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보건/사서/상담교사
· ISBN : 9788992738903
· 출판일 : 2010-05-02
책 소개
목차
제1부 보건교육
제1장 보건교육의 이해
제2장 건강관련이론
1. 합리적 행위이론 & 계획된 행위이론 : 피시바인과 아젠 15
2. 변화단계이론 : 프로채스카와 디클리먼트 17
3. 사회인지이론 : 반두라(Bandura) 26
제3장 학습이론
1. 브루너 교수이론 31
2. 가네 수업절차 단계 32
3. Glaser 모형 33
4. 학습 34
5.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6
6. 동기 38
제4장 보건교육 과정
1. 보건교육 계획
2. 교육계획안 46
3. 교수, 학습 지도안 작성법 55
4. 보건교육실시절차 60
제5장 보건교육방법
1. 구성주의 학습원칙 64
2. 교육방법 65
3. 상담 66
4. 면접(Interview) 77
5. 프로그램 학습법 78
6. 컴퓨터 보조수업(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79
7. 강의 82
8. 문답법 84
9. 시범(Demonstration) 86
10. 토의 88
11. 분단토의(Buzz session) 92
12. 집단토론(Group discussion) 93
13.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94
14. 배심토의(Panel discussion) 94
15. 심포지엄(Symposium), 단상토의 96
16. 역할극(Role play) 96
17. 모의실험극(Simulation) 99
18. 프로젝트법(Project methods) 100
19.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104
20. 문제해결법 108
21. 협동학습 109
22. 웹기반 교육(Web based Instrution, WBI) 114
23. 전시(Exhibition) 116
24. 캠페인(Campaign) 117
25. 견학(Field visit) 118
26. 대중매체 119
제6장 보건교육매체
1. 교육매체 121
2. ASSURE모형(Heinich, MOlenda & Russel, 1995) 124
3. 실물, 실제상황 128
4. 모형, 유사물(Model) 128
5. 칠판(Board) 129
6. 융판(Flannel board) 130
7. 그림(Picture), 사진(Photograph) 131
8. 전단(Leaflet), 팸플릿(Pamphlet), 소책자(Booklet) 132
9. 게시판(Bulletin board) 133
10. 비디오테이프, 영화(Moving picture) 133
11. 투시환등기(Over Head Projecter : OHP) 134
12. 슬라이드 환등기(Slide projector) 136
13. 실물환등기(Opaque projector) 137
14. 실물화상기(Video presenter) 138
15. 컴퓨터 프리젠테이션(Computer presentation) 138
제7장 보건교육 평가
1. 보건교육 평가 이해 140
2. 수행평가 152
3. 평가 방법 154
제2부 학교보건
제1장 학교보건의 이해
제2장 학교간호
1. 학교간호의 이해 179
2. 학교간호과정 180
제3장 학교건강증진
1. 학교건강증진의 원칙 195
2. 구강질병 199
3. 치아우식증(충치) 199
4. 치주질환(풍치) 205
5. 부정교합 206
6. 비만(Obesity) 208
7. 시력관리 214
8. 영양사정(Nutritional assessment) 219
9. 영양관리 226
10. 운동관리 233
11. 인터넷 중독 237
제4장 학교보건행정 242
제5장 건강검사 245
제6장 역학
1. 집단검진 268
2. 예방접종 275
3. 전염병예방법 284
4. 전염병 292
5. 전염성 질병 아동 간호진단, 간호계획 298
6. 학교전염병 302
7. 인플루엔자 303
8. 홍역 308
9. 유행성 이하선염 312
10. 수두 314
11. 성홍열 317
12. 풍진 319
13.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 321
14. 파상풍 323
15. 일본뇌염 325
16. 말라리아 326
17. 신증후군성 출혈열 327
18. 쯔쯔가무시증 328
19. 렙토시피라증(Leptospirosis) 329
20. 유행성 각결막염 331
21. 로타 바이러스 332
22. 세균성 이질 333
23. 장 출혈성 대장균 감염증(O-157) 335
24. 콜레라 338
25. 장티푸스 340
26. 역학의 이해 342
27. 역학연구 349
28. 건강지표 366
29. 전염병 역학 373
30. 만성병 역학골반검사 388
제7장 안전관리 394
제8장 학교폭력 413
제9장 집단 따돌림 424
제10장 학교보건법 430
제11장 학교보건법 시행령 437
제12장 학교보건법 시행규칙 442
제3부 지역사회간호학
제1장 지역사회 간호의 이해 453
1. 지역사회의 개념 453
2. 지역사회 간호 456
제2장 지역사회간호 관련 이론 464
1. 체계이론 : Von Bertalanffy 464
2. 교환이론 467
3. 기획이론 469
4. Neuman의 건강관리체계이론 471
5. Orem의 자가간호이론 478
6. Roy의 적응이론 481
제3장 우리나라 공중보건, 지역사회간호 역사적 변천 487
제4장 지역사회간호사 역할과 활동 490
1. 지역사회간호사 역할과 기능 490
2. 건강관리실 운영 492
3. 가정방문 활동 494
4. 자원활용과 의뢰활동 499
5. 상담 501
6. 매체활용 501
7. 지역사회 조직화(community organization) 503
8. 지역주민참여 505
제5장 지역사회간호과정 508
1. 지역사회간호사정 508
2. 지역사회간호진단 511
3. 지역사회간호계획 520
4. 지역사회간호수행 528
5. 지역사회간호평가 529
제6장 지역사회보건행정 534
1. 보건행정의 개요 534
2. 국가 보건의료체계 535
3. 우리나라 보건의료제도 540
4. 사회보장제도와 의료보장제도 541
5. 우리나라 보건정책 546
6. 보건의료자원 548
7. 국민의료비 549
8. 지역보건 552
9. 일차보건의료 554
제7장 지역사회 간호사업 561
1. 재활간호사업 561
제8장 가족간호 563
1. 가족 563
2. 가족간호 관련이론 570
3. 가족간호과정 583
4. 취약가족(vulnerable families) 602
5. 비행청소년의 가족 605
6. 해체가족 608
7. 방문간호 612
8. 가정간호 614
제9장 건강증진 617
1. 건강증진의 개념 617
2. 우리나라 건강증진사업 620
3. 국민건강증진법 631
4. 건강증진 프로그램 636
5. PRECEDE-PROCEED 모형 641
6.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648
7. 건강신념모형 651
제10장 산업간호
1. 근로자 건강진단 655
2. 소음의 건강문제와 관리 660
3. 이상기압의 건강문제와 관리 661
4. 중금속의 건강문제와 관리 662
5. VDT 증후군 666
제11장 환경과 건강 670
1. 환경문제와 환경보전 670
2. 환경영향평가 671
3. 내분비계 장애물질 672
4. 대기와 건강 674
5. 기후 675
6. 대기오염 678
7. 오존(O3) 682
8. 대기오염과 기상 684
9. 물과 건강 686
10. 상수 687
11. 수질오염 695
12. 하수 697
13. 폐기물 처리 698
제12장 인구와 건강 701
1. 인구 701
2. 식품과 건강 703
3. 식중독 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