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공 중국문학사

전공 중국문학사

구교현 (엮은이)
북타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공 중국문학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공 중국문학사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88992738026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7-06-23

책 소개

선진시기(先秦時期)부터 당대문학(當代文學)까지 시대별로 서술하였고 개황에서 시대적 특징과 문학적 특징을 논술한 다음, 각각의 장르별로 요약/정리하였다. 장르별 중심내용을 수록하면서, 임용에서 출제되었던 문제를 전개 중에 기술하였으며 심화학습에서 원문을 제시하여서 충분히 임용고사에 대비토록 하였다.

목차

1장 선진문학(先秦文學)
1절 개황 / 17
1. 시대적 특징 17
2. 문학적 특징 18
2절 시경(詩經) / 19
1. 창작시기 19
2. 시경의 문학사적 의의 및 영향 19
3절 서경(書經) / 22
1. 서주산문(西周散文) 22
2. 동주산문(東周散文) 23
. 대학(大學) 24
. 심화학습 27

2장 한대문학(漢代文學)
1절 개황 / 33
1. 시대적 특징 33
2. 문학적 특징 34
2절 초사(楚辭) / 36
1. 초사(楚辭) 36
2. “초사” 탄생의 시대배경 36
3. 굴원(屈原) 작품의 예술적 의의 37
4. 초사의 영향 37
5. “시경(詩經)”과 “초사(楚辭)”의 비교 38
3절 한부(漢賦) / 39
1. 한부의 기원 39
2. 한부의 내용 39
3. 한부의 특징 39
4. 한부의 구성 39
5. 한부의 발전과 영향 40
6. 서한부(西漢賦)의 대표적 작가 및 작품 40
7. 동한부(東漢賦)의 대표적 작가 41
4절 한대(漢代)의 산문 / 43
1. 사전산문(史傳散文) 43
2. 이론산문(理論散文) 44
5절 한대의 시가 / 46
1. 악부(樂府) 46
2. 오언고시(五言古詩) 47
3. 칠언고시(七言古詩) 49
- 심화학습 50

위진남북조문학(魏晉南北朝文學)3장
1절 개황 / 55
1. 시대적 특징 55
2. 문학적 특징 56
2절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의 시 / 58
1. 건안(建安)의 시-위(魏)의 詩 58
2. 정시(正始)의 시 60
3. 서진(西晋)의 시-태강시(太康詩) 61
4. 동진(東晋)의 시 62
5. 남조(南朝)의 시 63
6. 북조(北朝)의 시 65
3절 남북조민가(南北朝民歌) / 66
1. 남북조의 민가 비교 66
2. 목란시(木蘭詩) 66
4절 위진남북조의 변려문 / 68
5절 위진만북조(魏晋南北朝)의 소설 / 69
1. 고대 소설의 정의 69
2. 지괴소설(志怪小說) 70
3. 지인소설(志人小說) 72
6절 위진남북조의 비평문학(批評文學) / 73
1. 조비(曹丕)의 “전론(典論)·논문(論文)” 73
2. 육기(陸機)의 “문부(文賦)” 73
3. 유협(劉?)의 “문심조룡(文心雕龍)” 74
4. 종영(鍾嶸)의 “시품(詩品)” 74
5. 소통(蕭統)의 “문선(文選)” 75
6. 서릉(徐陵)의 “옥대신영(玉臺新詠)” 76
-심화학습 77

당대문학(唐代文學)4장
1절 개황 / 87
1. 시대적 특징 87
2. 문학적 특징 88
2절 당대(唐代)의 시 / 90
1. 당시의 발전 원인 90
2. 당시(唐詩)의 구분 90
3. 초당(初唐)의 시 91
4. 성당(盛唐)의 시 93
5. 중당시기(中唐時期) 97
6. 만당시기(晩唐時期) 102
3절 압운법(押韻法) / 103
1. 한시(漢詩)의 정의와 형식 103
2. 압운(押韻) 104
3. 한시의 형식 106
4. 한시의 표현 106
5. 평측의 규칙 108
6.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의 용운과 격식 109
4절 당대고문운동(唐代古文運動) / 110
1. 고문운동배경(古文運動背景) 110
2. 고문운동성격(古文運動性格) 111
3. 고문운동의 발전 111
4. 한유(韓愈)·유종원(柳宗元) 고문론 111
5. 고문운동(古文運動)의 득실(得失) 112
5절 전기소설(傳奇小說) / 113
1. 전기소설 발생배경 113
2. 전기소설의 특징 114
3. 전기소설의 내용 114
4. 전기소설의 문학적 의의 116
6절 기타 / 117
1. 시여(詩餘) 117
2. 변문(變文) 117
3. 화간집(花間集) 117
- 심화학습 119

송대문학(宋代文學)5장
1절 개황 / 129
1. 시대적 특징 129
2. 문학적 특징 129
2절 송대의 산문 / 131
1. 송초의 고문운동 131
2. 구양수(歐陽修)의 고문운동 131
3절 송시(宋詩) / 132
1. 송시의 발전과정 132
4절 송사(宋詞) / 136
1. 송사의 발생 배경 136
2. 북송(北宋)의 사 136
3. 남송(南宋)의 사 139
5절 송대의 화본(話本) / 141
1. 발생 141
2. 발전 141
3. 주요작품 142
6절 송대의 희극 / 144
1. 가무희(歌舞戱) 144
2. 강창희(講唱戱) 145
3. 희문(戱文) 146
. 심화학습 147

원대문학(元代文學)6장
1절 개황 / 155
1. 시대적 특징 155
2. 문학적 특징 155
2절 원곡(元曲) / 157
1. 원곡의 발전 원인 157
2. 산곡(散曲) 157
3. 잡극(雜劇) 160
- 심화학습 164

명대문학(明代文學)7장
1절 개황 / 169
1. 시대적 특징 169
2. 문학적 특징 170
2절 명대의 시문 / 172
1. 명대의 시의 개황 172
3절 명대의 소설 / 176
1. 명대 소설의 성행원인 176
2. 장편소설(長篇小說) 176
3. 단편소설(短篇小說) 180
4절 명대의 희곡 / 182
1. 전기(傳奇)의 발전과정 182
2. 전기(傳奇)와 잡극(雜劇)의 차이점 182
3. 오대전기작품(五代傳奇作品) 183
4. 곤강(崑腔) 185
- 심화학습 188

청대문학(淸代文學)8장
1절 개황 / 195
1. 시대적 특징 195
2. 문학적 특징 195
2절 청대의 시 / 197
1. 청초의 시단 197
2. 종당시파(宗唐詩派) 198
3. 종송시파(宗宋詩派) 199
4. 성령시파(性靈詩派) 199
5. 청말(淸末)의 시단 200
3절 청대의 산문 / 201
1. 청초(淸初)의 산문 201
2. 동성파(桐城派) 201
3. 양호파(陽湖派) 202
4. 변문파(騈文派) 202
4절 청대의 사 / 203
1. 청초(淸初)의 사 203
2. 상주사파(常州詞派) 204
3. 만청(晩淸)의 사 204
5절 청대의 희곡 / 205
1. 개황 205
2. 잡극(雜劇) 205
3. 전기(傳奇) 206
4. 화부희(花部戱) 208
6절 청대의 소설 / 209
1. 청대소설의 발달 원인 209
2. 의진당소설(擬晋唐小說) 209
3. 언정소설(言情小說) 211
4. 풍자소설(諷刺小說) 또는 사회소설(社會小說) 213
5. 청대 후기의 소설 214
7절 청대(淸代)의 강창(講唱) / 216
. 심화학습 217
현대문학(現代文學)9장
1절 서양문학의 도입 / 225
1. 양계초(梁啓超)의 공리주의(功利主義) 문학론 225
2. 왕국유(王國維)의 문학미학론(文學美學論) 226
3. 노신(魯迅)의 진화론적 낭만주의 문학론 226
4. 주작인(周作人)의 인도주의 문학론 226
2절 문학혁명론(文學革命論) / 228
1. 개황 228
2. 문학혁명의 배경 229
3. “신청년(新靑年)”과 문학혁명 229
4. 문학사단의 활동 231
5. 시(詩) 232
6. 소설(小說) 233
7. 산문(散文) 237
3절 혁명문학론(革命文學論) / 239
1. 개황 239
2. 혁명문학론의 논쟁 239
4절 좌련시기(左聯時期) / 241
1. 개황 241
2. 좌익작가연맹결성(左翼作家聯盟結成) 242
3. 문예대중화론 242
4. 좌련시기의 대표소설 244
5. 희곡 246
6. 민족형식논쟁(民族形式論爭) 246
5절 항전시기(抗戰時期, 1937-1949) / 248
1. 개황 248
2. 문예강화(文藝講話) 249
3. 항전시기의 작가 249
- 심화학습 252

당대문학(?代文學)10장
1절 개황 / 263
2절 1950년대 문학론 / 265
1. 문학배경 265
2. 건국초기의 문학 265
3. 쌍백방침(雙百方針)과 반우파투쟁(反右派鬪爭)의 시기(1956~1958) 266
3절 문혁기(文革期) 문학론 / 268
1. 해서파관(海瑞罷官)의 비판 268
2. 양판희운동(樣板戱運動) 269
3. 천안문시가(天安門詩歌) 269
4절 신시기문학(1970년대후반~1980) / 270
1. 개황 270
2. 신시기 문학의 성격 270
5절 현대주의(現代主義) 문학 / 272
1. 개황 272
2. 몽롱시(朦朧詩) 272
- 심화학습 274

중국어과 교육과정 해설부록
1. 성격 279
2. 목표 280
3. 내용 280
4. 교수·학습방법 282
5. 평가 283
6. 의사소통 기능 예시문 285
7. 연간 수업 지도 계획 290
8. 외국어 교수법의 이론과 실제 295

저자소개

구교현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구교현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