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9470741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1-09-05
책 소개
목차
제1장 함께 사는 아름다운 세상
국제개발협력의 필요성과 우리나라의 추진현황
1. 공적개발원조의 개념과 필요성 1
1. 공적개발원조의 개념과 필요성 1
1) 공적개발원조의 개념과 유형 1
2) 배경과 필요성 3
3) 공적개발원조의 약사 5
2.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의 현황 11
1) 초기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의 역사 11
2)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의 현황 12
3. 우리나라 ODA 정책 및 사업추진과 관련된 문제점과 과제 22
1) ODA의 규모와 내용 22
2) 원조의 분절화와 통합?조정체제 미흡 23
3) 수원국 원조수요 반영 미흡 24
4) 한국적 원조모형의 개발, 선택과 집중전략 25
5) 결과중심의 성과관리체계 확립 26
6) 현장 중심의 사업추진 체제 및 투철한 봉사관과 훌륭한 인성을 갖춘 봉사단원 확보 노력 27
4. 맺 음 말 28
제2장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개천에서 용이 된 대한민국
1. 나의 조국, 대한민국의 변화 31
2. 시기별 대한민국 수원의 역사 33
1) 미군정시대의 수원 33
가. 시대상황/33
나. 제공된 원조 형태 및 특징/39
2) 전후복구 및 경제재건기의 수원 41
가. 시대상황/41
나. 원조의 내용/44
3) 개발연대 전기의 개발원조 50
가. 시대상황/50
나. 원조의 규모와 내용/57
4) 개발연대 후기의 개발원조 60
5) 원조공여자로의 전환기의 개발원조 62
3. 한국에 대한 원조의 규모 및 형태 63
1) 우리나라의 수원 규모와 형태 63
2) 원조를 통한 개발사례 66
가. 국립의료원 건립사업/66
나. UNDP에 의한 기술협력/68
다. 독일에 의한 직업훈련분야 기술협력/69
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설립사업/70
마. 포항종합제철 건설사업/71
4. 맺 음 말 73
제3장 이웃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함께 사는 동남아시아를 위하여
1. 동남아시아 개관 75
1) 동남아시아 일반 75
2) ASEAN 76
3) 한국과 ASEAN의 관계 77
2. 동남아시아에 대한 국제개발협력 현황 80
1) 동남아시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ODA 80
2) 우리나라의 대 ASEAN ODA 82
3) 동남아시아 지역의 우리나라 중점협력국 83
가. 라오스/84
나. 베트남/88
다. 캄보디아/93
라. 인도네시아/96
마. 필리핀/99
3. 동남아시아에 대한 ODA 사례 103
1) 라오스? 라오스! 104
2) 라오스의 빛과 그림자 104
3) 라오스 어린이들 가운데 휘날리는 태극기, 그리고 방비엥 107
4) 라오스를 치유하는 한국의 손길들 108
5) 밀어주고 끌어주며, 민관협력사업 110
6) 다방면에서 이루어지는 對 라오스 ODA 112
7) 대한민국을 드높이는 KOICA, 그러나 아쉬움도… 114
4. 맺 음 말 116
<부록-세이브더칠드런 세부사업 계획서>
1. 사업개요 117
2. 사업대상지역 지도 118
3. 사업추진 배경 및 경위 119
4. 사업지원 타당성 123
5. 사업추진계획 125
제4장 세계적 빈곤벨트 남아시아
희망의 홀씨를 뿌리다
1. 남아시아 개관 127
1) 남아시아 소개 127
2) 주요 국가별 소개 128
가. 네 팔/128
나. 방글라데시/130
다. 스리랑카/132
라. 파키스탄/134
2. 남아시아에 대한 ODA 현황 136
1) 남아시아 지역 국가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ODA 136
2) 우리나라의 대 남아시아 유무상 원조규모의 변화 138
가. 무상원조 추이/138
나. 유상원조 추이/138
3) 우리나라의 대 남아시아 분야별 무상원조 현황 139
가. 방글라데시/140
나. 스리랑카/140
다. 네 팔/141
라. 파키스탄/142
3. 국가별 주요 ODA 프로젝트 사례 143
1) 한-네팔 친선병원 건립 사업 143
가. 개 요/143
나. 시행과정/144
다. 사업내용/145
라. 사업수행 효과와 문제점/147
2) 스리랑카 원양어선 항법장치 지원 사업 149
가. 사업개요/149
나. 사업내용/150
다. 문제점/152
4. 대 남아시아 ODA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제언 154
5. 부 록 156
1) 스리랑카 출신 투라산나 씨 인터뷰 156
2) 프로젝트 관련 기사 159
제5장 칭기스칸의 자취를 찾아서
중앙아시아에서의 지속가능한 개발
1. 중앙아시아 개관 161
1) 중앙아시아 지역소개 161
2) 주요국 소개: 우즈베키스탄과 아제르바이잔 163
가. 우즈베키스탄/163
나. 아제르바이잔/166
2. 우즈베키스탄과 아제르바이잔 ODA 현황 168
1) 우즈베키스탄 ODA 현황 168
2) 아제르바이잔 ODA 현황 170
3. 아제르바이잔 ODA 프로젝트 사례: 압세론지역 토양오염 정화사업 172
1) 추진배경 172
2) 사업수행과정 173
3) 사업의 효과 177
4. 봉사단원이 직접 경험한 에피소드 179
1) 우즈베키스탄 한국어분야 교육 봉사단원 이강철 씨 사례 179
2) 우즈베키스탄 국제협력의사 송영일 씨 사례 182
3) 아제르바이잔 인터넷 청년 봉사단 박선영 씨 사례 184
제6장 밝은 미래를 위한 씨앗이 되다
남태평양 도서국가와 함께 하는 대한민국
1. 남태평양 도서국가 개관 191
1) 지역적 특성 192
2) 경제적 특성 193
3) 주요 국가 현황 194
가. 파푸아뉴기니/194
나. 피 지/196
2. 남태평양 도서국들에 대한 원조 현황 198
1) 개발원조 현황 198
2) KOICA 무상원조 지원 실적: 파푸아뉴기니와 피지 204
가. 대 파푸아뉴기니 지원사업/204
나. 대 피지 지원사업/207
3) 우리나라의 유상원조 현황: 파푸아뉴기니와 피지 209
3. 남태평양 도서국가의 미래를 위한 7가지 목표: MDGs 211
1) 남태평양의 굶주림은 해결될 수 없는 것인가? 213
가. 빈곤이 해결되지 않는 원인/213
나.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발 과제/214
2) 남태평양의 밝은 미래는 교육의 힘에 달렸다 215
가. 교육개발을 위한 원조현황과 계획/216
나. 교육개발을 위한 개발 과제/218
3) 전염병이 없는 깨끗한 남태평양을 위하여 218
가. 보건문제 해결을 위한 원조현황과 계획/219
나. 보건문제 해결을 위한 개발 과제/220
4) 아름다운 남태평양 국가의 영원한 존속을 위하여 220
가. 환경ㄱ기후변화 대처를 위한 원조현황과 계획/221
나. 기후변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개발 과제/225
4. 결론: 남태평양의 개발원조가 나아가야 할 방향 225
제7장 긴 잠에서 깨어나는 검은 대륙 아프리카의 미래와 개발원조
1. 아프리카 개관 227
1) 지역개관 227
2) 우리나라와의 관계 228
3) 지역기구현황: 아프리카 연합 230
4) 아프리카의 현황과 개발원조 수요 231
2. 아프리카 주요국 및 ODA 사례 233
1) 세네갈 233
가. 국가소개/233
나. 대 세네갈 ODA 현황/234
다. 대 세네갈 KOICA 추진사업/236
2) 탄자니아 239
가. 국가개요/240
나. 주요 지원사례/240
3) 르완다 245
가. 국가개요/245
나. 대 르완다 ODA 사례/247
3. 맺 음 말 252
제8장 ODA로 아름다운 세상 만들기
찾아보기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