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94824109
· 쪽수 : 218쪽
· 출판일 : 2010-03-2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___ 신라시대
백결(百結) 선생 집에서 / 원광법사 ……… 17
낭지(朗智)스님께 / 원효대사 ……… 18
자루 없는 도끼 / 원효대사 ……… 19
어떤 서원 / 원효대사 ……… 20
오도송(悟道頌) / 원효대사 ……… 21
어머니 장례 때 / 사복 ……… 22
사리(舍利) 찬(讚) / 자장율사 ……… 23
여수(旅愁) / 혜초대사 ……… 24
눈을 만나[逢雪述懷] / 혜초대사 ……… 25
제2부 ___ 고려시대
빗속에 말을 타고 가면서[雨中行次馬上口占] / 대각의천 ……… 29
우작(偶作) / 대각의천 ……… 30
홍법원에서[留題洪法院] / 대각의천 ……… 31
해동의 교적을 읽고[讀海東敎迹] / 대각의천 ……… 32
문수사(文殊寺) / 대감탄연 ……… 33
오어사에 가서[至吾魚] / 진각혜심 ……… 34
부채[扇] / 진각혜심 ……… 35
??화엄론??을 강의하던 차에[消華嚴論次] / 진각혜심 ……… 36
선당에서[禪堂示衆] / 진각혜심 ……… 37
출가의 경계[出家境界吟] / 진각혜심 ……… 38
그림자를 대하여[對影] / 진각혜심 ……… 39
어부사(漁父詞) / 진각혜심 ……… 40
식영암명(息影庵銘) / 진각혜심 ……… 41
매화 / 보각일연 ……… 43
이차돈(異次頓) / 보각일연 ……… 44
유거(幽居) / 원감충지 ……… 45
한가할 때[閑中遣] / 원감충지 ……… 46
즉사(卽事) / 원감충지 ……… 48
우연히[偶書一絶] / 원감충지 ……… 49
야우송을 지어 동인에게 보임[作野牛頌示同人] / 원감충지 ……… 50
산에 살다[山居] / 원감충지 ……… 51
또 십이송을 지어 지공화상에게 올림
[又作十二頌呈似] / 백운경한 ……… 52
무심가(無心歌) / 백운경한 ……… 58
백운암가(白雲庵歌) / 태고보우 ……… 61
석계(石溪) / 태고보우 ……… 65
과운(過雲) / 태고보우 ……… 66
석가가 산을 나오는 상[釋迦出山相] / 태고보우 ……… 67
임종게(臨終偈) / 태고보우 ……… 69
산에 살다[山居] / 나옹혜근 ……… 70
죽림(竹林) / 나옹혜근 ……… 74
무위(無爲) / 나옹혜근 ……… 75
서봉(西峰) / 나옹혜근 ……… 76
명선자가 게송을 청하다[明禪者求偈] / 나옹혜근 ……… 77
염불하는 사람들에게[示諸念佛人] / 나옹혜근 ……… 78
산중(山中) / 천봉만우 ……… 80
제3부 ___ 조선전기
굴원을 노래함[賦屈原] / 함허기화 ……… 85
현등사[題懸燈寺] / 함허기화 ……… 86
가을[秋日書懷] / 함허기화 ……… 87
운악산에 놀며[遊雲岳山] / 함허기화 ……… 88
개심대에 올라[上開心坮] / 허응보우 ……… 89
봄산[春山卽事] / 허응보우 ……… 90
산에 살면서[山居雜?] / 허응보우 ……… 91
취선에게[寄醉仙] / 허응보우 ……… 92
오도산에 올라[登悟道山] / 허응보우 ……… 93
스스로 기뻐함[因事自慶] / 허응보우 ……… 94
임종게(臨終偈) / 허응보우 ……… 95
선조대왕이 내리신 묵죽시의 운을 삼가 빌어 [敬次宣祖大王御賜?竹詩韻] / 청허휴정 ……… 95
가야산에 놀다[遊伽倻] / 청허휴정 ……… 97
통틀어 비판함[通決] / 청허휴정 ……… 98
초옥(草屋) / 청허휴정 ……… 99
일선암의 벽에 씀[題一仙庵壁] / 청허휴정 ……… 100
임종게(臨終偈) / 청허휴정 ……… 101
병회(病懷) / 청허휴정 ……… 102
청허가(淸虛歌) / 청허휴정 ……… 103
눈멀고 귀먹은 늙은 스님에게[贈盲聾禪老] / 정관일선 ……… 104
금강대에 다시 올라[重上金剛坮] / 정관일선 ……… 105
임종게(臨終偈) / 정관일선 ……… 106
자조(自嘲) / 제월경헌 ……… 107
남화경을 읽고[讀南華經有感] / 중관해안 ……… 108
겨울날 호남으로 감[冬日湖南行] / 중관해안 ……… 109
임종게(臨終偈) / 중관해안 ……… 110
피리 소리를 듣고[聞笛] / 부휴선수 ……… 111
황혼에 사람 부르는 소리 듣고[黃昏聞喚聲] / 부휴선수 ……… 112
임종게(臨終偈) / 부휴선수 ……… 113
제4부 ___ 조선후기
고향을 바라보며[望故鄕] / 사명유정 ……… 117
만폭동(萬瀑洞) / 사명유정 ……… 118
신라의 옛 여관에서 밤에 앉아[新羅故館夜坐] / 사명유정 ……… 119
체포되어 강릉에 오다[擒下江陵] / 사명유정 ……… 120
고존사 화성(古尊師化城) / 소요태능 ……… 121
무위인(無位人) / 소요태능 ……… 122
산중에서[山中偶吟] / 편양언기 ……… 123
산에 살다[山居] / 편양언기 ……… 124
내원에서 의상대를 바라보며[內院對義湘坮] / 편양언기 ……… 125
뜰의 꽃[庭花] / 편양언기 ……… 126
산에 살다(山居) / 취미수초 ……… 127
고향에 돌아오다[回鄕] / 취미수초 ……… 128
나비의 꿈[胡蝶夢] / 허백명조 ……… 129
표훈사(表訓寺) / 허백명조 ……… 130
홀로 앉아[獨坐] / 허백명조 ……… 131
다시 동래에 오다[復到東萊] / 허백명조 ……… 132
쌍암[題雙庵] / 백곡처능 ……… 133
산을 나오다[出山] / 백곡처능 ……… 134
혜스님을 보내며[別惠師] / 백곡처능 ……… 135
가을날 인존숙께 드림[秋日寄忍尊宿] / 백곡처능 ……… 136
일언에서 십언까지[自一言至十言] / 백곡처능 ……… 137
시골 서재의 밤에[村齋夜吟] / 월저도안 ……… 140
청허당 판상운을 따라[次淸虛堂板上韻] / 월저도안 ……… 141
각해 스님에게[次贈覺海師] / 월저도안 ……… 142
임종게(臨終偈) / 월저도안 ……… 143
삼가 백암께 드림[謹呈栢庵] / 무용수연 ……… 144
소제에 누운 소[蘇堤臥牛] / 무용수연 ……… 145
청평사에서[題淸平寺] / 환성지안 ……… 146
기러기 소리를 듣고[聞?] / 천경해원 ……… 147
영자찬(影自讚) / 천경해원 ……… 148
선객에게[贈禪客] / 묵암최눌 ……… 149
홀로 앉아[獨坐] / 묵암최눌 ……… 150
꿈[夢] / 묵암최눌 ……… 151
목욕[?浴] / 묵암최눌 ……… 152
시내에 나가[谿行]? 대둔사에서[在大屯寺] / 초의의순 ……… 153
용문사에 이르러[至龍門寺] / 초의의순 ……… 155
정양이 나의 ‘청량사아집’의 운을 따라 시를 보냈기에 다시 답함 [晶陽和余淸凉寺雅集韻見寄復和答之] / 초의의순 ……… 156
영호당에게 답함[和映湖堂] / 경허성우 ……… 157
봉천대에서[遊奉天臺] / 경허성우 ……… 159
오도송(悟道頌) / 경허성우 ……… 161
저자 약력 / ……… 162
해설-한국선시의 새벽 / 최동호 ……… 196
역자 연보 / ………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