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문법
· ISBN : 9788995642177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07-05-28
책 소개
목차
품사와 문장구성요소
전치사
등위접속사 (1)
명사+명사
조동사
명사의 문장구성요소
의문형용사
등위접속사 (2)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가주어, 가목적어 it
부사적 목적격
동격
유도부사 there
품사와 문장구성요소 (1)
명사의 기본적인 문장구성요소
가산명사는 단독으로 쓸 수 없다
품사와 문장구성요소 (2)
활용과 동사형
활용
활용과 술어동사·준동사의 관계
원형과 현재형의 식별
가정법 현재
동사형 (1)
S ①과 S ③ O
equal의 관계
S ② C
S ④ O O
S ⑤ O C
수동의 동사형
수동 동사의 활용
be의 5가지 가능성
진행형
been p.p.와 being p.p.
동사형 (2)
활용과 술어동사·준동사의 관계를 묻는 문제 [1]
활용과 술어동사·준동사의 관계를 묻는 문제 [2]
준동사
술어동사와 준동사
과거분사의 4가지 가능성 (1)
ing형의 4가지 가능성
전치사+동명사
부정사의 4가지 가능성
과거분사의 4가지 가능성 (2)
단독의 과거분사
자동사의 단독의 과거분사
타동사의 단독의 과거분사
의미상의 주어
앞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분사
원형부정사
완료준동사
have+O+p.p.
환언의 분사구문
S+be+-ing
being이 생략된 분사구문
준동사를 식별하는 문제 [1]
준동사를 식별하는 문제 [2]
종속절
종속절
종속접속사
종속접속사 that의 생략
간접의문문
내외 단절의 원칙
관계대명사
전치사+관계대명사
(명사+of+which …)
형용사절의 해석
관계대명사의 생략
명사+that+동사
so ∼ that S+V
관계대명사+S+have+p.p.
관계대명사 what
what절의 구조
if절, whether절의 구조
such ∼ that S+V
관계부사
that+완전한 문장
whenever절의 구조
관계대명사 what+S+be
형용사 what
전치사+that절
종속절을 만드는 단어의 존재
기타
접점의 연결방법
인칭과 수
격
소유격
3인칭·단수·현재의 s
완료
2개 V의 법칙
2개 S+V의 법칙
2개 V의 법칙, 2개 S+V의 법칙의 예외
수량·종류·양태+of ∼
구문이란?
영어 구문에서 어려운 3가지
and를 보충하는 문제
2개 단어를 보충하는 문제
책속에서
불가산명사는 지금 설명했듯이 복수형으로 할 수 없고, 부정관사도 붙일 수 없기 때문에 단수?무관사(이 상태를 ‘맨 상태’라고 한다)로 쓴다. 예를 들면 poetry(시)는 불가산명사이므로 단수?무관사로 쓰여 Poetry comes naturally to some people.(시가 자연스럽게 다가오는 사람이 있다) 같은 문장을 만들 수 있다.이와 달리 가산명사는 특별한 예외 이외에는 맨 상태로 사용할 수 없다. 단수형이라면 관사를 붙여야만 하고, 무관사로 쓰려면 복수형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면 job(일)은 가산명사이므로 a job, the job, jobs, the jobs 중 하나로 써야만 한다. 그런데 영어에는 한정사(=determiner)라고 부르는 단어들이 있다. 이것은 정관사(=the), 부정관사(=a, an), 소유격, 수사, this, that, these, those, some, any 등이다. 실은 지금 단수?무관사의 상태를 ‘맨 상태’라고 정의했지만, 이것은 약간 부정확한 정의이다. 무관사 상태여도 이들 한정사 중 하나가 붙어 있으면 그 명사는 ‘맨 상태’가 아니다. 그래서 ‘명사가 맨 상태’란 것은 정확히는 ‘단수형이고 한정사가 붙어있지 않은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job은 앞서 4가지 이외에 my job, this job, some job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