성 및 활용 필요성 244
44. EVM 왜 활성화되지 않는가? 249
45. 예비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254
46. 시일야방성대곡, 그리고 4.19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