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환경학
· ISBN : 9788984645714
· 쪽수 : 156쪽
· 출판일 : 2011-12-31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표와 범위
제2장 국가적색목록 발간 현황
1. 국가적색목록의 발달
가. 초기 적색목록의 간행
나. 평가표준의 발달
다. 평가표준 3.1판과 세계적색목록
라. 국가 등 지역적색목록의 형성
마. 지역적색목록과 세계적색목록의 구분
2. 국내외 국가적색목록 발간 현황
가. 중국
나. 일본
다. 한국
라. 북한
마. 여타 지역 및 국가적색목록
제3장 외국의 적색목록 관리정책
1. 생물다양성 평가지표로서 적색목록의 활용
가. 세계 수준의 활용
나. 지역 및 국가 수준의 활용
다. 지방 및 도시 수준의 활용
라. 개체군 수준의 활용
2. 중국의 관리정책
가. 관리체계
나. 주요 정책
3. 일본의 관리정책
가. 관리체계
나. 주요 정책
4. 주요 분석결과와 시사점
가. 주요 분석결과
나. 주요 시사점
제 4장
1. 적색목록 관리기반 및 정책 동향
가. 야생동식물 보호 및 관리 정책
나. 적색목록 발간 근거자료와 신뢰성
다. 멸종위기야생동식물과의 관계
라. 보호지역 지정 등 계획 수립
마. 국제사회의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생물종 이외의 적색목록 유사 관리목록
2. 국가적색목록 관리를 위한 정책방안
가. 적색목록 평가 및 관리기반 구축
나. 법정보호종에 연계 및 관리 차별화
다. 체계적 보전관리
라. 국제협약 의무의 성실한 이행
참고 문헌
부록
부록1. 한국의 적색목록
부록2. 적색목록종의 서식환경 위협요인
부록3. 시·도 보호야생동식물 지정현황
부록4. 중국 특유의 별종위기종 평가표준 개발 및 적용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