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초등 수학
· ISBN : 9788994368603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7-02-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4
1장 수
닭 5마리와 양 5마리가 같은 5마리라는 걸 몰랐다고? 12
아라비아 숫자는 아라비아에서 만든 게 아니라고? 16
아라비아 숫자는 어떻게 전 세계에 퍼졌을까? 20
「최후의 만찬」 속에 숨어 있는 수와 기하학 25
유럽에서 아라비아 숫자를 쓰는 사람은 불태워 죽였다고? 30
0을 왜 인류의 위대한 발명이라고 할까? 34
슈퍼컴퓨터와 퀴즈 영웅의 대결 39
태극기 속에 분수가 들어 있다? 44
음악을 분수로 표현한 피타고라스 48
마라톤 거리는 왜 42.195가 되었을까? 52
2장 연산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산타클로스의 위치를 추적하다 58
바코드로 집 나간 한우를 찾았다고? 64
신라의 화랑들은 곱셈구구를 왜 9단부터 외웠을까? 69
창문을 계산기로 사용한 창문 곱셈법 73
골키퍼는 절대로 골을 막을 수 없다 77
대통령을 반올림으로 뽑아도 되는 걸까? 82
인공위성으로 수확량 계산하기 86
3장 도형
벌들이 가르쳐 준 수학 92
소가죽으로 만든 나라 ‘카르타고’ 96
삼각우유의 비밀 100
가장 완벽한 도형은 해, 달, 그리고 지구? 104
눈이 2개이고, 나란히 가로로 붙은 이유는? 108
사랑이 만든 기적의 건축물 ‘타지마할’ 112
나와 완전히 똑같은 또 다른 나 117
종이비행기 날리기 대회에서 일등 하려면? 121
탈레스는 초능력자? 아니면 수학자? 125
4장 측정
텔레비전과 냉장고, 세탁기는 왜 사각형일까? 130
음료수 캔이 원기둥인 이유는? 134
생수통은 왜 18.9L이고, 음료수 페트병은 왜 1.8L일까? 138
에밀레종에 정말 아기가 들어갔을까? 143
공양미 300석은 얼마나 될까? 148
피라미드의 황금 비율 152
석굴암 불상은 팔등신 미남? 156
60분은 고대 바빌로니아 문명의 유산 160
크기가 다른 톱니바퀴가 만들어 내는 시간 164
5장 규칙성과 문제 해결
수학을 사랑한 판화가, 에셔 170
불규칙 속에서 규칙 찾기 174
풍속화에 숨겨진 수학 암호들 179
양피지에 말아서 쓴 암호 184
꽃잎에 숨어 있는 피보나치 수열 188
리뷰
책속에서

0을 발견한 것은 인류 역사 속에서 대단히 획기적인 일이었지만, 유럽 사람들은 이것을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았어. 숫자 뒤에 0을 하나 붙이는 것만으로 그 수가 10배로 커지는 것이 비현실적이라고 여겼기 때문이지.
민담이나 설화를 보면 유럽 사람들이 0을 얼마나 두려워했는지 알 수 있어. 유럽 민담에 나오는 악마는 꼭 사람에게 마법을 걸 때 손을 뻗어 동그랗게 원을 그리거든. 또, 마녀가 마법의 약을 만들 때도 커다란 솥에 든 재료들을 동그랗게 휘젓지. 이 모든 게 0을 두려워한 사람들이 생각해 낸 이야기래. _유럽에서 아라비아 숫자를 쓰는 사람은 불태워 죽였다고?
“자네. 목소리가 너무 크군! 백성들이 듣기라도 하면 어쩌려고 그러나?”
“아이고, 미안. 소곤소곤 외우도록 하지.”
곱셈구구를 이렇게 몰래 외워야만 했던 까닭은 곱셈구구가 너무 편리했기 때문이야. 당시는 계산 기술이 발달되지 않았던 때라 곱셈만 잘해도 생활에 엄청난 이득이 됐지. 왕과 귀족들은 백성들이 지혜로워지는 것을 막으려고 했어. 그래야 계속 자신들을 우러러보고 존경할 테니까.
또, 옛날에는 어린아이가 아니라 어른들이 곱셈구구를 외웠다고 해. 어른들은 아주 경건한 자세로 마법의 주문을 외우듯 곱셈구구를 외웠대. 지금은 2단부터 곱셈구구를 외우지만 옛날에는 9단부터 거꾸로 외웠다네? 곱셈구구의 가장 마지막인 ‘구구 팔십일’부터 외운 거야.
_신라의 화랑들은 곱셈구구를 왜 9단부터 외웠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