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수능모의고사/기출 > 국어영역
· ISBN : 978899099426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5-03-25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 언어 혁명이 삶의 혁명으로 이어지길 기대하며
제01장 언어영역 이래서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
'양치기'로 고득점(?)
폭탄 피하기
사상누각(沙上樓閣)인 감에 의존하는 공부
유형(類型) 찾다 망하는 공부
공부하는 목표와 목적의 상실
무시되는 '이원목적분류표'
교과서는 내신용(?)
학습활동은 그냥 뛰어넘고
각 문제의 질(質)과 언어영역
참고서와 수능 문제와의 관계
사전, 노트, 옥편은 어디 갔나?
내신.수능 그리고 언어영역에 대한 평가
궁극적인 공부의 목적
[자료] 달라진 수능 언어영역의 평가 목표(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02장 이렇게 시각과 공부 방향만 바꾸어도 언어 최상위권이 된다
언어영역은 대화이다
언어영역은 정밀 과학이다
언어 공부는 정답 찾기가 아니라 정답의 근거 찾기이다
문학 작품은 분석 후에 감상할 수 있어야 한다
비문학은 결국 요약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
구성요소들이 주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생각한다.
언어영역은 결국 관점(觀點, point of view)의 문제이다
언어 공부를 통하여 삶이 변화해야 한다
제03장 새롭게 접근하는 언어영역 학습 혁명
언어영역의 본질
언어영역의 절대 원칙
언어영역 공부방법의 원칙
수능 언어영역의 변화
언어영역 수준별 공부방법
언어영역 공부를 구체적으로 시작하는 방법
언어영역 수능 최종 마무리 자세와 학습법
2005학년도 수능 신유형 특강
제04장 <행동영역>을 이해해야 언어영역이 보인다
어휘.어법
어휘의 의미
어휘 구사 능력
어법
사실적 이해
어떤 문제 유형들이 출제되나?
학생들은 어떤 면에서 어려움을 느끼나?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추론적 이해
어떤 문제 유형들이 출제되나?
학생들은 어떤 면에서 어려움을 느끼나?
어떻게 해결해야하나?
비판적 이해
어떤 문제 유형들이 출제되나?
학생들은 어떤 면에서 어려움을 느끼나?
어떻게 해결해야하나?
창의적 이해
어떤 문제 유형들이 출제되나?
학생들은 어떤 면에서 어려움을 느끼나?
어떻게 해결해야하나?
<자료>언어영역의 성격 및 평가 목표, 학습 방법
제05장 내용영역
듣기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말하기의 특징과 논리적 이해
쓰기
계획단계
집필단계
정리단계
현대시.고전시가
[현대시]
어떻게 출제되나?
어떤 유형의 문제들이 출제되었나?
어떻게 해결해야하나?
시 분석 어떻게 해야 하나?
[고전시가]
어떻게 출제되나?
어떤 유형의 문제들이 출제되었나?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고전시가 분석 어떻게 해야 하나?
연습문제
현대소설.고전산문
어떻게 출제되나?
어떤 유형의 문제들이 출제되었나?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소설 분석 어떻게 해야 하나?
연습문제
수필.희곡
어떻게 출제되는가?
어떤 유형의 문제들이 출제되나?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연습문제
비문학
어떻게 출제되나?
어떤 유형의 문제들이 출제되었나?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연습문제
제06장 2008학년도 언어영역 이렇게 변한다
2008학년도 입시 변화의 핵심
2008학년도 수학능력시험의 성격변화
2008학년도 언어영역의 변화
2008학년도 상위권 대학(학과)의 승부처
2008학년도 언어영역을 통한 대입 준비
2008학년도와 논술, 심층면접 그리고 학교 수업
대학별 고사의 성격 변화
면접, 심층면접, 구술 용어의 개념과 발전과정
논술, 심층면접 대비를 위한 독서
논술, 심층면접 대비 신문 읽기
대학별 고사 - 면접비법
대학별 고사 - 논술의 기초
[자료] 서울대 선정 '서울대 재학생을 위한 권장도서 100선'
부록
[부록①]언어영역 공부방법 예시
[부록②]국어(상, 하) 교과서 학습목표와 점검하기
[부록③]언어영역, 논술, 심층면접, 구술 준비를 위한 추천 도서
감사의 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수학 문제를 풀면서는 +, - 기호 하나, 숫자 1의 오차도 없도록 주의를 기울이면서, 언어영역의 문제를 풀 때는 5개의 답지 중 정답이 아닌 두세 개의 오답을 걸러낸 다음 최종 두 개의 답지를 놓고 대충 감(感)으로 찍는 식으로 답을 찾는다. 찍어서 정답이면 다행이고 틀리면 해설을 보면서 이해를 한다. 그러나 어떤 수능 문제도 같은 지문에 같은 문제가 출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정답과 해설을 보고 이해하는 방식으로는 결코 고득점에 이를 수가 없다. - 본문 42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