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논술/면접/수시 > 대입논술
· ISBN : 9788993373004
· 쪽수 : 485쪽
· 출판일 : 2008-07-25
목차
이 책의 길잡이
chapter01 문학작품의 감상과 이해
1.외우지 말고 '니' 느낌을 믿어
2.느끼지만 말고 개념을 만들어
실전논술문제
chapter02 사실적 이해
1.'니' 언어로 만들어 봐
2.정보는 많지만 핵심은 하나
실전논술문제
chapter03 추론적 이해
1.숨겨진 전제를 찾아볼까?
2.내용을 미루어 짐작해 볼까?
3.구체적인 상황이나 현실에 적용해 볼까?
실전논술문제
chapter04 비판적 이해
1.제시문의 논리적 오류는?
2.주장의 근거가 맞기는 한 거야?
3.주어진 관점에 서서 비판해 볼까?
4.내 주장에 허점은 없을까?
실전논술문제
chapter05 창의적 이해
1.표에도 주장이 있어
2.관점을 바꾸면 작품이 달라 보여
실전논술문제
예시답안과 해설
책속에서
2) 〈표 2〉의 해석 : “자료의 변화추이는 절대수치가 아닌 비율과 비중으로 환산하는 습관을 들여라”
〈표2〉는 국내외 입양실적을 다루고 있는 자료이다.
- 전체적으로 봤을 때, 입양아의 수는 미세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국내입양과 국외입양 건수를 비교했을 때 국외입양이 국내입양보다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그 건수가 해마다 변화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때 정확한 변화의 추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내외 입양건수의 증감률을 비율로 환산하거나 총입양건수 대비 국내외 입양건수 각각의 비중을 따져 주는 것이 필요하다. 즉 1996년도에는 총입양건수 대비 국내 입양건수의 비중은 약 32%인데 비해 국외입양의 비중은 약 68%를 차지했다. 그런데 이러한 비중의 격차는 해가 갈수록 약화되어 2003년에는 국내입양의 비중이 약 40.5%로 증가하고 국외입양의 비중은 59.5%로 감수한다. 지난 10년 사이 국내입양의 비중이 현격이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 1. 표에도 주장이 있어 중에서(399p)
Step3 [가]에서 추론한 것을 [나]의 현상에 적용하여 일반화해 보자
- 제시문 [나]에서 스테레오타입을 관습적으로 재생산하는 것은?
→ (① )
- 제시문 [나]의 영화에서 나타나는 여성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은 무엇인가?
→ 여학생 : 날씬함, 연약함, 침착함, 당돌함 등의 (② )
나이 든 여성 : 성에 굶주림, 히스테릭함, 주책맞음 등의 (③ )
- 위의 스테레오타입은 영화 소비자이면서 시선의 주체인 남성에게 어떤 편견을 심어주게 되는가?
→ (④ )은 어리고 연약한 성적 (⑤ )으로서만 가치가 있다.
- 위의 영화 소비자에는 여성도 포함된다. 그러므로 시선의 대상인 여성들도 영화에서 만들어내는 스테레오타입에 영향 받을 수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편견을 내면화하게 될지 자유롭게 써 보자.
→ (⑥ )
- 2.. 구체적 상황이나 현실에 적용해 볼까? 중에서(249p)
Step 1 낯선 작품 앞에서 당황하지 말자! 작품을 작가와 분리시켜 바라보자
배경지식이 하나도 없는 문학 작품을 만났을 때 우리는 무척 당황하게 된다. 하지만 배경지식이 없다고 해서 그 작품에 대한 해석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문학 작품에 대한 올바른 감상법을 익힌다면 별다른 배경지식 없이도 그 작품을 해석해 낼 수 있다. 문학의 감상 방법을 익혔다면 그것을 활용한 학생 자신의 해석이 옳다는 것을 믿으면 된다. 그렇다면 문학 작품을 접했을 때 어떻게 그것을 읽어야 할까? 작품을 읽는 방법을 모른다면 우리는 점점 더 미궁 속으로 빠지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문학 작품을 대했을 때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누구에 관한 것인가' '어떤 상황을 이야기하고 있는가?'이다. 우선 시의 경우를 살펴보자. … 즉 독자인 우리는 작가와 분리시킨 작품 내의 시적 상황을 통해 작품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소설의 경우, 작품 내 서술자는 작가가 내세운 허구적 대리인이다. 이 또한 작가에 대한 다양한 배경지식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작가와 작품을 분리하여 작품 속 상황을 비판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이것은 작가가 자신의 가치관을 직접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서술자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다양한 소설적 장치들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작가에 대한 정보가 없더라도 그러한 소설적 요소들을 객관적으로 파악해 낸다면 작품 분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품 분석의 방식은 작품 내 상황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 1. 외우지 말고 '니' 느낌을 믿어 중에서(2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