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상가의 한방

임상가의 한방

(1st 개정판)

木下繁太朗, 鎌江眞五 (지은이), 이재희 (옮긴이)
의방출판사
6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5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상가의 한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상가의 한방 (1st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임상
· ISBN : 9788992621434
· 쪽수 : 407쪽
· 출판일 : 2017-11-01

책 소개

처방에 맞는 체질을 한눈에 알 수 있게 도표로 제시하고 체질 항목을 추가하여 개정하였다. 증, 설, 맥, 복, 체질로 파악하여 놓고 사용 실제와 주의사항을 제시하였으며, 증후나 병명에 해당된 처방을 기록하여 놓고 유증감별하여 정확한 처방을 투여 할 수 있게 하였다.

목차

推 薦 辭
머 리 말
일러두기
차례

제 1 장 序 論
1. 한약과 일반치료를 併用할 수 있는가? 3
2. 臨床檢査와 한의학 5
3. 한의학 製劑, 사용법 6

제 2 장 가장 흔히 사용되는 基本 10方 7

1. 葛 根 湯 - 頭痛 어깨 뻐근함을 동반하는 감기, 목에서 위의 炎症, 疼痛 11
2. 八味丸(八味地黃丸) - 노인병의 대표적 方劑. 頻尿, 요통, 口渴, 下半身의
機能低下(腎疾患, 膀胱尿路疾患, 당뇨병, 白內障 등). 15
3. 桂枝茯苓丸 - 婦人藥의 대표적方劑. 冷의 逆上, 어깨 뻐근함, 변비,
月經困難(婦人科諸疾患, 紫斑, 皮下出血, 打撲, 眼疾患,
자율신경실조증 등, 美肌削) 20
4. 當歸芍藥散 - 婦人葉의 대표적 方劑. 足腰의 冷, 빈혈경향이며 지치기
쉽고, 頻尿(月経不順, 流産癖, 血道症, 胃・心・腎疾患, 安胎藥)
25
5. 小柴胡湯 - 지치기 쉬움, 식욕부진, 白色舌苔, 口苦感을 동반하는 諸疾患
漫生간염, 呼吸器疾患에 頻用 30
6. 小建中湯 - 허약아의 체질개선, 빈혈, 冷症으로서 逆上, 胃腸이 虛弱한
경우, 夜尿症 헤르니아, 腹痛, 지치기 쉬운 경우 등 36
7. 大柴胡湯 - 胃部의 답답함, 변비가 있는 肥満, 체력이 충실한 實證타입에
사용한다. 41
8. 小青龍湯 - 호흡곤란이나 喘鳴동반하는 咳嗽가 있으며, 泡沫水狀의 痰을
쉽게 喀出하며, 心窩部에 저항이 있는 경우(氣管支천식,
기관지염, 浮腫, 腎炎, 알레르기성鼻炎) 46
9. 柴胡加龍骨牡蠣湯 - 비교적 체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놀라기 쉽고, 화를
잘 내고, 침착하지 못하고 변비경향인 경우에 사용 한다.
(이른바 신경쇠약, 血道症, 고혈압, 불면증, 변비症,
바세도우病, 頸部圓形脫毛症) 50
10. 補中益気湯 - 피로하기 쉽고 식욕도 쇠하며 원기가 없고 脈도 弱하고,
腹壁도 연하며 筋긴장이 弱한 경우(結核, 注夏病, 病後疲勞,
胃下垂, 빈혈, 저혈압, 脱肛) 54

제 3 장 흔히 사용되는 처방 59

- 사용頻度가 높은 것부터 -

사용빈도 A 63
11. 柴胡桂枝湯 - 心窩部가 아프고 식욕부진인 경우, 감기가 오래 끄는 경우에
사용한다.(감기, 胃痛, 胆石症, 간염, 췌장염) 63
12. 半夏厚朴湯 - 목에서 가슴께의 異物感을 동반하는 諸疾患(咽喉頭·食道
신경증, 胃疾患, 嘎알声) 66
13. 半夏潟心湯 - 心寫部의 막힘, 腹鳴, 下痢하는 경우(急性·慢性胃炎, 腸炎,
胃下垂, 구내염, 藥物에 의한 胃障腸害) 69
14. 十味敗毒湯 - 피부질환에 頻用, 알레르기체질의 개선(알레르기性皮膚疾患,
湿疹, 푸룬켈, 乳腺症, 무좀 등) 72
15. 人蔘湯·理中湯 - 지치기 쉽고 心窩部의 답답한 느낌, 下痢, 胃의 아픔
등의 증상이 있고 허약한 경우 75
16. 防風通聖散 - 無害한 한의학의 살 빼는 藥, 脂防으로 뚱뚱한 者로서 변비
하는 경우(肥満體質, 상습성변비, 고혈압 등) 77
17. 防己黃芪湯 - 물렁하게 살이 찌고 근육이 軟하며, 빛깔이 희고 땀을 잘
흘리는 경우에 사용한다.(腎炎, 네프로제, 肥満症 多汗症,
下肢의 관절류머티즘) 80
18. 五苓散 - 體內水分의 偏在(水毒) 調節, 腎疾患, 浮腫, 頭痛, 下痢 등에 사용 82
19. 苓桂朮甘湯 - 頭痛, 眩気症, 일어설 때 눈앞이 캄캄함, 動搖感을 동반하는
諸疾患에 사용한다. 85
20. 加工附子 - 强心, 利尿, 鎭痛에 응용 88

사용빈도 B 89
21. 鎭武湯 - 체력이 衰하고 生氣가 없어지며, 心悸亢進이나 眩氣症이 있고,
신체가 흐느적거리거나 腹痛, 下痢를 초래하는 경우(메니에르
症候群, 기타의 神經系疾患, 小兒自家中毒, 각종 질환으로
陰虛證에 빠진 경우 89
22. 加味逍遙散 - 빈혈경향으로서 冷症 생리불순이 있으며, 逆上, 頭痛, 불면,
精神不安 등이 强한 者에게 사용한다.(허약자의 변비, 婦人血
道症, 流産·中絶·卵管結紮後의 血道症, 肝硬變 등) 91
23. 桃核承氛湯 - 생리불순이 있으며 체격이 좋고 근육질, 변비경향으로서
頭痛 또는 逆上경향이 있으며, 허리나 下肢가 冷하는 者. 左腸
骨窩에 특유한 압통이 있다.(부인과 제질환, 상습변비, 고혈압,
신경질환, 피부질환) 93
24. 桂枝湯 - 허약자의 감기에 사용한다. 頭痛, 惡寒 發熱이 있으며, 自汗이
있는 者(감기, 신경통 류머티즘, 頭痛) 95
25. 黃連解毒湯 - 炎症과 充血로 말미암아 顔色이 붉고 上衝하며, 不安焦燥,
心悸亢進의 경향이 있고 出血의 경향을 지닌 者(諸種의 熱性
疾患, 고혈압증, 신경증 出血, 皮膚瘙痒症) 97
26. 猪苓湯 - 排尿痛, 血尿, 排尿時 不快感, 殘尿感, 尿가 잘 나오지 않는 등이
있으며, 가슴이 답답하고 口渴하는 者
(膀胱炎, 尿道炎, 腎盂炎 등) 99
27. 三黃潟心湯 - 上衝, 顔面紅潮 興奮에 鎭靜的으로 사용한다.(腦出血,
고혈압, 신경증, 口內炎) 101
28. 薏苡仁 - 消炎, 鎭痛, 利尿, 排膿 등의 효과가 있고, 美肌, 사마귀를
떼는 데도 응용한다. 103
29. 柴胡桂枝乾薑湯 - 체력이 약하고 脈에 힘이 없으며 心悸亢進 盜汗, 불면
등이 있으며, 식욕부진이고, 尿量이 적은 者(감기, 폐결핵, 간염,
신경증) 104
30. 安中散 - 허약체질이며 心窩部의 만성적인 痙攣性疼痛, 冷症, 신경질이며
단것을 좋아함(胃潰瘍, 慢性胃炎 기타의 胃痛) 106

사용빈도 C 109
31. 柴胡淸肝湯 - 피부가 검고, 腹直筋이 긴장하며, 만지면 간지러워하는
어린이의 체질 개선약 109
32. 六君子湯 - 위장허약하며 지치기 쉽고, 빈혈, 冷症이며 心窩部에 막히는
느낌이 있는 者(慢性胃炎, 胃癌, 胃下垂) 110
33. 消風散 - 붉은 빛, 가려움이 심하고 분비물이 많고 痂皮를 형성하는
피부병으로서 여름에 악화하기 쉬운 것에 응용 111
34. 五積散 - 下半身이 冷하고, 허리, 下肢, 腹部의 아픔이 있고, 上半身에
上衝症狀이 있는 者. 運動器의 疼痛, 胃腸炎 등 112
35. 桂枝加龍骨牡蠣湯 - 허약하며 지치기 쉽고 興奮하기 쉬운 사람의 神經
不安, 불면, 陰萎. 114
36. 麻黃湯 - 감기의 초기 또는 熱性疾患으로서 惡寒發熱과 더불어 근육통,
관절통, 요통이 있고 發汗하지 않는 者(유행성감기, 熱性病初期,
小兒鼻塞, 夜尿症, 류머티즘) 115
37. 溫淸飮 - 皮膚發赤, 乾燥하고, 充血 上衝경향이 있는 사람의 신경증,
피부병 116
38. 芍藥甘草湯 - 鎭痛·鎭痙劑, 근육의 痙攣·疼痛의 緩解에 사용한다.(腓腸
筋痙攣, 좌골신경통, 五十肩, 腎石疝痛, 胃痙攣, 腸閉塞) 117
39. 四逆散 - 신경질이며 手足이 冷하는 사람의 기침, 신경증, 胃炎 118
40. 十全大補湯 - 全身의 衰弱이 심하고, 빈혈하며, 胃腸도 弱하고 마르며
피부는 枯燥하고, 脈과 腹壁도 軟弱한 者(빈혈증, 病後·수술
후·産後의 衰弱, 카리에스, 子宮出血, 脫肛, 悪液 質 등) 119

사용빈도 D 121
41. 平胃散 - 消化不良을 동반하는 胃腸症狀, 먹으면 下痢하는 者로서,
그다지 衰弱 해있지 않는 者 121
42. 乙字湯 - 치질환자에 頻用, 변비하는 者에게 사용 한다(치질, 痔出血,
脫肛, 皮膚病內攻에 의한 신경증) 122
43. 桂枝加朮附湯 - 冷. 통증, 마비를 동반하는 上·下의 疼痛에 사용, 신경통
류머티즘, 관절통에 응용 123
44. 吳茱萸湯 - 手足이 冷하고, 嘔氣, 명치가 팽만하는 사람의 頭痛, 偏頭痛,
딸꾹질, 嘔吐 124
45. 小半夏加茯苓湯 - 惡阻의 特效藥이다. 胃에 水分이 괴고 嘔吐하는 者에게
사용한다.(惡阻 嘔吐, 胃炎) 125
46. 麻杏薏甘湯 - 冷에서 發熱하여 근육통, 관절통을 호소하는 者로서 慢性化
한 경우. 피부는 發汗, 浮腫 또는 머리에 비듬이 많은 것을
목표로 해서 사용해서 좋다.(關節류머티즘, 筋肉류머티즘,
신경통, 疣贅, 무좀) 126
47. 葛根湯加川芎辛夷 - 목에서 위로의 炎症, 過敏症에 應用, 축농증,
慢性鼻炎, 鼻閉에 사용한다. 127
48. 芎歸膠艾湯 - 出血이 계속되고 빈혈狀으로 된 것으로서, 熱性症狀이
없는 者 (諸種의 出血, 紫斑病, 빈혈) 128
49. 荊芥連翹湯 - 피부가 검고 手足의 裏에 땀을 흘리고, 腹直筋이 긴장하여
過敏한 者에게 사용하고, 蓄膿, 扁桃炎, 여드름, 알레르기 체질에
응용 129
50. 麻子仁丸 - 老人, 허약자 등 體力低下한 者의 변비 130
51. 潤腸湯 - 老人, 허약자로서, 皮膚枯燥하는 者의 변비 131
52. 大黃牡丹皮湯 - 回盲部에 압통이나 硬結이 있고, 체력이 있으며 변비하고,
下腹部에 炎症充血을 동반하는 者 132
53. 釣藤散 - 중년 이후로서 그다지 체력이 없고, 癎이 심하고, 上衝, 頭痛
어깨 뻐근함, 현기증이 있고, 起床 時에 증상이 심한 者 133
54.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 - 手足의 冷, 脈이 細, 下腹部가 아픈 者, 凍瘡에
사용한다.(凍瘡脫疽, 레이노病, 婦人下腹部痛〔冷腹〕, 慢性頭痛,
좌골신경통) 134
55. 麦門冬湯 - 痙攣性咳嗽에 사용한다. 痰이 적고 나오기 힘든다. 감기,
기관지염, 천식, 백일해 135
56. 半夏白朮天麻湯 - 嘔吐, 頭痛, 현기증이 있는 者, 食後嗜眠, 위장장해를
동반하는 頭痛에 사용한다.(頭痛, 현기증, 常習性頭痛, 메니에르
症候群) 136
57. 白虎加人蔘湯 - 더위를 먹어 高熱, 煩渴, 腦症 등으로서, 口渴이 심하고
수분을 찾으며, 發汗 등으로 體液喪失하는 者
(熱症, 熱性疾患, 당뇨병, 피부질환) 137
58. 抑肝散 - 小兒의 경련이나 疳이 고조되어 신경과민이 되고, 흥분하여
잠들지 못하는 자에게 사용하며, 신경증, 불면, 夜啼에 응용 138
59. 抑肝散加陳皮半夏 - 中年 以後의 불면, 不安, 신경증에 응용, 체력이
衰하고 皮膚枯燥하며, 腹部에 動悸가 있는 者에게 사용한다. 139
60. 薏苡仁湯 - 慢性化한 관절통, 근육통으로서 붓고 熱을 지닌 者 140

사용빈도 E 141
61. 龍胆潟肝湯 - 평소 장건한 者의 下半身(泌尿·生殖器)의 炎症, 기타의
질환, 체질개선에 널리 사용한다. 141
62. 越婢加朮湯 - 浮腫, 口渴, 分泌物이 많고 尿量減少를 초래하는 여러
가지의 질환에 사용하며, 腎炎, 네프로제, 湿疹, 관절통에
응용 142
63. 桂枝加芍藥大黃湯 - 복부 팽만이 있고, 변비 경향이며, 배가 아프고
裏急後重하는 者에게 사용한다. 143
64. 桂枝加芍藥湯 - 冷症으로서 배가 그득하고 아픈 者, 복부 팽만감 144
65. 四物湯 - 婦人의 聖葉. 手足이 冷하고, 皮膚枯燥하며, 빛깔이 나쁜, 血道,
빈혈, 신경증에 사용한다. 145
66. 淸暑益氣湯 - 체력이 약한 者, 注夏病의 藥, 더위 등으로 위장이 약해지고
식욕부진, 권태감, 發汗, 下痢 등이 있는 者 146
67. 木防已湯 - 心不全, 심장천식 등이며 체력이 있는 者 147
68. 桔梗石膏 - 목의 아픔에 頻用. 消炎, 鎭痛 排膿I, 去痰의 목적으로 다른
處方에 조합 148
69. 神秘湯 - 慢性의 천식으로서 호흡곤란이 심하고, 痰이 적으며 不安症狀을
동반하는 者 149
70. 加味歸脾湯 - 허약체질이며 血色이 나쁜 者로서, 불면, 精神不安이 있고,
微熱, 盜汗이 있는 者에게 사용하며, 신경증, 血液疾患, 血道에
응용 150
71. 歸脾湯 - 평소 위장이 허약한 사람이 心勞, 過勞, 出血 등으로 불면,
不安을 초래했을 때에 사용한다. 빈혈에 응용 151
72. 桂枝人蔘湯 - 위장이 약한 사람의 頭痛, 감기, 下痢에 사용한다. 152
73. 香蘇散 - 평소 위장이 약하고 신경질인 사람의 感冒의 초기에 사용하며,
魚中毒에 응용 153
74. 五淋散 - 排尿痛, 殘尿感, 血尿 등이 있는 者에게 사용한다. 膀胱炎,
尿道炎, 尿路結石에 응용 154
75. 柴陷湯 - 胸痛, 痰이 잘 나오지 않는 咳嗽, 熱性疾患에 응용 155
76. 四君子湯 - 胃腸의 작용이 衰하고, 빈혈, 衰弱하는 者에게 사용하며,
慢性胃炎, 腹膜炎, 빈혈증에 응용 156
77. 炙甘草湯 - 動悸, 숨참이 있고 脈의 結滯, 不整脈이 있으며, 手足이 화끈
거리고 지치기 쉬운 者(심장판막증, 心悸亢進, 바세도우病,
不整脈, 고혈압) 157
78. 蔘蘇飮 - 위장이 허약한 사람의 感冒로서, 微熱, 咳, 痰에 胃症狀을
동반하여 낫기 어려운 者에게 사용한다. 159
79. 七物降下湯 - 허약자, 빈혈이 있는 者의 고혈압, 동맥경화, 신경증 160
80. 淸上防風湯 - 체력이 있는 者의 여드름, 顔面·頸部의 붉은 빛을 띤 發疹 161
81. 疎経活血湯 - 陳旧한 신경통, 관절통, 류머티즘으로서, 夜間增惡하는
버릇이 있는 者 162
82. 調胃承氣湯 - 種의 緩下劑, 老人虛弱者 등에서 배가 그득하고 입안이
마르며, 변비에 사용 하며, 菌痛에도 有效 163
83. 二陳湯 - 嘔氣, 嘔吐에 頻用. 胃에 물이 괴고, 현기증, 動悸, 痰이 많은 咳,
宿醉, 胃下垂에 응용 164
84. 女神散 - 완고한 上衝f, 현기증, 頭重을 主로 한 血道症에 사용하며,
갱년기장해, 신경증, 月經不順에 응용 165
85. 茯苓飮 - 心窩部에 답답함, 팽만감이 있고, 트림, 가슴앓이, 胃痛, 신물이
올라오는 등의 증상이 있는 者에게 사용하며, 胃炎, 胃下垂,
胃酸過多에 응용 166
86. 茵蔯蒿湯 - 肝細胞性의 황달에 頻用. 황달, 변비, 頭部發汗. 口渴이 있는
者에게 사용한다. 167
87. 麻杏甘石湯 - 口渴, 自汗을 동반하는 심한 기침에 사용하며, 천식 痔核에
사용한다. 168
88. 麻黃附子細辛湯 - 老人이나 虛弱者의 感冒症狀에 흔히 사용 한다.
脈細하고 한기가 심하고 全身倦怠, 無氣力하고 일어나 있을 수
없다고 하는 者, 유행성감기, 기관지염, 肺炎, 천식 169
89. 溫経湯 - 元氣가 衰하고, 冷症, 빈혈경향인 婦人으로서, 生理異常이 있고,
口唇이 마르고, 手掌의 화끈거림, 하복부 불쾌감이 있는 者
(月經不順, 帶下, 出血, 不姙症, 指掌角化症) 170
90. 旋覆花代赭石湯 - 트림(噯氣)이 나오고 胃部에 막히는 느낌이 있는
질병(胃潰瘍, 胃癌, 幽門狹窄症, 胃下垂, 小兒嘔吐) 171
91. 四逆湯 - 쇼크, 虛脫 時의 구급치료약 172
92. 大建中湯 - 발작성인 腸의 蠕動亢進과 심한 腹痛(腸狹窄, 腸捻転, 腸蠕動
不安, 胃下垂) 173
93. 桂枝加苓朮附湯 - 冷症으로 四肢의 관절이 아프고, 屈伸困難하며 마비감
이 있고, 尿가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 사람 174
94. 歸当飮子 - 체력이 없고 冷症으로서, 피부에 가려움이 있는 者에게 사용
하며, 慢性습진, 皮膚瘙痒, 담마진 등에 응용 175
95. 六味丸(六味地黃丸) - 지치기 쉽고, 尿量減少(또는 多尿)한 者로서, 요통,
口渴 등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며, 腎疾患, 당뇨병, 夜尿症에
응용. 小兒에게도 사용한다. 176
96. 竹茹溫胆湯 - 감기가 낫기 어렵고, 기분이 개운치 않고,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이나 痰이 많으며 불면이 있는 者 177
97. 二朮湯 - 근육이 연약하며 위장이 약한 사람의 팔이나 어깨의 아픔에
사용하며, 五十肩, 頸腕症候群에 응용 178
98. 滋陰降火湯 - 체력이 衰하고, 목이 칼칼하고 헛기침이 나오는 者,
예전에는 폐결핵에 사용했다. 179
99. 淸心蓮子飮 - 체력이 衰하고, 下半身이 冷하는데, 上衝하여 목이 마르고,
오히려 尿가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 者에게 사용 하며 慢性의
泌尿·生殖器疾患에 응용. 八味丸을 사용할 수 없는 위장이
약한 사람에게도 사용된다. 180
100. 三物黃苓湯 - 手足이 화끈거리는 여러 가지 질환에 널리 응용, 습진,
무좀, 指掌角化症, 凍傷, 産褥熱 등에 사용한다. 181

사용빈도 F 183
101. 紫雲膏(潤肌膏) - 外用, 防腐, 肉芽促進(乾燥한 것)에 사용한다. 183
102. 神仙太乙膏 - 꽤, 만능적으로 쓸 수 있는 연고로서, 火傷, 外傷, 습진,
皮膚潰瘍, 褥瘡 등에 널리 사용된다. 185
103. 華陀膏 - 무좀 등 白癬症에 널리 응용 186
104. 黃連末 - 구내염, 化膿, 潰瘍 등에 널리 外用 187

제 4 장 한약사용의 실제 증상(主訴)과 병명에서 처방을 생각 한다. 189

한의학 진단의 특징과 그 약점. 191
현대의학 속에서의 한의학. 191
한의학은 卽 治療的 巨視的 病態生理學이다. 191
현대의학적 진단과 한의학 치료. 192
한약이 효과가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 一 환자는 협력자이다. 193

증상(主訴)에서 처방을 생각한다. 195
1. 發熱 197
2. 鼻水, 재채기 198
3. 頭痛 199
4. 咽喉痛 200
5. 천식 201
6. 上腹部痛 203
7. 下腹部痛 205
8. 下痢 205
9. 변비 207
10. 嘔吐 208
11. 딸꾹질 210
12. 가슴앓이 211
13. 황달 212
14. 血便 213
15. 어깨 뻐근함 214
16. 요통(背部痛을 포함) 215
17. 関節痛, 근육통 216
18. 四肢運動痲痺 217
19. 뇌졸중 218
20. 口渴 220
21. 發汗異常 221
22. 眩暈, 현기증 222
23. 多尿, 類尿 223
24. 利尿不全(芝尿, 尿閉, 排尿困難) 224
25. 浮腫 225
26. 心悸亢進 226
27. 불면 227
28. 難廳, 耳鳴 228
29. 전신권태감 229
30. 임포텐쯔 229
31. 비만 230
32. 야윔 231
33. 發疹, (搔痒感=가려움) 232
34. 脫毛(비듬症) 234
35. 上衝(顔面紅潮, 逆上感) 235
36. 冷症 236
37. 月經困難症 237
38. 月經異常(月經不順) 237
39. 惡阻(입덧) 238
40. 帶下(냉) 239
41. 不姙 240
42. 子宮出血 241
43. 無月經 242

병명에서 처방을 생각한다. - 질환별 한의학 處方便覽 245
1. 循環器疾患 247
1. 고혈압증 247
2. 동맥경화증 247
3. 저혈압증 248
4. 心臟신경증, 發作性心急摶症
(WPW 症候群) 248
5. 뇌졸중(半身不随, 偏痲痺) 249
6. 협심증, 心筋梗塞 250
7. 心不全, 心臟性천식, 심장판막증 250
8. 特發性脫疽(바저病), 血栓性靜
脈炎, 레이노病 251

2. 呼吸器疾患 253
9. 風邪症候群(인플루엔자) 253
10. 急性·慢性 기관지염 254
11. 기관지천식 255
12. 肺炎 255
13. 胸膜炎(肋膜炎) 256
14. 폐결핵 257

3. 消化器疾患 259
15. 急性胃炎 259
16. 慢性胃炎, 胃·十二指腸
潰瘍 259
17. 胃癌, 食道癌, 肝臟癌 261
18. 胃下垂, 胃아토니(胃腸虛
弱症, 胃弱) 262
19. 急性腸炎 262
20. 慢性腸炎, 潰瘍性대장염,
過敏大腸 263
21. 蟲垂炎 264
22. 痔核, 脫肛 264
23. 急性·慢性간염, 肝硬變 265
24. 急性·慢性腹膜炎 266
25. 담석증, 膽道症, 담낭염 267
26. 헤르니아(脫腸) 267

4. 腎·尿路疾患 269
27. 急性·慢性腎炎, 네프로제 269
28. 腎盂炎, 腎盂腎炎 270
29. 腎結石, 尿路結石 270
30. 膀胱炎, 尿道炎 271
31. 前立脈肥大症 271
32. 精力減退, 임포텐쯔 272
33. 陰囊水腫 272

5. 血液疾患 273
34. 빈혈증(出血경향) 273
35. 紫斑病 274
36. 白血病 274

6. 內分泌疾患및 新陳代謝障害 275
37. 당뇨병 275
38. 바세도우病 276
39. 痛風 276

7. 神經系疾患, 精神障害 277
40. 慢性頭痛, 偏頭痛 277
41. 신경통(三叉신경통,
坐骨신경통, 肋間신경통) 278
42. 顔面經痛痲痺 278
43. 불면증 279
44. 신경증 노이로제 280
45. 鬱病 281
46. 癲癎 281
47. 히스테리 281
48. 精神分裂症 282

8. 運動器疾患, 過芳性疾患 283
49. 요통症, 椎間板헤르니아 283
50. 頸腕症候群, 頸肩腕障害 283
51. 鞭打症 284
52. 五十肩(四十腕) 284
53. 慢性関節류머티즘 285
54. 變形性関節症 286
55. 자율신경실조증 286
56. 打身, 捻挫, 打撲症 287

9. 皮膚疾患 289
57. 急性·慢性湿疹,
아토피性皮膚炎 289
58. 담마진 290
59. 皮膚 瘙痒症 290
60. 指掌角化症, 主婦湿疹 291
61. 원형탈모증 292
62. 掌蹠 膿泡症 292
63. 帶狀疱疹, 헤르페스 293
64. 기미, 肝斑. 黑皮症 294
65. 사마귀, 물사마귀, 못, 티눈 294
66. 거친 피부 295
67. 여드름 295
68. 酒皶鼻(딸기코) 296
69. 凍療瘡 296
70. 무좀(汗泡症白癬) 296
71. 頑癬 297
72. 顔面白癬 297
73. 傳染性膿痂疹 298
74. 蓐瘡 298
75. 瘭疽 298
76. 癤, 癰 298
77. 火傷 299
78. 尋常性乾癬 299
79. 尋常性白斑 300
80. 암내(腋臭) 300
81. 円板狀에리테마토데스,
晩成円板狀紅斑性狼瘡 300
82. 多汗症 300

10. 眼科疾患 301
83. 眼精疲勞 301
84. 假性近視 301
85. 白內障 302
86. 綠內障 302
87. 眼底出血 303
88. 淚囊炎 303
89. 結膜炎 304
90. 角膜炎, 虹彩炎 304
91. 다래끼(麦粒腫) 305

11. 耳鼻咽喉科, 齒·口內疾患 307
92. 중이염, 外耳炎 307
93. 알레르기性鼻炎 307
94. 急性·慢性鼻炎 308
95. 축농증, 急性·慢性
副鼻腔炎 308
96. 구내염 309
97. 口臭 310
98. 齒槽膿漏 310
99. 치통, 齲齒 311
100. 扁桃炎, 안기나 311
101. 메니에르症候群 311

12. 小兒科疾患 313
102. 麻疹 313
103. 水痘 313
104. 夜尿症 314
105. 夜啼症(夜驚症) 314
106. 流行性耳下腺炎 315
107. 虛弱兒, 小兒 허약체질 315
108. 小兒천식 316
109. 自家中毒症 316
110. 消化不良症 317
111. 小兒스트로풀스 317

13. 産婦人科疾患, 女性의 病 319
112. 乳腺炎 319
113. 乳腺症, 乳腺腫 319
114. 流産, 早産 320
115. 子宮發育不全 320
116. 子宮筋腫, 子宮內膜症 321
117. 乳癌 321
118. 子宮癌 322
119. 姙娠中毒症, 産前 産後의
異常 322
120. 子宮附屬器炎 323
121. 子宮內膜炎(帶下) 324
122. 子宮下垂, 子宮脫 325
123. 不感症 325
124. 갱년기장해, 血道症 326


제 5 장 한의학 진찰의 기초 329

1. 한의학 진찰의 실제
~主訴에서 “證”을 결정한다. 333
1) 한의학 진단학의 특징(西洋內科診斷學과의 相違) 334
2) 한의학의 診察法(四診) 334
가. 望診(視診)-전체를 본다. 335
➊ 苔, 體格, 營養, 動作
(形, 色, 態)을 어떻게 볼 것
인가. 335
➋ 舌診法 336
➌ 顔色望診法 339
나. 聞診 - 音聲을 듣는다. 339
➊ 苔, 音聲 339
➋ 냄새 340
다. 問診 - 증상을 물어서 생각한다.
340
➊ 發熱, 惡寒. 340
➋ 發汗. 340
➌ 便通, 排尿成態. 340
➍ 嘔吐 341
➎ 食慾 341
➏ 口乾, 口渴 341

라. 切診 - 脈  腹을 만져보고
생각한다. 341
➊ 脈診 341
➋ 腹診 341
2. 한의학 진찰에 필요한 기초개념 351

➊ 八綱辨證法이란 무엇인가? 352
𝐀. 陰과 陽 353
𝐁. 表와 裏 353
𝐂. 寒과 熱 354
𝐃. 虛와 實 355
➋ 臟象學說 356
𝐀. 臟과 腑의 槪念 357
𝐁. 臟腑의 相互關係
(對立과 統一의 關係) 357
𝐂. 臟腑槪念에 있어서의
陰陽五行說. 358
𝐃. 臟器의 配置와 陰陽關係 358
➌ 五臟의 槪念. 359
𝐀. 心 359
𝐁. 肝 359
𝐂. 腎 359
𝐃. 脾 360
𝐄. 肺 360

➍ 六腑의 槪念 360
𝐀. 小腸 360
𝐁. 膽 361
𝐂. 膀胱 361
𝐃. 大腸 361
𝐄. 胃 361
𝐅. 三焦 361
𝐆. 奇恒의 腑(腦, 髓, 骨,子宮) 362
➎ 氣 血, 水, 生理病理說 362
𝐀. 氣의 生成과 作用 363
𝐁. 血의 生成과 作用 363
𝐂. 水의 生成과 作用 364
➏ 病因論 365
1. 外因(六淫) 365
2. 內因(七情) 366
3. 不內外因 367
➐ 經絡學說의 槪要 368
𝐀. 經絡의 構成 368
𝐁. 經絡의 作用 370

색인
병명 찾아보기 375
처방과 증상 찾아보기 379
처방구성 찾아보기 389
유증감별 찾아보기 397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