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항공교통
· ISBN : 9788987015897
· 쪽수 : 414쪽
· 출판일 : 2023-03-03
책 소개
목차
[제1부]
제1장 지구과학
1.1 지 구
1.1.1 태양계
1.1.2 지구의 모양
1.1.3 자전과 공전
1.1.4 지구의 구성 물질
1.1.5 해수면
1.1.6 지자기
1.1.7 방 위
1.1.8 중 력
1.1.9 무중력
1.2 태 양
1.2.1 개 요
1.2.2 복사(radiation)
1.2.3 전 도
1.2.4 대류(convection)
1.3 대 기
1.3.1 개 요
1.4 대기권
1.4.1 개 요
1.4.2 대류권
1.4.3 대류권계면
1.4.4 성층권
1.4.5 성층권계면
1.4.6 중간권
1.4.7 열 권
1.4.8 외기권
1.5 지구-태양의 기하학적 운동
1.5.1 공전의 형태
1.5.2 지축의 경사
1.5.3 지축과 태양 고도
1.6 물의 순환
1.6.1 물과 대기
1.6.2 물의 순환
제2장 기온과 습도
2.1 기온의 단위
2.1.1 온도와 열
2.1.2 기온의 정의
2.1.3 기온의 단위
2.1.4 기온 측정
2.1.5 기온 변화
2.1.6 기온감률
2.1.7 기온역전
2.2 습 도
2.2.1 개 요
2.2.2 상대습도
2.2.3 노점 기온
2.2.4 수증기의 상태 변화
2.2.5 잠 열
2.2.6 응결핵
2.2.7 과냉각 수
2.2.8 이슬과 서리
2.2.9 구름의 형성
제3장 대기압
3.1 대기압
3.1.1 개 요
3.1.2 ICAO 표준대기
3.1.3 기압 변화
3.1.4 해수면 기압
3.2 일기도 분석
3.2.1 등압선(isobar)
3.2.2 기압경도
3.2.3 등압면
3.2.4 고기압
3.2.5 저기압
3.2.6 기압골(trough)
3.2.7 기압마루(ridge)와 안장부(col)
3.3 고도의 종류
3.3.1 진고도
3.3.2 절대고도
3.3.3 지시고도
3.3.4 기압고도
3.3.5 밀도고도
3.4 고도계
3.4.1 고도계의 작동원리
제4장 바 람
4.1 바람의 원인
4.1.1 바람의 정의
4.1.2 항공에서 바람 방향의 활용
4.1.3 바람 속도
4.2 기압과 바람
4.2.1 기압경도
4.2.2 바람에 작용하는 힘
4.3 바람의 종류
4.3.1 지균풍(geostrophic wind)
4.3.2 경도풍(gradient wind)
4.3.3 지상풍(surface wind)
4.3.4 국지풍(local wind)
4.3.5 중규모 바람
4.3.6 기타 바람
4.4 대기의 순환
4.4.1 대순환의 개념
4.4.2 전향력(Coriolis force)
4.4.3 기압대 분포
4.4.4 3개의 셀
4.4.5 무역풍
4.4.6 상층풍과 제트기류
4.5 제트기류
4.5.1 제트기류의 정의와 발생
4.5.2 제트기류의 종류
4.5.3 제트기류의 활용
제5장 구름과 강수
5.1 안정성
5.1.1 대기의 안정과 불안정
5.1.2 구름의 안정과 불안정
5.2 구름의 생성
5.2.1 구름의 형성 조건
5.2.2 구름 관측
5.3 구름의 분류
5.3.1 분류 기준
5.3.2 상층운(high clouds)
5.3.3 중층운
5.3.4 하층운
5.3.5 수직운
5.3.6 구름 높이 계산
5.3.7 비행과 대기의 안정 및 불안정
5.4 강수
5.4.1 강수의 정의
5.4.2 강수의 형성과정
5.4.3 강수의 구분
5.5 액체 강수
5.5.1 비
5.5.2 꼬리구름
5.5.3 강우량
5.5.4 비의 생성 원인
5.6 언 강수
5.7 어는 강수
5.8 인공강우(cloud seeding)
5.10 항공기 운항과 강수
5.10.1 수막현상
5.10.2 강수와 착시
제6장 안개와 시정
6.1 안 개
6.1.1 안 개
6.1.2 안개의 종류
6.1.3 시 정
6.2 기타 시정장애물
6.2.1 황 사
6.2.2 연 무
6.2.3 연 기
6.2.4 스모그
6.2.5 먼 지
6.2.6 화산재
제7장 전선과 기단
7.1 기 단
7.1.1 기단의 발생
7.1.2 기단 변형(airmass modification)
7.1.3 기단의 안정성(stability)
7.1.4 한반도와 기단
7.2 전 선
7.2.1 전선의 발생
7.2.2 전선의 종류
7.2.3 전선과 구름
7.2.4 전선성 파장과 폐색(frontal wave and occlusion)
제8장 착 빙
8.1 착 빙
8.1.1 개 요
8.1.2 구조적 착빙
8.1.3 흡입 계통의 착빙
8.1.4 전선성 착빙
8.1.5 착빙의 강도
8.1.6 서리(frost)
8.1.7 제빙과 방빙
제9장 뇌 우
9.1 뇌우의 원인
9.1.1 뇌우의 생성 조건
9.1.2 뇌우의 구성 요소
9.1.3 뇌우의 분류
9.1.4 돌풍토네이도 9.1.5 활 반사파
9.1.6 뇌우의 발생과 소멸
9.2 천둥과 번개
9.2.1 번개와 비행
9.2.2 번개의 강도
9.2.3 번개의 형성
9.2.4 뇌우와 번개
9.2.5 번개로부터 항공기 보호
9.3 토네이도
9.3.1 토네이도의 정의
9.3.2 토네이도의 생성
9.3.3 토네이도의 변종
9.3.4 토네이도의 강도
9.4 우 박
9.4.1 우박과 비행
9.4.2 우박의 생성
9.4.3 우박의 생성 조건
9.5 기타 뇌우에 의한 악기상
9.6 뇌우 통과 비행
9.6.1 뇌우 주변 현상
9.6.2 뇌우 회피를 위한 권장 사항
9.6.3 뇌우 통과 전 준수사항
9.6.4 뇌우 통과 중 준수사항
9.7 정전기
9.7.1 정전기 개요
9.7.2 정전기 발생
9.7.3 정전기 특성
9.7.4 정전기 방지
9.7.5 정전기 방전 심지
제10장 기타 악기상
10.1 난기류
10.1.1 개 요
10.1.2 난기류의 원인
10.2 다운버스트
10.3 마이크로버스트
10.3.1 개 요
10.3.2 정의
10.3.3 생성 과정
10.3.4 마이크로버스트와 항공기 운항
10.3.5 시각 식별
10.4 태풍/허리케인
10.4.1 정 의
10.4.2 열대기상
10.4.3 생성과 소멸
10.4.4 발원지
10.4.5 구조와 특성
10.4.6 발달과정
10.4.7 동력원
10.4.8 소 멸
10.4.9 진로
10.4.10 태풍/허리케인의 범주
10.4.11 태풍/허리케인과 비행
[제2부] 항공기상업무
1. 항공기상업무
1.1 항공기상 제작물의 배포
1.1.1 기상 브리핑
1.1.2 인터넷을 통한 조종사 브리핑
1.1.3 항공 디지털 데이터 서비스
1.1.4 전화정보 브리핑 서비스
1.1.5 비행 중 위험기상 조언 서비스
1.1.6 자동종속감시-방송(ADS-B)
2. 항공기상 제작물
2.1 방침
2.2 항공기상 정보의 종류
2.2.1 관측
2.2.2 분 석
2.2.3 예 보
2.3 항공기상 출처의 범주화
2.3.1 정부 기관
2.3.2 Enhanced Weather Information System (EWINS)
2.3.3 상업 기상정보 제공자
3. 문자형식 제작물
3.1 METAR/SPECI
3.1.1 METAR
3.1.2 SPECI
3.1.3 형식
3.1.4 METAR/SPECI 사례
3.2 조종사 기상보고(PIREP)
3.2.1 형식
3.2.2 PIREP 사례
3.3 레이더 기상보고(SD/ROB)
3.3.1 형식
3.3.2 SD 사례
4. 레이더와 위성 영상
4.1 레이더
4.1.1 개요
4.1.2 운용 모드
4.1.3 Echo Intensities(에코 강도)
4.1.4 제작물
4.1.5 레이더 모자이크
4.2 위성
4.2.1 위성 영상의 종류
5. 그래픽 관측과 제작물
5.1 지표면 분석 차트
5.1.1 개요
5.1.2 지표면 분석 차트의 사례
5.2 정압 차트
5.2.1 개요
5.2.2 관측 데이터
5.3 결빙층 그래픽
5.3.1 개요
5.3.2 형식
5.4 기상 묘사 차트
5.4.1 개요
5.4.2 Station Plot Model
5.4.3 기상비행범주 분석
5.5 레이더 요약 차트
5.5.1 개요
5.5.2 형식
6. 항공위험 기상 제작물
6.1 SIGMET
6.1.1 개 요
6.1.2 SIGMET 표준
6.1.3 SIGMET(Non-Convective)
6.1.4 Convective SIGMET
6.1.5 SIGMET(O-CONUS)
6.2 AIRMET
6.2.1 개 요
6.2.2 AIRMET 발표 기준
6.2.3 AIRMET 표준화
6.2.4 AIRMET 발표시간과 유효시간
6.2.5 AIRMET 형식
6.2.6 AIRMET 사례
6.3 G-AIRMET
6.3.1 개 요
6.3.2 G-AIRMET 내용
6.4 중앙 기상 조언
6.4.1 개 요
6.4.2 CWA 기준
6.4.3 CWA 형식
6.4.4 CWA 사례
6.5 기타 대류 제작물
6.5.1 개 요
6.5.2 Convective Outlooks (AC)
6.5.3 Watch Notification Messages
6.6 화산재 기상 제작물
6.6.1 개 요
6.2.2 Volcanic Ash Advisory Center(VAAC)
7. 예보 문자 제작물
7.1 Area Forecasts(FA)
7.1.1 개 요
7.1.2 Area Forecast 표준
7.1.3 Area Forecast 개정
7.1.4 Area Forecast 수정
7.1.5 Area Forecast 형식
7.2 Terminal Aerodrome Forecast(TAF)
7.2.1 개 요
7.2.2 TAF 형식
7.2.3 TAF 사례
7.2.4 TAF 발표
7.4 상층풍과 기온 예보(FB)
7.4.1 개 요
7.4.2 Forecast Altitudes
7.4.3 FB 형식
7.4.4 FB 사례
7.4.5 FB 발표와 지연 예보
8. 예보 차트
8.1 저고도 중요 기상도(SIGWX)
8.1.1 개 요
8.1.2 내 용
8.1.3 발 표
8.2 중고도 중요 기상도(SIGWX)
8.2.1 개 요
8.2.2 내 용
8.3 고고도 중요 기상도(SIGWX)
8.4 그래픽 난기류 가이던스(GTG2)
8.4.1 개 요
8.4.2 발 표
8.4.3 내 용
8.4.4 장점과 제한
8.4.5 활 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