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광재 전공국어 학교문법 지도서

유광재 전공국어 학교문법 지도서

(중등 임용 고시 대비서)

유광재 (지은이)
북타운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광재 전공국어 학교문법 지도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광재 전공국어 학교문법 지도서 (중등 임용 고시 대비서)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88992738385
· 쪽수 : 1008쪽
· 출판일 : 2008-07-15

책 소개

7차 문법개정 교육과정 내용 및 해설을 반영했으며 평가원 출제경향에 맞춘 문법지도서이다. 각 장르별 고전문법과 현대문법을 비교분석하고, 다양한 예문을 통한 실전 감각을 배양한다. 문법 지식을 뒷받침하는 해설과 예문을 수록했으며 7차 문법교과서와 지도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정리했다.

목차

총론
1. 문법 기출 문제 분석(1997학년도 ~ 2008학년도)
2. 전공국어 문법 CHECK POINT
3. 임용시험 평가요소
4.7차 개정 문법
5. 7차 문법 교육과정의 이해
6.탐구 학습의 이해

Part 1. 언어의 본질

1. 언어와 인간
1) 언어와 사고
(1) 언어는 사고의 틀
(2) 언어와 사고의 관계설
(3) 사고가 언어에 관여하는 양상
(4) 언어에 담긴 언중(言衆)의 사고 방식을 통하여 언어와 사고의 관계 이해하기
2) 언어와 사회
(1) 언어와 사회의 관계에 따른 기능
(2) 언어 자료를 통한 언어와 사회의 관계
(3) 언어 자료를 보고 그 시대의 사회상 추리하기
(4) 언어에 반영된 사회 변동 양상
(5) 남북한의 언어와 사회
3) 언어와 문화
(1) 언어와 문화의 관련성
(2) 우리 언어문화의 특징
(3) 우리 사회의 문화적 특성 알기
(4) 속담에 담긴 우리 나라의 문화적 특성
(5) 한국어와 영어의 언어 표현의 차이와 문화적 특성
(6) 외래어 남용 실태를 통하여 언어 현실 살펴보기
(7) 외래어나 고유어에 대한 긍정적 태도
(8) 외국어 사용이 국어 그리고 한국인의 정신문화에 끼치는 영향
4)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
(1) 구어(口語)가 문자(文字)보다 더 기본적이라는 관점
(2)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의 차이
(3)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의 장점과 단점
(4)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의 비대칭적 성격
(5) 언어의 기능
2. 언어의 특성
1) 언어의 기호적 특성
(1) 언어의 자의성(恣意性)
(2) 언어의 사회성(社會性)
(3) 언어의 역사성(歷史性)
(4) 언어의 분절성(分節性)
(5) 언어의 추상성(抽象性)
(6) 언어의 창조성(創造性)
2) 언어의 구조적 특성
(1) 규칙(법칙)
(2) 체계(體系)
3. 국어와 한글
1) 국어의 특질
(1) 음운의 특질
(2) 어휘의 특질
(3) 문법적 특질
2) 위대한 문화유산, 한글
(1) 한글의 우수성
(2) 한글의 제자 원리
학습점검문제

Part 2. 말소리

1. 음운과 음운 체계
1) 음성과 발음 기관
(1) 음성(音聲)
(2) 발음 기관
2) 국어의 음운 체계
(1) 음운(音韻)
(2) 모음(母音)
(3) 자음(子音)
(4) 소리의 길이
3) 음절(音節)
(1) 음절의 개념
(2) 음절의 구조
(3) 음절의 형태
(4) 음절 구조의 제약적 특성
(5) 음절 구성 이론
(6) 음절의 끝소리 탐구
2. 음운의 변동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1) 말음규칙(末音規則)
(2) 연음법칙(連音法則)
(3) 음절의 끝소리와 관련된 표준 발음법 탐구하기
(4) 밑줄 친 단어들의 발음 알아보기
(5) 끝소리 발음 변화 정리하기
(6) 끝소리 되기의 심층 탐구
2) 음운의 동화
(1) 자음동화(子音同化)
(2) 구개음화(口蓋音化)
(3) 모음동화(母音同化)
(4) 모음조화(母音調和)
3) 음운의 축약과 탈락
(1) 축약
(2) 탈락(脫落)
4) 사잇소리 현상
(1) 사잇소리의 성격
(2)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기 위한 필수 요건
(3) 사잇소리의 첨가음(添加音)
(4) 사잇소리의 기본 3 구조
(5) 사잇소리에 관한 규정
(6) 사잇소리 현상에 대해 탐구하기
(7) 잘못된 발음 습관과 표준 발음에 대한 생각 정리
3. 소리에 관한 것
1) 두음 법칙(頭音法則)
(1) 두음회피 규칙
(2) 중세 국어의 두음 법칙(頭音法則)
(3) 맞춤법 규정 ‘두음법칙’ 탐구하기
2) 된소리 되기
(1) 된소리 규칙
(2) 용언의 된소리되기
(3) 중세 국어의 된소리 되기와 거센소리 되기
(4) 한글 맞춤법 ‘된소리 규정’ 탐구하기
(5) 음의 연계에서 된소리가 될 수밖에 없는 경우
(6) 지나친 된소리 발음 추세와 바른 발음 익히기
3) 어감(語感)의 분화
(1) 개념
(2) 모음의 대립
(3) 자음의 대립
(4) 모음 교체 탐색하기
학슴점검문제

Part 3. 단어(單語)

1.단어의 형성
1) 형태소(形態素)
(1) 형태소의 성격
(2) 형태소 분석의 원리
(3) 형태소 표기의 약속
(4) 형태소의 종류
(5) 이형태(異形態)
(6) 다양한 형태소의 유형 알기
(7) 형태소 나누기
2) 단어의 형성
(1) 단어의 성격
(2) 단어의 양상
(3) 단어 나누기
(4) 어근의 이해
(5) 접사(接辭)의 이해
(6) 어근과 접사의 모습 바뀜
(7) 직접 구성 요소 이해하기
2.품사
1) 품사 개관
(1) 정의
(2) 품사 분류의 기준
2) 체언(體言) : 명사, 대명사, 수사(名詞, 代名詞, 數詞)
(1) 체언의 성격
(2) 체언의 갈래
(3) 체언의 기능
(4) 체언의 격표시
(5) 체언의 복수 표시
(6) 명사·대명사·수사의 비교
(7) 체언에 대한 지도
3) 관계언 : 조사(助詞)
(1) 조사의 성격
(2) 조사의 형태 바뀜
(3) 조사의 지도
(4) 조사의 종류
(5) 격조사(格助詞)
(6) 접속 조사(接續 助詞)
(7) 보조사(補助詞)
4) 용언(用言) : 동사, 형용사(動詞, 形容詞)
(1) 용언의 특성
(2) 용언의 기능
(3) 용언의 종류
(4)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기준
(5) 아래 제시된 용언을 동사와 형용사로 구별하여 보기
5) 수식언(修飾言) : 관형사·부사(冠形詞, 副詞)
(1) 수식언의 특성
(2) 수식언의 종류
6) 독립언 : 감탄사(感歎詞)
(1) 특성
(2) 감탄사의 유형
(3) 감탄사의 판별
(4) 감탄사의 품사 통용
(5) 관형사, 부사, 감탄사의 비교

Part 4. 어휘(語彙)

1. 어휘 체계(語彙 體系)
1) 어휘 체계
(1) 어휘 체계 알기
(2) 어휘를 개방 집합과 폐쇄 집합으로 나누기
(3) 어휘의 분류 기준 찾기
2) 고유어(固有語)와 한자어(漢字語)
(1) 고유어 알기
(2) 한자어 알기
(4) 고유어를 한자어로 바꾸어 보기
(5)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현상 알기
3) 외래어(外來語)와 외국어(外國語)
(1) 외래어와 외국어의 특성
(2) 외래어의 유입과 순화
(3) 외래어의 양상 및 기능에 대하여 생각하기
(4) 외래어의 남용 문제 인식하기
(5) 외래어와 외국어 남용 현상의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해 생각하여 보기
2. 어휘의 양상
1) 방언(方言)
(1) 방언의 종류
(2) 다양하게 분화된 방언 어휘에 대하여 알기
(3)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알기
(4) 국어 교육과 방언
2) 은어(隱語)와 속어(俗語)
(1) 은어
(2) 속어(俗語)
3) 금기어(禁忌語), 완곡어(婉曲語)
(1) 금기어
(2) 완곡어(婉曲語)
4) 관용어(慣用語), 속담(俗談)
(1) 관용어
(2) 속담(俗談)
5) 전문어(專門語)
(1) 전문어의 개념
(2) 전문어의 성격
(3) 전문어의 종류
(4) 전문어 사용 실태
(5) 학교 교과목의 전문어를 조사하고, 전문어 지식과 해당 교과 지식의 상관성 알기
(6) 전문어와 은어의 공통점과 차이점
6) 새말
(1) 새말의 개념
(2) 새말의 등장 이유
(3) 새말의 범위에 따라
(4) 자국의 조어 방식에 따라
(5) 신조어가 만들어지는 방식
(6) 고유어로 만들어진 새말의 유형 파악하기
(7) 형태적 과정에 따른 새말
(8) 최근 생겨난 새말 조사하기
(9) 기존의 의미에 새로운 의미가 첨가된 새말에 대하여 알기
(10) 인터넷과 관련된 새말의 양상 알기
(11) 국어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주장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이다.
학습점검문제

Part 5. 문장(文章)

1.문장의 성분
1) 문장과 문법 단위
(1) 문장(文章)
(2) 문장의 문법 단위
(3) 우리 국어의 어순 알기
(4) 보조사와 주어·목적어 등의 구문직능 표지의 관계 알기
2) 문장 성분의 종류
2. 문장의 짜임
1) 문장의 짜임새
(1) 홑문장 알기
(2) 겹문장 알기
(3) 홑문장과 겹문장 파악하기
2) 안은 문장과 안긴 문장
(1) 명사절을 안은 문장
(2) 관형절을 안은 문장
(3) 부사절을 안은 문장
(4) 서술절을 안은 문장
(5) 인용절을 안은 문장
3) 이어진 문장
(1) 문장의 이어짐
(2)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3) 종속적으로 이어짐
(4) 이어짐의 제약
(6) 문장의 확대 방식의 유형 알기
(7) 문장의 문제점을 찾고, 수정한 문장의 타당성 확인하기
(8) 부자연스럽거나 잘못된 문장을 바르게 고치기
3. 문법의 요소
1) 문장의 종결 표현
(1) 문장 종결의 유형
(2) 단독적 장면의 문장 종결법
(3) 문장 종결에 따른 상대 높임법의 형태등급
(4) 우리 국어와 영어의 문법 기능 실현 방법 알기
(5) 종결 표현 파악하기
(6) 인터넷상의 종결 표현 특징 찾기
(7) 억양에 따라 문장 유형 파악하기
(8) 부정 의문문에 답하기
2) 높임법
3) 시간 표현
4) 피동문(被動文)
(1) 능동(能動)과 피동(被動
(2) 피동문 되기
(3) 피동문의 특징
(4) 피동문 만들기
(5) 능동문과 피동문의 동의성 파악하기
(6) 어색하거나 잘못된 피동 표현 찾기
(7) 중세 국어의 피동문
(8) 피동법의 변화
5) 사동문(使動文)
(1) 주동(主動)과 사동(使動)
(2) 사동문 되기
(3) 사동문 만들기
(4) 사동문의 통사상(統辭上) 특징
(5) 사동문의 의미
(6) 파생적 사동문과 통사적 사동문의 차이 구분하기
(7) 어색하거나 잘못된 사동 표현 찾기
(8) 중세 국어의 사동문
(9) 사동 표현의 관용구와 변천 알기
6) 부정문(否定文)
(1) ‘안’ 부정문
(2) ‘안’ 부정문의 해석
(3) ‘못’ 부정문
(4) 명령문과 청유문의 부정
(5) 부정 표현의 특이성 탐구하기
(6) 부정문의 다양한 문법 현상 알기
(7) 중세 국어의 부정문
학습점검문제

Part 6. 의미(意味)

1. 언어와 의미
1) 언어의 의미
2) 의미의 종류
2. 단어 간의 의미 관계
1) 의미 관계의 이해
(1) 성분 분석의 개념 알기
(2) 성분 분석의 원리
2) 의미 관계의 유형
학습점검문제

Part7. 이야기
1. 이야기의 개념
1) 발화(發話)와 이야기
(1) 이야기의 개념 알기
(2)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한 요소
(3) 이야기의 유형
(4) 담화와 텍스트
2) 발화의 기능
(1) 발화의 기능
(2)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발화의 요건 알기
(3) 발화의 여러 가지 기능에 대하여 알기
(4) 발화를 행위로 실현하는 방법(화행의 방법)
(5) 다음은 ‘여우와 염소’라는 동화의 일부분이다. 이를 읽고 발화의 기능에 대하여 알아 보자.
(6) 다양한 감정 기호의 의미와 기능 알기
2.이야기의 요소
1) 이야기의 구성 요소
(1) 말하는 이·듣는 이
(2) 내용(발화, 문장)
(3) 장면
2) 지시 표현
(1) 지시 표현의 종류
(2) 지시어의 이해
(3) 상황에 적절한 지시 표현 찾아 넣기
(4) 원근 표현 - 지시어 ‘이, 그, 저’ 쓰임의 기준이 될 만한 가설 설정
3) 높임 표현
(1) 높임 표현과 이해
(2) 높임 표현의 다양한 실현 양상
(3) 높임 표현의 기능 및 의의
(4) 높임 표현이 사용되는 여러 가지 상황 정리하기
4) 심리적 태도
(1) 심리적 태도와 서법
(2) 심리적 태도의 표현과 이해
(3) 용언의 의미로 구현되는 심리적 태도 파악하기
(4) 심리적 태도의 실현 양상
5) 생략 표현
(1) 생략 현상의 원인
(2) 생략 표현의 특징
(3) 상황을 참조하여 생략된 성분을 복원하기
(4) 신문 기사 참조하여 표제어 만들기
6) 질문과 대답
(1) 물음의 기능과 그에 따른 응답
(2) 질문과 대답의 실현
7) 장면에 따른 이해
(1) 발화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지식
(2)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 지식 찾기
(3)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배경 지식 말하기
(4) 이야기에 관여한 장면 탐구하기
3.이야기 짜임
1) 이야기의 구조
(1) 이야기 성립 요건 판별하기
(2) 문맥에 맞는 연결어 찾아 넣기
2) 이야기의 내용 구조
(1) 내용 구조의 정의
(2) 통일된 이야기로 재구성하기
3) 이야기의 형식 구조
(1) 형식 구조의 정의
(2) 내용 구조와 형식 구조의 관계
(3) 통일된 이야기 만들기
(4) 텍스트 생산의 원리
학습점검문제

Part 8. 국어의규범

1. 표준어와 표준 발음
1) 표준어(標準語)와 방언(方言)
(1) 표준어 제정의 목적
(2) 표준어의 기능
(3) 표준어와 방언의 효과 및 기능 알기
(4) 시를 통한 방언의 기능 및 가치 알기
(5) 표준어가 아닌 단어를 표준어로 바꾸기
(6) 표준어와 비표준어 구별하기 Ⅰ
(7) 표준어와 비표준어 구별하기 Ⅱ
(8) 표준어와 비표준어 구별하기 Ⅲ
(9) 표준어 규정 익히기
(10) 표준어와 복수 표준어
2) 표준 발음
(1) 표준 발음에 맞게 발음하기
(2) 소리의 길이를 구분하여 발음하기
(3) 한글 자모의 이름 발음하기
(4) 겹받침의 표준 발음 알기
(5) 표준 발음 익히기
(6) 표준 발음의 실현
(7) 국어의 ‘표준 발음법’과 관련된 논란의 발생 원인
(8) 표준어, 표준발음, 표기법
2. 한글 맞춤법
1) 한글 맞춤법의 역사와 원리
(1) 1933년 통일안과 1988년 맞춤법 간에 변화가 생긴 이유에 대하여 알기
(2) 표의주의와 표음주의 표기법의 장단점 알기
(3) 단어 수준에서 고치기
(4) ‘표음주의’와 ‘표의주의’의 절충 - ‘부치다’와 ‘붙이다’의 차이 구분하기
(5) 맞춤법에 맞는 표현 찾기
(6) 고빈도 오용 사례 학습하기
(7) 어문 규정을 지켜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알기
(8) 맞춤법과 표준어
2) 띄어쓰기
(1)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규정
(2) 합성어와 구의 띄어쓰기 문제에 대하여 생각하기
(3) 올바른 띄어쓰기
(4) 띄어쓰기 적용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기
3) 문장 부호 (文章符號)
(1) 마침표[終止符]
(2) 쉼표[休止符]
(3) 따옴표[引用符]
(4) 묶음표[括弧符]
(5) 이음표[連結符]
(6) 드러냄표[顯在符]
(7) 안드러냄표[潛在符]
4) 올바른 국어 생활
(1) 잘못된 문장의 유형
(2) 규범에 어긋난 표현 고쳐 쓰기
(3) 문장의 호응 관계 바로 잡기
(4)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고치기
(5) 국어의 규범에 맞게 고치기
(6) 통신 언어와 이모티콘
(7) 통신 언어의 문제점에 대하여 이야기하기
(8) 맞춤법의 혼란, 은어나 비속어의 사용, 외국어의 남용 등에 해당하는 어휘를 찾아, 우리말로 고치기
3. 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 외래어 표기법(外來語 表記法)
(1) 외래어 표기법의 원리
(2) 외래어와 외국어 남발의 원인
(3) 외래어나 외국어를 우리말로 대체할 수 있는 방안
(4) 외래어 표기법
(5) 동양(중국과 일본)의 인명과 지명 표기의 차이점 알기
(6) 외래어 오용 표기 조사하기
(7) 맞춤법과 외래어의 표기
(8) 일상 생활에서 잘못된 표현들 고치기
(9) 외래어나 외국어 표현을 찾고 어색한 표현 바꿔 쓰기
(10) 영어 번역투이거나 일본어식 표현을 우리말로 고치기
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 현행 로마자 표기 기본 원칙
(2)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이 중요한 이유 조사하기
(3) 인명, 지명을 로마자로 써 보기
(4) 성씨의 로마자 표기 살펴보기
(5) 문화 유산을 음역 표기와 의역 표기로 적어 보고 장단점을 알아보기
3) 기타 - 남북한의 언어
(1) 문화어
(2) 남북한 맞춤법의 공통점과 차이점
(3) 남북한의 언어 이질화 현상
(4) 남북한의 언어 차이
(5) 북한의 외래어 수용 방식의 장·단점
4. 국어 규범 맞춤법103제
학습점검문제

Part 9. 옛말의 이해

1. 국어의 옛모습
1) 역사적 개관
(1) 국어의 역사적 연구 방법
(2) 고대, 중세, 근대, 현대 국어의 흐름도
(3) 국어의 개략사
2) 국어의 변천
(1) 음운의 변천
(2) 어휘의 변천
(3) 문법의 변천
(4) 의미의 변천
2. 국어가 걸어온 길
1) 고대 국어(古代國語)
(1) 국어의 계통과 형성(상고시대∼10세기 이전)
(2) 고대 언어 생활의 특징
(3) 고대 국어의 표기 방법
2) 중세 국어(中世國語)
(1) 중세 전기 국어의 특징(10세기∼14세기)
(2) 중세 후기 국어의 특징(15세기∼16세기)
3) 근대 국어(近代國語)
(1) 근대 국어의 특징(17세기∼19세기)
(2) 근대 국어가 중세 국어와 달라진 점
(3) 근대 국어의 표기법과 운용
3. 고전 문법의 이해
1) 음운 체계
(1)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2) 자음 17자 : 예의 규정에 따른 배치
(3) 훈몽자회의 음운 체계
(4) 한글 맞춤법 통일안
(5) 자모의 발음법
(6) 자모의 운용
2) 표기법
(1)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2) 종성의 표기법
(3) 사잇소리 현상
3) 중세 국어의 음운
(1) 초성 [ㆁ,ㆆ,ㅇ,ㅿ]의 쓰임
(2) 자모의 발음, 변천, 용법
(3) 복합 초성의 소리값과 변화
4) 중세 국어의 음운 현상
(1) 음운 동화(音韻同化)
(2) 음운의 이화(異化)
(3) 음운의 회피(回避)
(4) 음운의 강화(强化)
(5) 음운의 탈락(脫落)
(6) 음운 도치(音韻倒置)
(7) 활음조(滑音調) 현상
(8) 어형(語形) 변화
5) 중세 국어의 단어
(1) 단어와 형태소
(2) 체언과 조사
(3) 용언
(4) 수식언 및 감탄사
(5) 단어의 형성
6) 중세 국어의 문장
(1) 문장의 성분
(2) 문장의 짜임새
(3) 문장의 기능
7) 이야기
4.고전 지문의 문법적 분석
1) 어학적인 글
(1) 훈민정음의 이해
2) 용비어천가
3) 소학언해(小學諺解)
(1) 해제
4) 문학 작품의 글
(1)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2) 청산별곡(靑山別曲)
(3) 사모곡(思母曲)
(4) 두시언해(杜詩諺解)
학습 점검 문제 답안지
참고문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