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교육학
· ISBN : 9788992738804
· 쪽수 : 1070쪽
· 출판일 : 2010-02-05
책 소개
목차
제9편 교육과정
제1부 교육의 과정의 의미
제1장 Curriculum의 의미
제2장 교육과정의 정의에 관한 다양한 관점
제3장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
제4장 교육과정의 수준
제5장 교육과정 논의의 발달과정
제2부 교육과정의 유형
제1장 교과중심교육과정
제2장 경험중심 교육과정(생활중심 교육과정)
제3장 학문중심교육과정
제4장 인간중심교육과정
제5장 사회중심 교육과정
제6장 행동주의 교육과정
제7장 구성주의 교육과정
제3부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제1장 합리적 모형 : Tyler, Taba
제2장 순환적 모형 : Wheeler, Nicholls & Nicholls
제3장 역동적 모형 : Walker, Skilbeck
제4장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 : Eisner
제4부 교육과정의 계획
제1장 수업목표의 설정과 분류
제2장 학습경험의 선정
제3장 학습 경험의 조직 원리
제5부 교육과정의 통합
제1장 통합교육과정의 의의
제2장 통합교육과정의 유형
제3장 학교수준 통합교과의 개발
제6부 잠재적 교육과정
제1장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
제2장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Giroux)
제7부 영(null) 교육과정
제1장 영교육과정의 의미
제2장 아이즈너의 영 교육과정론
제8부 교육과정 재개념주의
제1장 재개념주의(Reconceptualism)의 의미
제2장 교육과정의 분류(Pinar) : 방법론적 분류
제3장 교육과정론자들
제9부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과 정책
제1장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 절차
제2장 교육과정 개발정책
제3장 교육과정 결정의 집권식과 분산식의 장점과 단점
제4장 교육과정 변화(개정)와 운영
제5장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Snyder, Bolin, and Zumwalt 등)
제10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제1장 미군정시대(교수요목 시대)
제2장 교육과정 시대
연습문제
제10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제1부 교수이론과 교수모형
제1장 교수(teaching)와 교수이론의 의미
제2장 개별화 교수 모형
제3장 Ausubel의 설명식 교수모형 (유의미 수용학습 모형)
제4장 발견 및 탐구적 교수모형
제5장 처방적 교수모형
제2부 교수이론과 교수모형
제1장 학교에서 자주 사용되는 수업형태
제2장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모형
제3부 교육공학
제1장 교육공학의 이해
제2장 교육공학의 발달과정
제3장 교육공학의 Paradigm의 변천
제4부 교수설계
제1장 교수개발(Instructional Development, ID)의 의미
제2장 교수체제개발 모형
제3장 구성주의 수업설계 모형
제5부 교수매체의 이론과 실제
제1장 교수매체의 이해
제2장 교수매체 활용의 교수설계 모형(ASSURE모형, Heinich, 1996)
제3장 교수매체의 종류와 특징
제4장 영상매체 디자인의 원리와 구성요소
제5장 교수매체의 최근 연구동향
제6부 컴퓨터, 멀티미디어 및 인터넷
제1장 컴퓨터 활용의 필요성
제2장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제3장 멀티미디어(Multimedia)의 교육적 활용
제4장 인터넷
제5장 e-Learning
제6장 컴퓨터 중심 매체환경
연습문제
제11편 교육평가
제1부 교수평가의 의미
제1장 평가관의 유형
제2장 교육평가의 이론적 기초
제3장 교육평가의 대상과 기능
제4장 교육평가의 모형(model)
제5장 교육평가의 과정(過程)
제2부 검사문항의 제작과 형태
제1장 검사문항 제작 시 일반적 유의점
제2장 검사문항의 유형 : 선택형(선다형/객관형)
제3장 검사문항의 유형 : 구성형(서답형/주관형)
제4장 검사문항의 유형과 제작 방법
제5장 문항편집상의 유의점
제3부 문항분석
제1장 문항분석의 의미
제2장 고전적 검사이론
제3장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 IRT)
제4부 측정 및 평가도구의 구비요건
제1장 타당도(validity)
제2장 신뢰도(reliability)
제3장 객관도(objectivity)
제4장 실용도(usability)
제5부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평가와 평가 유형
제1장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평가 유형
제2장 평가의 유형
제6부 수행평가
제1장 수행평가의 의미
제2장 수행평가 문항 제작의 기본 절차
제3장 수행 평가의 방법
제4장 수행평가의 장·단점
연습문제
제12편 교육연구법 및 통계
제1부 교육연구법
제1장 연구(Research)의 의미
제2부 인간행동에 관한 연구
제3부 실험적 연구
제1장 실험연구의 의미
제2장 가설(Hypothesis)
제3장 실험설계
제4장 실험의 타당성에 영향을 주는 조건
제5장 가설 검증
제4부 현장연구(Action Research)
제1장 현장연구의 의미
제2장 연구계획서 및 현장연구논문 작성요령
제5부 교육통계
제1장 통계적 개념과 원리
제2장 측정 및 측정 단위
제3장 점수의 비교를 위한 통계적 방법
제4장 정규분포곡선(normal curve)
제5장 집중 경향치
제6장 변산도
제7장 상관도와 상관계수(Coefficient of Correlation)
제8장 그 밖에 교육 분야에서 활용되는 통계적 기법
연습문제
제13편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제1부 교육행정의 의미
제1장 교육행정의 의미
제2장 교육행정의 정의
제3장 교육행정의 영역
제4장 교육행정의 원리
제5장 현대 교육행정의 특징
제6장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제7장 교육행정가의 자질
제2부 교육행정이론의 발달
제1장 고전적 조직이론
제2장 인간관계론(1930~1940 년대)
제3장 행동과학이론
제4장 체제이론
제5장 사회체제모형에 대한 수정모형 (Getzels & Thelen)
제6장 사회체제모형에 대한 수정모형(Hoy와 Miskel)
제7장 대안적 관점(실증주의에 대한 대안)
제3부 교육행정 조직
제1장 조직의 개념과 원리
제2장 조직의 분류와 형태
제3장 우리나라 교육행정 조직
제4장 학교 조직
제5장 조직문화론
제6장 조직 갈등이론
제7장 조직건강 및 조직풍토
제4부 동기 이론
제1장 동기의 내용이론
제2장 동기의 과정요인
제5부 지도성 이론
제1장 지도성의 의미
제2장 지도성 이론
제3장 새로운 지도성 유형
제6부 교육기획과 교육정책
제1장 교육기획(educational planning)
제2장 교육정책(educational policy)
제7부 의사결정 및 의사소통 모형
제1장 의사결정의 의미
제2장 의사결정 모형
제3장 의사소통망의 형태
제4장 의사결정과 참여
제5장 조직 내 의사소통 유형
제8부 교원인사 행정
제1장 인사행정의 의미
제2장 교육공무원의 분류 및 편제
제3장 교원의 평정
제4장 교원연수
제5장 휴가 및 휴직
제6장 징계
제9부 장학론
제1장 장학(supervision)의 의미
제2장 장학이론의 발달(T. J. Sergiovanni & R. J. Starratt)
제3장 장학의 종류
제10부 교육재정
제1장 교육재정의 의미
제2장 교육재정의 조달과 배분
제3장 교육경비의 분류
제4장 교육과 경제적 소득과의 관계 이론
제5장 교육예산제도
제11부 학교경영
제1장 학교경영의 의미
제2장 학교경영조직
제3장 인사관리
제4장 사무관리, 문서관리 및 학생관리
제5장 학교경영기법
제6장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제7장 학교경영과 성공적인 학교
제12부 학급경영
제1장 학급의 성격과 학급집단의 형성
제2장 학급경영의 기능(3C’s)
제3장 학급경영의 원리
제4장 학급경영의 영역
제5장 학급경영계획
제6장 학급편성의 방법
연습문제
[부 록] 교육관련 법령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