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자로 보는 서울, 서울에서 배우는 한자

한자로 보는 서울, 서울에서 배우는 한자

(종횡무진 서울 한자이야기)

김기만 (지은이)
황금비율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자로 보는 서울, 서울에서 배우는 한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자로 보는 서울, 서울에서 배우는 한자 (종횡무진 서울 한자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한자 > 한자일반
· ISBN : 9788996457589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13-02-02

책 소개

많은 한자 책들이 원리와 부수를 기본으로 한자를 설명한 것과 다르게 한자어를 통째로 보여 주며 설명하는 책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서울을 중심으로 서울의 전통, 자연, 문화, 시장, 교통 등에서 접할 수 있는 살아 있는 한자어를 담고 있다.

목차

| 머리말 |

| 서울의 전통 |
1. 서울이 궁금해요 … 12
2. 아름다운 집들이 있는 곳 … 14
3. 전하! 성은이 망극하옵니다 … 18
4. 서울보다 작은 한양 … 23
5. 왕이 죽었다 … 26
6. 공자왈 맹자왈 … 29
7. 서울에 이런 곳이 … 33
8. Happy New Year … 38
9. 아름다운 가르침 … 41
10. 화살이 꽂힌 다리 … 44

| 서울의 자연 |
1. 흘러라 흘러라 맑은 물아 … 48
2. 서울에 강이 있다 … 52
3. 죽다가 다시 살아나다 … 55
4. 가노라 삼각산아 … 58
5. 호랑이가 살았던 산 … 61
6. 칼을 씻으라 … 65
7. 사냥매 … 68
8. 굴러라 굴러라 … 71
9. 봉우리마다 … 74
10. 달려라, 말이여! … 77
11. 아름다운 캠퍼스 … 80
12. 서울숲의 향기 … 82

| 서울의 문화 |
1. 외국인 마을 … 86
2. 조선족들의 쉼터 … 89
3. 서울 속 다문화 … 92
4. 서울의 해적선 … 95
5. 팡팡 불꽃 … 97
6. 어서 오세요! … 100
7. 세계를 강타하다 … 102
8. 세종과 충무공 … 104
9. 서울 속 벽화 … 106
10. 서울 놀이터 … 109
11. 서울 속 캠핑장 … 111
12. 공존의 길 … 113
13. 블루하우스 길 … 116
14. 오! 필승 코리아 … 118
15. 떡볶이 1인분 … 121

| 서울의 시장 |
1. 골라 골라 … 124
2. 초콜릿 골목 … 127
3. 바다의 창고 … 130
4. 멸치야 놀자 … 133
5. 대한민국의 옷은 이곳으로 … 136
6. 한약은 이곳으로 … 139
7. 벼룩시장 … 142
8. 강남하면 이곳 … 145
9. 영등포하면 이곳 … 148

| 서울의 교통 |
1. 달려라 지하철 … 152
2. 지하철도 나쁜 짓을 한다? … 155
3. 지하철 꼴불견 … 158
4. 자동차는 차로로 … 160
5. 교통사고 후유증은 없다? … 162
6. 도로가 과식했습니다 … 164
7. 돌고 도는 길 … 166

저자소개

김기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에서 한문을 전공하고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일반사회를 전공했다. EBS 중학 한문과 EBSi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을 검수·검토했다. EBS 주관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 출제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수료하고, 교육부 주관 2015년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참여하였다. 쓴 책으로는 문화체육관광부 우수 교양 도서로 선정된 《한자로 보는 서울, 서울에서 배우는 한자》와 《초등 한자 만점의 신》, 《교과서를 꿀꺽 삼킨 8급 한자》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900여 채의 한옥으로 이루어져 있는 북촌(北村)은 600년 동안 사람들의 주거 지역으로, 청계천과 종로의 위쪽에 있어 북녘 북(北), 마을 촌(村)을 씁니다. ‘北’(북녘 북)은 사람과 사람이 등을 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두 사람이 등을 지고 있는 모습에서 둘 사이 관계가 ‘어둡다’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햇빛이 잘 안 드는 어두운 곳이 북쪽이었기 때문에 북(北)은 북쪽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또 사람이 등을 보이고 도망가는 모습이기 때문에 북(北)은 ‘달아나다’라는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이때는 북이라고 하지 않고 배라고 읽습니다. 패배(敗北)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 2. 아름다운 집들이 있는 곳


한수 한(漢), 햇볕 양(陽)을 쓰는 한양(漢陽)은 한강(漢江)의 북쪽이라는 뜻입니다. 햇볕 양(陽)은 물의 북쪽을 나타내는 글자로도 쓰입니다. 수도가 성곽으로 둘러싸여 있다는 뜻에서 도읍 도(都), 성 성(城)을 써서 도성(都城)이라고 불렀습니다. 도시(都市)라고 할 때 도(都)는 왕과 벼슬아치, 장군 등이 있는 곳으로 정치의 중심지를 말하며, 시(市)는 일반 사람들이 모여 사는 경제의 중심지로 보통 시장 지역을 말합니다. 고을을 둘러싸면 고을 읍(邑), 성 성(城)을 써서 읍성(邑城)이라 하고, 산에 성을 쌓으면 뫼 산(山), 성 성(城)을 써서 산성(山城)이라 부릅니다. … 4. 서울보다 작은 한양


대한민국은 대한민국(大韓民國)이지 대한민국(大漢民國)이 아닙니다. 한(漢)은 한(韓)과 다른 한자입니다. 대한민국의 한은 한나라 한(韓)을 쓰고, 한강의 한은 한수 한(漢)을 씁니다. 한수는 강 이름입니다. 서울을 동서(東西)로 가로지르며 흐르는 한강(漢江)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 시대부터 서로 갖고 싶어 하던 곳이었습니다. 조선의 수도였던 한양(漢陽)의 이름도 한강과 관련이 있습니다. 산의 남쪽이나 강의 북쪽을 양(陽)이라 불렀기 때문에 한강의 북쪽이라는 의미에서 한양(漢陽)이라 불렀습니다. 충청북도 단양(丹陽)은 남한강의 북쪽에 있고, 경상남도 밀양(密陽)은 밀양강의 북쪽에 있고, 전라남도 담양(潭陽)은 섬진강의 북쪽에 있기 때문에 지명에 양(陽)이 들어가 있습니다. … 2. 서울에 강이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