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조경학
· ISBN : 9788986752755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0-08-26
책 소개
목차
제1장 조경의 특성과 영역__1
1) 조경의 대상과 특성_1
2) 조경의 의의_4
(1) 조경의 개념·4
(2) 조경의 대상·6
(3) 조경가의 구분·9
제2장 조경양식의 변천__13
1) 조경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_13
(1) 인위적인 요인 ·13
(2) 자연적인 요인·15
2) 조경 양식의 기본 유형_16
(1) 정형식(整形式) 조경·16
(2) 자연식(自然式) 조경·18
3) 서양 조경_19
(1) 고대 조경·19
(2) 중세의 조경·30
(3) 르네상스의 조경·37
(4)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조경·42
(5) 영국 자연풍경식 조경·47
(6) 근대 조경·53
(7) 오늘날의 조경·56
4) 동양 조경_59
(1) 중국의 조경·59
(2) 일본의 조경·66
5) 한국 조경_76
(1) 한국 조경의 시대 구분과 특색·76
(2) 조경기술 도입 시대(삼국 시대) ·77
(3) 조경기술 정착 시대(통일신라 시대)·82
(4) 모방 시대(고려 시대)·87
(5) 고유의 조경 기술 확립 시대(조선 시대)·89
(6) 한국의 근, 현대 조경·102
제3장 조경 미학__109
1) 미를 구성하는 시각적 요소_109
(1) 점(點; dot, spot)·111
(2) 선(線; line)·112
(3) 면(面; surface)·113
(4) 형태(形態; shape) ·115
(5) 질감(質感; texture)·116
(6) 크기(size)·116
(7) 방향(direction)·118
(8) 축(axis)·119
(9) 공간(space)·120
(10) 명암(contrast)·120
(11) 색채(color)·121
2) 색(color)_121
(1) 색의 3속성·122
(2) 색의 효과·123
3) 조경 디자인의 구성 원리_125
(1) 조화(harmony) ·125
(2) 균형(balance) ·125
(3) 리듬(rhythm) ·126
(5) 강조(emphasis) ·129
(6) 비례(proportion) ·129
(7) 대비(contrast) ·130
(8) 대칭(symmetry)·131
(9) 차경(borrow view)·131
4) 경관(景觀)_132
(1) 경관 유형 구성 요소·133
(2) 경관미의 변화 요인·134
(3) 조경 경관 디자인·135
(4) 경관의 유형·137
(5) 경관 요소로서 조경 수목의 특성·140
제4장 조경계획과 설계__143
1) 조경계획 일반_145
(1) 목표 설정 ·146
(2) 조사 ·146
(3) 종합과 분석·147
(4) 대안 수립 및 기본 구상·149
(5) 기본계획(master plan)·150
2) 조경설계_152
(1) 기본 설계·153
(2) 실시 설계·154
(3) 조경 시방서·154
(4) 품셈과 일위대가표(一位代價表)·157
3) 조경 제도(造景製圖; landscape drafting)_158
(1) 제도 도면의 종류·158
(2) 제도 용구·162
(3) 제도하는 방법·166
(4) 컴퓨터 제도·167
(5) 도면 복사·168
(6) 조경 제도 기호·168
4) 조경 시공 감리와 유지 관리_184
(1) 시공 감리(施工監理) ·184
(2) 유지 관리 및 하자 보수·185
제5장 조경 수목 식재__189
1) 조경 수목 구분_189
(1) 조경 수목이 지니는 특수성·189
(2) 높이(樹高)에 따른 구분·192
(3) 가을철 낙엽 유무에 따른 구분·194
(4) 잎 모양에 따른 구분·194
(5) 수형에 따른 구분·195
2) 지역에 따라 식재 가능한 유망 수종_198
(1) 남부지방에 식재 가능한 유망 조경 수목(가나다순) ·198
(2) 중, 북부에 식재 가능한 유망 조경 수목·202
3) 조경 수목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구분(가나다순)_203
(1) 개화시기에 따른 구분·203
(2) 화색에 의한 구분·206
(3) 개화기간의 지속기간에 의한 구분·209
(4) 열매의 관상가치에 따른 구분·209
(5) 줄기의 수피 관상가치에 의한 구분·212
(6) 잎의 단풍이 아름다운 수종·213
4) 조경수목의 용도별 구분_214
(1) 생울타리용(침; 침엽수, 덩; 덩굴성 수종)·214
(2) 음지 혹은 양지 녹화용 수종·214
(3) 토양에 따른 녹화 수종·215
(4) 재해 방지용 수종(상; 상록수, 낙; 낙엽수)·215
5) 조경 수목의 규격 및 선별_216
(1) 규격 측정 기준·216
(2) 성상에 따른 수목의 규격 표시·218
(3) 조경 수목의 3대 선별 원칙·220
6) 조경 수목 이식_221
(1) 뿌리돌림·221
(2) 이식 작업·223
(3) 굴취 및 이동·224
(4) 가식과 정식·228
(5) 조경수목의 이식 용이성·231
제6장 조경수목 식재 후 관리__235
1) 식재 후 관리_235
(1) 식재 후 조경 수목의 고사 원인·235
(2) 지주 세우기·236
(3) 멀칭·239
(4) 줄기 감아주기·240
(5) 유공관 매설·240
(6) 정지 및 전정 작업·241
(7) 관수 작업·241
2) 조경 수목의 주요 제반 관리_242
(1) 정지 및 전정 작업·242
(2) 수형 관리·247
(3) 조경 수목의 환경 관리·251
(4) 겨울철 조경 수목 관리·257
(5) 시비·261
3) 토양 관리_262
(1) 토양의 특성·262
(2) 조경 수목 재배에 좋은 토양·265
4) 조경 수목의 병해충 및 잡초관리_269
(1) 식물병 ·270
(2) 충해·273
(3) 생리적 장해·275
(4) 병충해 경감을 위한 일반적인 재배방안·276
(5) 잡초 대책·277
5) 조경 수목의 계절별 관리_278
(1) 봄철(3~5월) 관리·278
(2) 초여름(6~7월) 관리·279
(3) 여름철(8~9월) 관리·280
(4) 가을철(10~11월) 관리·280
(5) 겨울철(12~2월) 관리·281
제7장 조경 수목 배식법__285
1) 조경 양식에 따른 배식법_285
(1) 조경배식에 따른 유의사항·285
(2) 정형식 식재·286
(3) 자연식 식재·291
2) 기능 식재_297
(1) 햇빛 조절 기능 식재·297
(2) 바람 조절 기능 식재·298
(3) 재해 예방 식재·298
(4) 차폐 식재·300
(5) 기타 기능 식재·301
3) 조경 식재 간격_303
(1) 조경면적 기준·303
(2) 조경 수목의 식재 간격·305
4) 조경 화단 배식 방법_305
(1) 화단의 종류·305
(2) 화단계획 및 설계·310
참고자료·314
색인·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