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자인 조사 연구방법론

디자인 조사 연구방법론

(SPSS PC+를 중심으로)

박규원, 김희경, 정병국, 최문희, 홍준기 (지은이)
이서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8,9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자인 조사 연구방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자인 조사 연구방법론 (SPSS PC+를 중심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96248545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10-06-05

책 소개

비전공자들이 통계기법을 사용하고 그 숫자의 의미를 읽는 방법을 설명해주기 위한 책. 조사전문가조차 거의 사용할 일이 없는 고급통계는 제외하고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꼭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초중급 통계기법 즉 기술통계와 교차분석, t 검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차례로 소개하였다.

목차

들어가는 말 9

제1부 디자인 조사 연구방법

1. 왜 디자인 연구도 과학적으로 해야 하는가? 16
2. 사회과학 연구방법의 절차 19
3. 개념, 변인과 척도 24
4. 서베이 30
5. 표본추출법 38
6. 설문지 작성법 47
7. 설문지 예시 53

제2부 SPSS/PC+ 프로그램

1. SPSS/PC+ 환경 설정하기 60
2. 데이터 입력하기 69
3. 출력결과를 다른 프로그램으로 복사하기 71
4. 변인 및 데이터 변환시키기 75

제3부 기술통계

1. 기술통계 값 92
2. SPSS/PC+ 메뉴판 실행하기 99

제4부 교차분석

1. 교차분석의 정의 106
2. 교차분석 연구절차 107
3. 교차분석 논문작성법 115
4. 교차분석 사용 논문의 예 117

제5부 T-test (t 검증)

1. t 검증의 정의 122
2. 독립표본 t 검증 연구절차 123
3. 대응표본 t 검증 연구절차 130
4. t 검증 논문작성법 139
5. t 검증 사용 논문의 예 142

제6부 분산분석

1. 분산분석의 정의 148
2. 일원 분산분석 연구절차 149
3. 이원 분산분석 연구절차 158
4. 분산분석 논문작성법 168
5. 분산분석 사용 논문의 예 172

제7부 상관관계분석

1. 상관관계분석의 정의 180
2. 상관계수의 해석 182
3. 상관분석 연구절차 183
4. 상관분석 논문작성법 190
5. 상관분석 사용 논문의 예 193

제8부 회귀분석

1. 회귀분석의 정의 198
2. 단순 회귀분석 연구절차 200
3. 다중 회귀분석 연구절차 207
4. 가변인 회귀분석 연구절차 221
5. 회귀분석 논문작성법 233
6. 회귀분석 사용 논문의 예 238

제9부 다중응답 분석

1. 범주형 데이터의 다중응답 처리 245
2. 이분형 데이터의 다중응답 처리 258

제10부 연구논문사례

1. 논문개요 263
2. 가설과 변인 265
3. 온라인 실험환경 설계 268
4. 연구결과 272
5. 사례 논문 275

참고서적 294

저자소개

박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 교수 (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branddesign.or.kr) 이사장 패키지구조디자인연구센터 (spdc.or.kr) 센터장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람회 초대 작가 애경산업 디자인 자문교수 제주항공 디자인 자문교수 [주요 경력] 2002~2010년 (사)?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회장 2004~2005년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장 및 대학원장 1994~1995년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교환교수 1991~1998년 국립창원대학교 산업디자인과 교수 1981~1991년 LG?생활건강 디자인실 팀장 1974~1989년 홍익대학교 / 대학원 산업미술대학원 졸업 [주요 산업체 자문 경력] 2012~2013년 한국야쿠르트 디자인 자문교수 2009~2010년 삼성전자 Anycall 패키지디자인 자문교수 2007~2008년 풀무원 디자인 자문교수 2006~2006년 LG?생활건강 디자인연구소 자문교수 1992~2004년 CJ?제일제당 디자인연구소 자문교수 1992~2005년 (주)인피니트 Creative Director 및 자문교수 [저서] 디자인 조사 연구방법론 패키지디자인 브랜드와 패키지디자인 현대 포장디자인 [논문] 선두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전략 상품의 Refresh 전략과 포장디자인 외 40여 편 [기타] CI, BI, Package Design 디렉터 및 자문 실적 제주항공, SBS, 중앙일보, POSCO, REXFILD, 하나은행, 롯데백화점, 비트, 하이트맥주, 청정원 O’food, 트리오, 루나화장품, 슈슈샴푸, 2080?치약, 퓨리스생수, 경주법주, 이자녹스화장품, 쁘티첼, 참그린, 한국야쿠르트 7, 삼립웰가, 에스비식품, 풀무원 외
펼치기
김희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5년에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 후 광고회사인 (주)코래드 조사실에 입사해 마케팅 리서처로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대학 때 사귄 선배와 1989년에 결혼하면서 (주)인피니트로 회사를 옮긴 후 두 아들을 낳았다. 잠시 회사를 쉬는 동안 고려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IMF가 터져 구조조정이 한창일 때 37살의 나이로 재입사하는 놀랄 만한 기록을 남겼다. 2001년 벤처 열풍이 불었을 때 부화뇌동하여 (주)블루게일이라는 리서치 & 컨설팅 회사를 차렸다. 하지만 1년 후 미국이 천국인 줄 알고 아이들만 데리고 돌연 조기유학을 떠났다. 귀국하기까지 1년 반 동안 돈을 억수로 쏟아 부으며 죽도록 몸 고생, 마음고생을 한 후 더 이상 자신처럼 아무 것도 모르고 유학을 떠나는 엄마들이 없어야 한다는 사명감에 이 책을 쓰기로 결심했다. 2004년 현재는 (주)THE BRAIN COMPANY의 브랜드 리서치센터 이사직을 맡고 있으며, 고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광고와 마케팅 조사는 이렇게 한다>가 있다.
펼치기
정병국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 나가오카조형대학 조형연구과 졸업 (디자인학 박사/감성공학 전공) 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조교수 지식경제부 지식경제 기술혁신평가단 평가위원 보건복지부 디자인 자문교수 (사)브랜드디자인학회 사무총장
펼치기
최문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운대학교 보령머드RIS사업단 마케팅 책임연구원 대한민국 산업디자인전 추천작가 협성대학교 강사
펼치기
홍준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명건시스템 대표이사 건국대,충남대,한양대 강사 (사)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이사
펼치기

책속에서

왜 디자인 연구도 과학적으로 해야 하는가?

디자인이란 다분히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예술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통계와 같은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과학적’ 방법을 사용해서 디자인을 연구한다거나 연결을 지으려는 것에 대한 거부반응을 가지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물론 미래 사회 환경에서는 객관적 데이터나 정량적 자료없이 모든 디자인작업 과정을 수행하기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미 사회는 정량적 근거나 데이터에 익숙해져 있을 뿐 아니라 이를 근거로 논리를 만들고 이해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원래 사회과학이란 사회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과학적인 연구방법(예를 들어 통계)을 사용하여 그 현상들의 인과관계를 객관적, 체계적으로 기술하고(describe) 설명하며(explain) 예측하는(predict)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디자인 활동과 전혀 다르지 않다. 디자인도 엄연히 사회의 한 현상일 뿐 아니라, 최종목적이 사람에 의해 선택되고 사용되기 위한 디자인이라면 개발과 선택 그리고 구매와 소비과정 역시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얼마 전 신문에 ‘경기가 불황이면 색조화장품이 더 잘 팔린다’라는 기사가 나온 적 있다. 이 말이 사실인지 아니면 우연의 일치인지를 밝혀내는 것은 사회과학자에게 좋은 논문거리이며, 또 컬러에 대한 여성의 심리와 관련이 있으므로 디자인계에서도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이다.
여기에서 경기가 불황일 때 색조화장품이 더 잘 팔린다는 인과관계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경기가 호황일 때와 불황일 때의 색조화장품 매출액을 비교해보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적합한 통계기법(예를 들어 T?test)을 사용해 불황 시 매출액의 증가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면, 이 인과관계는 진실이 된다. 그러나 하나의 연구논문이 되려면 왜 잘 팔릴까 하는 원인에 대한 설명이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하고, 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에 불황이 찾아왔을 때도 색조화장품이 잘 팔릴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만일 연구결과는 그럴듯해도 그 연구가 주관적이고 비과학적인 방법으로 시행되었다면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을 수 없고 논문으로서의 가치도 없기 때문에 연구방법론이 중요하다.
사회과학 연구방법이란 주제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현상, 연구대상들의 의견이나 태도, 행동 양식 등을 수집해 그 내용을 숫자로 바꿔서 만든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해 통계 프로그램(예:SPSS/PC+)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보통 조사(research)라고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사방법이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를 뜻하는 서베이(survey)이다.
통계 프로그램에는 SPSS/PC+ 외에도 SAS, BMDP, MINITAB 등이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이 책에서 앞으로 설명할 Window용 SPSS/PC+이다. 과거에는 SPSS 사용시 명령어를 영어로 직접 입력해야 했으므로 오타가 나거나 점 하나만 잘못 찍어도 에러가 발생했다. 그러나 요즘은 메뉴판식으로 된 Window용 한글버전이 출시되어 사용 매뉴얼만 있으면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 관계자들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프로그램이 되었다.
걱정스러운 점은 분명 정량적 근거나 데이터들은 디자인 활동에서 단지 참조 자료로 활용되어야 하고 개인적 설득 논리나 디자인작업은 감성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부분도 간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에 대한 여러가지 활동이나 결정과정, 결과치에 대한 결정적 근거로 유독 정량적 데이터들이 오용되고, 독자적인 감성적 미래 방향성에 대한 부분이 배제되고 있음도 부인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보완되기 위해서도 정량적 조사 분석에 대한 이해가 더욱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디자인행위란 과학과 예술이 만나는 결정체라는 보편적 진실을 감안한다면 분명 조사결과로 나타나는 정량적 계수를 참고(또는 근거)로 해서 감성적 가치를 창출해야 주변으로부터 객관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강조하건데 정량적 계수를 근거로 하는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이 디자인영역에서도 제외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