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한국사 > 7/9급 교재
· ISBN : 9788994772059
· 쪽수 : 658쪽
· 출판일 : 2011-09-05
책 소개
목차
선사시대 문화와 국가의 형성
1강_선사시대의 전개
1. 인류의 기원
2. 우리 민족의 기원
3. 구석기시대
4. 중석기시대
5. 신석기시대
6. 청동기시대
7. 철기시대
2강_고조선의 건국
1. 고조선
2. 위만조선
3강_여러 나라의 성장
1. 연맹왕국의 성격
2. 부여
3. 고구려
4. 옥저와 동예
5. 삼한
고대사회의 발전
4강_고대의 정치
1. 고대의 세계
2. 고대사회의 성립
3. 고구려의 발전
4. 백제의 발전
5. 신라의 발전
6. 가야연맹의 발전
7. 대외 항쟁과 삼국 통일
8. 삼국의 통치 체제
9. 신라 중대의 정치
10. 신라 하대의 정치
11. 통일신라의 통치체제
12. 발해
5강_고대의 경제
1. 삼국의 경제 정책
2. 삼국의 경제생활
3. 통일신라의 경제생활
4. 발해의 경제생활
6강_고대의 사회
1. 신분제도와 사회 모습
2. 고구려의 사회 모습
3. 백제의 사회 모습
4. 신라의 사회 모습
5. 남북국시대의 사회
7강_고대의 문화
1. 고대 문화의 성격
2. 고대의 불교
3. 신라의 승려
4. 도교(노장사상)
5. 풍수지리 사상
6. 고대 학문의 발
7. 과학기술의 발달
8. 고분과 벽화
9. 건축과 탑
10. 불상과 공예
11. 글씨와 그림, 음악
12. 한문학과 향가
13. 일본으로 문화 전파
중세사회의 발전
8강_중세의 정치
1. 중세의 세계
2. 후삼국의 통일
3. 고려의 성립과 후삼국 통일
4. 중세사회의 성립
5. 중앙 행정조직
6. 지방 행정조직
7. 군사조
8. 교육기관
9. 과거제도와 음서제도
10. 문벌귀족사회
11. 무신정권 시대
12. 대외관계의 전개
13. 원 간섭기의 개혁 정치
9강_중세의 경제
1. 경제정책
2. 토지제도
3. 경제생활
10강_중세의 사회
1. 신분제도
2. 백성들의 사회생활
11강_중세의 문화
1. 유학의 발달
2. 역사학의 발달
3. 불교의 발달
4. 도교와 풍수지리 사상
5. 과학기술의 발달
6. 문학 활동
7. 건축·석탑·불상
8. 자기·공예·예술
근세사회로의 전환
12강_근세의 정치
1. 근세의 세계
2. 근세사회의 성립
3. 건국초기의 정치
4. 조선의 행정조직
5. 군사조직과 군역제도
6. 교육제도와 과거제
7. 사림의 대두와 사화
8. 조선초기의 대외관계
9. 임진왜란·정유재란
10. 정묘호란·병자호란
13강_근세의 경제
1. 중농정책
2. 토지제도
3. 조세제도
4. 양반과 농민의 경제활동
5. 조선전기의 수공업과 상업
6. 수취체제의 문란
14강_근세의 사회
1. 신분구조
2. 사회정책과 사회시설
3. 향촌사회의 조직과 운영
15강_근세의 문화
1. 민족문화의 융성
2. 지도·윤리서·법전
3. 성리학의 발달(이황·이이)
4. 불교·도교·풍수지리 사상
5. 과학기술·의학·활자·농서·병서
6. 문학과 건축
7. 그림·도자기·글씨·음악·무용
근대사회의 태동
16강_근대의 정치
1. 근대의 세계(1)
2. 근대사회와 조선후기의 모습
3. 통치체제의 개편
4. 붕당정치의 출현과 전개
5. 붕당정치의 변질
6. 탕평책
7. 붕당정치의 파탄
8. 대외관계의 변화
17강_근대의 경제
1. 수취체제의 개편
2. 서민경제의 발달
3. 민영수공업과 광산개발
4.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18강_근대의 사회
1. 사회구조의 변동
2. 향촌질서의 변화
3. 사회의 변혁
19강_근대의 문화
1. 성리학의 교조화(호락논쟁)·양명학
2. 실학의 발달
3. 국학연구의 확대
4. 과학기술의 발달
5. 문화의 새 경향
근대사회의 전개
20강_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개항
1. 근대의 세계(2)
2.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
3. 강화도조약 및 諸 조약 체결
21강_개화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1. 개화정책과 위정척사운동
2. 임오군란
3. 갑신정변
22강_구국 민족운동의 전개
1. 동학농민운동
2. 갑오개혁
3. 을미개혁
4. 아관파천과 대한제국
5. 독립협회
6. 항일의병 항쟁
23강_개항이후의 경제와 사회
1. 개항 이후의 경제
2. 경제적 구국운동
3. 평등사회와 근대의식의 변화
4. 생활모습의 변화
24강_근대문물의 수용과 근대 문화의 형성
1. 근대문물의 수용
2. 근대교육과 국학연구
3. 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민족독립운동의 전개
25강_일제 식민통치와 민족의 수난
1. 국제정세의 변화
2. 국권 피탈 과정
3. 일제 식민통치의 전개
26강_3·1 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1. 3·1 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2. 1910년대 항일 민족 운동
27강_무장독립운동의 전개
1. 1920년대 민족운동
2. 1920년대 만주 무장 독립전쟁
3. 1930년대 이후 항일 민족 운동
28강_사회·경제적 민족운동
1. 경제적·문화적 실력양성운동
2. 사회적 민족운동의 전개
29강_민족문화 수호 운동
1. 일제 식민지 교육정책
2. 역사의 의미
3. 한국사와 세계사
4. 근대 민족사관
5. 중국의 동북공정
6. 국학 연구
현대사회의 발전
30강_광복과 대한민국의 성립
1.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계
2. 해방정국의 혼란
3. 정부수립 과정
31강_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1. 친일파 처리와 6·25 전쟁
2. 이승만 정부
3. 장면내각
4. 박정희 정부
5. 유신체제
6. 전두환·노태우 정부
7. 김영삼·김대중·노무현 정부
32강_북한의 변화와 평화통일 과제
1. 북한정권의 변화
2. 통일을 위한 노력
33강_경제발전과 사회·문화의 변화
1. 현대사회의 경제
2. 현대사회의 사회·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