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PC/게임/디지털 카메라 > 디지털 카메라
· ISBN : 9788996497806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0-12-06
책 소개
목차
제 1장. 디지털사진(Digital Photograph)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1. 디지털(Digital Images) VS 필름(Film Images)
How-To GPS 수신기를 활용한 촬영장소의 기록
How-To 디지털사진은 모두 0과 1이다?!
Know-How 1. 사진은 빼기! 최대한 단순화하자!
2. 빛과 에너지를 담는 파일 포맷(File Formats)
파일 포맷(File Formats)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제이펙) 포맷
How-To JPEG 포맷의 크기
RAW(로) 포맷
그 외에 포토샵에서 많이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 포맷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티프) 파일
PSD(Photoshop Document, 피에스디) 파일
Know-How 2. 구도를 버려라!
How-To 동양의“사진(寫眞)”과 서양의“포토그래프(Photograph)”
3. 사진을 만드는 입자, 픽셀(PIXEL)
픽셀(PIXEL)
디지털사진은 비트맵(Bitmap) 이미지다!
How-To 필름이나 인화물을 스캔한 이미지도 디지털사진일까?
화소(畵素)와 해상도(解像度, Resolution), DPI(PPI)
How-To 인터넷에 업로드(Upload)할 사진의 크기는?
기준 해상도
How-To 72PPI 기준인 모니터의 화질은 왜 좋은 걸까?
출력물의 크기 예측
How-To 포토샵에서는 출력물의 크기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Know-How 3. 빛을 읽자!
4.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의 특징은?
SLR(Single Lens Reflex) 이란?
DSLR 카메라의 구조
How-To SLR 카메라의 퀵 리턴 미러(Quick Return Mirror)와 자동 조리개(Automatic Diaphragm)
용어해설
렌즈(Lens)
카메라(Camera)
포커싱 스크린(Focusing Screen)
펜타프리즘(PentaPrism)
뷰 파인더(View Finder)
카메라 파인더(Camera Finder)
거리계 조절(Focusing)
셔터 릴리즈 버튼(Shutter Realese Button)
셔터막(Shutter Curtain, 셔터 커튼)
How-To 뷰 파인더(View Finder)의 종류
How-To 시야율이란?
How-To 카메라를 어깨에 메는 방법
Know-How 4. 가까이 다가가자!
5. DSLR이 아닌 다른 형식의 디지털 카메라들
디지털 컴팩트카메라(Digital Compact Camera)
디지털 레인지파인더 카메라(Digital Range Finder Camera)
How-To 백 포커스(Back Focus)와 플렌지 백(Flange Back)
디지털 백(Digital Back)
How-To TTL
Know-How 5. 컴팩트카메라도 훌륭하다!
How-To 3D 디지털사진
6. 이미지센서의 종류와 크기
디지털필름, 디지털 이미지센서(Digital Image Sensor)
이미지센서(Image Sensor)의 종류, CMOS와 CCD
CMOS 이미지센서
CCD 이미지센서
How-To 3층 구조의 포베온 X3(Foveon X3) 이미지센서
화질을 결정하는 것은 이미지센서의 크기?!
How-To 카메라 구입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이미지센서의 크기
이미지센서 크기의 기준은?
이미지센서의 크롭(Crop) 배수의 뜻은?
이미지센서의 크롭(Crop) 배수 계산방법
용어해설
APS-H와 APS-C
How-To 메모리카드(Memory Cards)에 대해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Know-How 6. RAW(로) 촬영을 하자!
제 2장. 디지털카메라를 잘 다루는 방법
1. 사진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노출(Exposure)
노출(露出, Exposure)과 노출계(露出計, Exposure Meter)
노출(露出, Exposure)이란?
노출계(露出計, Exposure Meter)의 종류
How-To 적정노출(適正露出, Normal Exposure)과 그레이카드(Gray Card)
노출결정의 핵심 3요소: 조리개-셔터속도-감도
조리개(Diaphragm, Aperture)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피사계심도(被寫界深度, Depth Of Field)를 조절하는 조리개
How-To 최대 개방 조리개와 최소 조리개를 어떻게 쓸 것인가?
셔터속도(Shutter Speed)
빛의 양을 시간으로 조절하는 셔터속도
How-To 포컬플레인 셔터(Focal-Plane Shutter)란?
How-To 셔터랙(Shutter Lag)이란?
B셔터의 역할
How-To 미러락업(Mirror Lock-Up) 기능
동작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셔터속도
How-To 패닝(Panning)
감도(感度, IS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감도: 조리개와 셔터속도 조절의 밑거름
How-To 감도와 촬영가능 수량의 관계
감도변화에 따른 노이즈(Noise)의 변화
감도별 노이즈 비교
How-To 노이즈를 줄이는 방법?!
Know-How 7. 히스토그램(Histogram)의 역할은 무엇일까?
2. 노출량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
반사식 노출계의 다양한 측광 모드(Exposure Metering Modes)
다분할 평균 측광(Multi-segment Average Metering)
중앙부 중점 측광(Center-weighted Metering)
스팟 측광(Spot Metering)
부분 측광(Partial Metering)
How-To 디지털 카메라와 렌즈를 보관, 이동할 때 주의해야할 것들!
자동노출과 수동노출 모드(Automatic Exposure & Manual Exposure Modes)
자동노출 모드(Automatic Exposure, AE Mode)
완전 자동노출 모드(Full Automatic Exposure Mode)
프로그램 모드(Program, P)
How-To 프로그램 쉬프트(Program Shift) 기능
조리개 우선 모드(Aperture Priority, A / Aperture Value, Av)
셔터속도 우선 모드(Shutter Speed Priority, S / Time Value, Tv)
수동노출 모드(Manual, M)
수동노출 모드에서 노출조절 방법
How-To 자동노출 모드의 노출보정
Know-How 8. 사진의 느낌을 밝기로 조절하자!
3. 더 나은 작품을 위한 렌즈의 이해
렌즈의 이해
렌즈 마운트 형식(Lens Mounts) 렌즈의 초점거리(焦點距離, Focal Length, F)
How-To F가 담고 있는 의미
조리개 최대밝기(Maximum Aperture Size)
How-To 밝은 조리개와 빠른 조리개?
렌즈의 이미지 서클(Image Circle)
How-To 디지털 전용 렌즈와 일반 렌즈의 차이점
렌즈의 종류
표준렌즈(Standard Lens)
How-To 피사계심도에서 이미지센서 크기와 초점거리와의 관계
광각렌즈(Wide Angle Lens, 단 초점 렌즈)
망원렌즈(Telephoto Lens, 장 초점 렌즈)
How-To 렌즈에 따른 원근감(Perspective)의 이해
초 광각렌즈와 초 망원렌즈(Ultra-Wide Angle Lens & Super Telephoto Lens)
How-To 반사 망원렌즈(Reflex Telephoto Lens)
단일렌즈(Prime Lens)
줌 렌즈(Zoom Lens)
How-To 줌 렌즈의 활용 - 주밍(Zooming) 촬영
접사렌즈(Macro Lens, Micro Lens)
How-To 클로즈업 렌즈(Close-Up Lens)
쉬프트 렌즈(Shift Lens, Perspective Control Lens)
어안 렌즈(Fish-Eye Lens)
컨버터(Converter)
How-To 비구면(非球面) 렌즈와 초 저분산(超 低分散) 렌즈의 설계
익스텐션 튜브(Extension Tube) 필터(Filters)
How-To 라이브 뷰(Live View)와 미러리스 카메라(Mirrorless Camera)
필터의 여러 종류
UV 필터(Ultraviolet Filter)
ND 필터(Neutral Density Filter)
편광 필터(偏光, Polarizing Filter, PL Filter)
소프트 필터(Soft Filter)
그러데이션 필터(Gradation Filter, 계조표현 필터)
색온도 보정용 필터(Color Compensating Filter, CC Filter)
How-To 좋은 화질을 위한 여러 가지 액세서리(Accessaries)
Know-How 9. 표준렌즈의 감성을 익히자!
4. 내 의도를 적절히 표현하는 공간감의 조절, 초점(Focusing)
초점(Focus)이란 무엇일까?
초점면(Plane of Focus)과 촬영거리(Shooting Distance)
How-To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자!
How-To 초점면(面)?
How-To 초점면(面)의 두께
초점의 조절
수동 초점조절(Manual Focusing)
How-To DRF 카메라의 초점조절
자동 초점조절(Auto Focusing)
How-To 자동 초점조절(AF) 모드의 선택
Know-How 10. 자유로운 프레이밍을 위해 AF-Lock을 이용하자!
5. 입체감의 시작과 끝, 피사계심도(Depth of Field, DOF)
피사계심도(被寫界深度, Depth of Field, DOF)는?
How-To 아웃 포커스(Out of Focus) & 팬 포커스(Pan Focus)
피사계심도의 조절
이미지센서 크기에 따른 피사계심도의 변화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피사계심도의 변화
조리개 수치에 따른 피사계심도의 변화
How-To 카메라와 렌즈의 방진방습
렌즈의 최대밝기에 따른 피사계심도의 변화
촬영거리에 따른 피사계심도의 변화
How-To 착란원이란?
Know-How 11. 프리뷰 버튼을 활용하자!
6. 사진의 분위기를 표현하는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
사진을 만드는 빛, 가시광선(可視光線, Visible Rays)
색(Color)의 중요한 세 가지 요소: 색상(Hue), 명도(Brightness), 채도(Saturation)
빛의 3원색과 가색법(가산혼합법)
색의 3원색과 감색법(감산혼합법)
색온도(色溫度, Color Temperature)란 무엇인가?
색온도의 활용,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 조절
How-To 정확한 화이트밸런스 VS 창작의 화이트밸런스
화이트밸런스 프리셋(Pre-Set) 설정
How-To 컬러필름에서의 화이트밸런스 조절
오토 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 AWB) 설정
How-To 형광등 아래에서의 촬영
화이트밸런스 사용자 설정(Custom Setting) 기능
색온도 수치 직접 입력 기능
How-To JPEG과 RAW에서의 화이트밸런스 설정
Know-How 12. 프레이밍에 주력하자!
How-To 멀티샷(Multi Shot) 촬영이란?
7. 사진을 완성하는 빛, 조명(Lightings)
조명의 종류
지속광(Continuous Light)
순간광(Flash Light)
How-To 소형 플래시의 형태
소형 플래시의 TTL(Through The Lens) 연결
How-To 플래시의 광량, 가이드 넘버(Guide Number, GN)
소형 플래시의 TTL 발광 사용방법
How-To 플래시 동조 촬영 시 셔터속도의 한계
디지털카메라와 플래시의 연결방법
How-To 수중사진에 도전해볼까?
필 인 플래시(Fill-In-Flash)와 FP 고속 동조(Hi-speed Focal Plane Flash Synchronization)
How-To 적목현상이란?
플래시 다중 발광 촬영(Strobe Scopic Flash)
How-To FE-Lock의 활용
How-To 캐치라이트(Catch Light)
플래시 바운스 촬영(Bounce Flash)
선막 동조(Front Curtain Synchronization)와 후막 동조(Rear Curtain Synchronization)
How-To 플래시 동조 촬영에서의 화이트밸런스 조절
How-To 플래시 동조 촬영에서 X의 의미
대형 플래시
How-To 대형 플래시의 모델링 램프(Modeling Lamp)
Know-How 13. 반사판을 활용하자!
제 3장. 밝은 암실, 디지털사진의 처리
1. 기성복과 맞춤복의 차이(JPEG vs RAW)
디지털이미지의 샘플링(Digital Image Sampling)
How-To 비트 심도(Bit Depth)
화소의 크기와 파일 압축의 선택
How-To 메타데이터(Metadata)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
How-To RAW + JPEG 촬영의 활용
색 공간(Color Space)
sRGB IEC-61966-2.1
Adobe RGB (1998)
How-To 디지털이미지를 인터넷에서 볼 때의 색 공간 선택은?
ColorMatch RGB와 ProPhoto RGB
How-To 디지털카메라에서 색 공간의 선택
CMS(Color Management System)의 필요성
ICC 프로파일(ICC Profile)
[범용 프로파일]
[일반 프로파일]
[제작 프로파일]
모니터 캘리브레이션(Monitor Calibration)
모니터 캘리브레이션 측정기(Monitor Calibrator)
How-To 모니터 캘리브레이션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
소프트웨어 캘리브레이션(Software Calibration)과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Hardware Calibration)
Know-How 14. 디지털이미지 작업을 위한 컴퓨터의 구성
How-To 64비트 OS(Operating System)를 써볼까?
2. 디지털이미지의 보관, 관리, 작업
디지털이미지의 보관과 관리
How-To 디지털이미지의 저장
어도비 브릿지(Adobe Bridge)를 이용하여 디지털이미지 확인하기
How-To 어도비 브릿지(Adobe Bridge) 각각의 영역 확대 및 재구성
어도비 브릿지(Adobe Bridge)의 이미지 분류와 정렬
중요도에 따른 이미지의 분류
분류된 이미지의 정렬
색상 레이블(Lable)에 따른 분류와 정렬
How-To 어도비 브릿지(Adobe Bridge)의 한글 메뉴 전환
어도비 브릿지(Adobe Bridge)에서의 메타데이터(Metadata) 확인과 입력
메타데이터(Metadata)의 확인방법
촬영자 개인정보의 입력
How-To IPTC란?
다양한 종류의 로 컨버터(RAW Converter)
어도비 카메라 로(Adobe Camera RAW)에서 RAW 포맷 이미지 현상하기
How-To 어도비 브릿지(Adobe Bridge)에서 ACR을 실행하는 두 가지 방법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의 조절
How-To RAW 촬영에서의 화이트밸런스 설정
How-To 색온도의 수치 변화
노출, 밝기, 농도, 명암대비의 조절
How-To ACR에서의 알트(Alt)키와 [Exposure], [Recovery], [Blacks], 그리고 [Auto]와 [Default]
선명도와 채도의 조절
How-To RAW(로) 컨버터에서의 보정 순서
추가적인 기능의 조절
톤 커브(Tone Curve) 조절
샤프니스(Sharpness)와 노이즈(Noise) 조절
섬세한 색상 조절과 흑백 이미지 변환, HSL/Grayscale
흑백 이미지에 한 가지 색상 입히기, 스플릿 토닝(Split Toning)
How-To HSL/Grayscale 탭 색상의 수
카메라 렌즈의 성능을 보완하는 렌즈 커렉션(Lens Corrections)
How-To 화상의 왜곡, 색수차, 주변부 광량저하
특별한 효과를 만드는 기능, 이펙트(Effects)
카메라 캘리브레이션(Camera Calibration)을 이용한 나만의 카메라 프로파일(Camera Profile) 설정
How-To 컬러 체커 패스포트(Color Checker Passport)를 이용한 정확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Camera Calibration)
사용자 임의설정 기능, 프리셋(Presets)
보정한 내용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스냅샷(Snapshots)
워크플로우 옵션(Workflow Options)의 설정
[Space, 스페이스]
[Depth, 뎁스
[Size, 사이즈]
[Resolution, 레솔루션]
How-To 16비트 저장이 가능한 TIFF, 8비트로만 저장할 수 있는 JPEG
[Sharpen For, 샤픈 포]
How-To 워크플로우 옵션(Workflow Options)을 설정하는 시점
여러 이미지의 동시처리 작업
보정이 끝난 이미지의 파일 변환과 저장
How-To ACR에서 JPEG(제이펙) Maximum(맥시멈) 12로 저장하는 방법
Know-How 15. 왜 RAW 촬영을 강조할까?
How-To 포토샵의 포토머지(Photomerge)를 활용한 파노라마 사진 만들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디지털사진(Digital Photograph)이란, 말 그대로 촬영한 사진의 결과물이 디지털파일(Digital Image Files)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필름을 주로 사용하던 시절에는 사진기(이하 카메라)의 뒤 뚜껑 을 열고 필름을 넣어 사진을 촬영했지만 지금의 디지털사진기(이하 디지털카메라)는 뒤 뚜껑 없이 카메라 안에 고정되어 있는 이미지센서(Digital Image Sensor)에 촬영대상을 기록하고 그 기록된 이미지를 메모리카드(Memory Cards, 디지털카메라에 따로 넣어 이미지를 저장하는 매체)에 기록한다.
필름카메라로 촬영을 마친 필름은 촬영된 이미지의 원본이므로 조심스럽게 암실(暗室, Darkroom, 빛을 차단한 곳)로 가져가서 현상(現像, Development)과 인화(印畵, Printing)의 과정을 거쳐야만 비로소 사진이 완성된다. 하지만 디지털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는 물질적 형태가 없이 메모리카드 안에 저장되므로 현장에서 디지털카메라를 프린터와 직접 연결하여 사진으로 출력하거나 메모리카드의 파일을 컴퓨터에 옮겨 포토샵과 같은 이미지 보정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후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이렇듯이 디지털카메라는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이미지센서를 사용하여 렌즈를 통해 형성된 영상(映像, Images)이 카메라 안의 메모리카드에 기록,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 기록 장치이다.
필름카메라와 디지털카메라는 그 근본 작동원리가 거의 같다. 그러나 기록된 이미지의 결과는 많이 다르다.
필름은 물질적 형태로 그 결과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필름에 이미지가 담겨진 순간, 그 이미지의 형태는 이미 고정된다. 그래서 그 이미지에 여러 가지 변화를 주기엔 무리가 있어 색상이나 형태의 변형, 수정, 합성 등의 재작업을 하기에는 많은 제약과 한계가 따른다.
반면에 디지털파일은 고정된 형태의 이미지가 아닌 컴퓨터의 파일로서 기록, 저장되기 때문에 물질적 형태가 없어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보정작업을 통해 수정, 합성 등의 변화폭이 매우 넓다. 특히 디지털카메라에서 설정하는 파일형식(File Formats) 중 RAW(로) 파일로 촬영한 경우에는 이미지 보정의 폭이 더욱 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