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고등-자습서 > 국어
· ISBN : 978899740807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1-12-10
책 소개
목차
Ⅰ. 문학
[ 01. 문학 ] 운문 / 산문 / 서정 / 서사 / 극 / 교술 / 숭고미 / 우아미 / 비장미 / 골계미 / 카타르시스 / 심미적 반응 / 외재적 접근 방법 / 표현론 / 효용론 / 반영론 / 내재적 접근 방법
[ 02. 표현법 1 ] 원관념 / 보조 관념 / 직유법 / 은유법 / 중의법 / 대유법 / 풍유법 / 활유법 / 의인법 / 의성법 / 의태법 / 반복법 / 열거법 / 과장법 / 점층법 / 점강법 / 비교법 / 대조법 / 억양법 / 연쇄법 / 영탄법 / 현재법 / 미화법 / 도치법 / 설의법 / 인용법 / 대구법 / 생략법 / 문답법 / 돈호법 / 반어법 / 역설법
[03. 표현법 2 ] 상징 / 관습적 상징 / 개인적 상징 / 원형적 상징 / 우의 / 희화화 / 풍자 / 해학 / 언어유희 / 불가능한 상황 설정 / 주객전도 / 패러디 / 감정 이입 / 주술 / 관습적 표현
[ 04. 시 ] 운율 / 형상화 / 심상 / 서정시 / 서사시 / 극시 / 정형시 / 자유시 / 산문시 / 주정시 / 주지시 / 주의시 / 순수시 / 목적시
[ 05. 시어 ] 시구 / 행 / 시행 / 연 / 함축성 / 내포적 의미 / 주관성 / 다의성 / 애매성 / 시적 허용 / 사이비 진술
[ 06. 운율 ] 외형률 / 음수율 / 음보율 / 음위율 / 음성율 / 내재율 / 동일한 음운의 반복 / 일정한 글자 수와 음보의 반복 / 통사 구조의 반복 / 음성 상징어의 사용
[ 07. 심상(이미지)] 시각적 심상 / 청각적 심상 / 후각적 심상 / 미각적 심상 / 촉각적 심상 / 공감각적 심상 / 역동적 심상 / 원형적 심상 / 상승?하강의 이미지 / 소멸의 이미지 / 계절적 이미지
[ 08. 소재 ] 투영≒투사 / 의탁 / 형상화 / 대상 / 자연?자연물 / 향유의 대상 / 친화?합일의 대상 / 깨달음을 주는 대상 / 인간과 대비되는 대상 / 객관적 상관물 / 감정 이입 / 정서의 표상?매개물 / 회상?연상의 고리 / 성찰?각성의 계기 / 방해자 / 장애물 / 부정적 존재 / 지향점?추구하는 대상 / 대비되는 존재
[ 09. 시적 화자 ] 시의 소통 구조 / 시적 현실/시적 상황 / 시적 화자의 정서 / 정서를 심화 / 정서를 고조 / 정서를 환기 / 시적 화자의 태도 / 관조?성찰 / 회의?비판?냉소 / 비관?절망?체념 / 자조?한탄?회한 / 참여?대결 / 낙관?희망 / 동경?예찬 / 귀의?친화?합일 / 어조 / 남성적?여성적 어조 / 의지적?단호한?단정적 어조 / 예찬적?기원적?경건한 어조 / 성찰적?관조적?사색적?명상적 어조 / 냉소적?비판적 어조 / 풍자적?해학적 어조 / 애상적 어조 / 예스러운 어조 / 격정적 어조 / 담담한 어조 / 친근한 어조 / 직설적?우회적 어조 / 고백적?독백적 어조 / 대화체, 회화조 / 설의적?영탄적 어조
[ 10. 시상 전개 ] 시상 / 시상을 유발 / 시상을 구체화?상세화 / 시상이 전환 / 시상이 집약 / 시상을 마무리 / 순행적 흐름 / 역순행적 흐름 / 공간의 이동 / 시선의 이동 / 기승전결 / 수미상관 / 선경 후정 / 연상 작용 / 점층적 기법 / 대비 / 전환
[ 11. 분위기 ] 정조 / 정서 / 정감 / 느낌 / 향토적 분위기 / 목가적 분위기 / 애상적 분위기 / 정적 분위기
[ 12. 소설 ] 장편 소설 / 단편 소설 / 중편 소설 / 장편 소설 / 대하 소설 / 고전 소설 / 권선징악 / 문어체 / 신소설 / 언문일치 / 현대 소설 / 심리 소설 / 사회 소설 / 역사 소설 / 성격 소설 / 낭만주의 소설 / 사실주의 소설 / 자연주의 소설 / 실존주의 소설 / 번안 소설 / 계몽 소설 / 농촌 소설 / 농민 소설 / 빈궁 소설 / 신경향파 소설 / 세태 소설 / 전쟁 소설 / 전후 소설 / 가족사 소설 / 서간체 소설 / 연작 소설 / 성장 소설 / 풍자 소설 / 여로형 소설
[ 13. 소설의 구성 ] 스토리 / 플롯 / 암시 / 복선 / 단일 구성〔단순 구성〕/ 복합 구성 / 극적 구성 / 삽화적 구성 / 평면적 구성 / 입체적 구성 / 피카레스크 구성 / 옴니버스 구성 / 액자형 구성 / 내부 이야기 / 외부 이야기 /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 / 결말 / 닫힌 결말 / 열린 결말 / 해피 엔딩(행복한 결말)
[ 14. 인물 ] 주동 인물 / 반동 인물 / 주요 인물 / 부차적 인물 / 평면적 인물 / 입체적 인물 / 전형적 인물 / 개성적 인물 / 직접적 제시 / 간접적 제시
[ 15. 갈등과 사건 ] 내적 갈등 / 외적 갈등 / 개인과 개인 사이의 갈등 / 개인과 사회(세계) 사이의 갈등 / 개인과 운명 사이의 갈등 / 사건 / 장면 / 장면의 전환 / 장면의 삽입 / 시간적 배경 / 공간적 배경 / 자연적 배경 / 인위적 배경
[ 16. 문체 ] 서술 / 자유 연상 / 의식의 흐름 / 자동 기술법 / 묘사 / 대화 / 내적 독백 / 음운, 단어, 문장의 구성 / 어휘의 특성 / 비유적 표현의 성격과 양 / 리듬 / 어조 / 율문체 / 문어체 / 역어체 / 상투적인 한문구 / 산문체 / 구어체
[ 17. 서술자 ]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 믿을 수 없는 화자(신빙성 없는 화자) / 전지적 작가 시점 / 서술자(작가)의 개입 / 작가 관찰자 시점 / 거리 / 시점에 따른 거리
[ 18. 희곡/시나리오 ] 해설 / 지시문 / 무대 지시문 / 동작 지시문 / 대사 / 대화 / 독백 / 방백 / 막 / 장 / 희극 / 비극 / 희비극 / 단막극 / 장막극 / 창작 희곡 / 각색 희곡 / 레제드라마 / 시나리오 용어
[ 19. 운문 문학사 ] 고대 가요 / 원시종합예술 / 향가 / 고려 가요 = 고려 속요 / 남녀상열지사 / 달거리(월령체) / 경기체가 / 악장 / 언해 / 시조 / 회고가 / 절의가 / 강호가도 / 강호 한정가 / 평시조 / 엇시조 / 사설시조 / 연시조 / 가사 / 충신연주지사 / 내방가사 / 기행 가사 / 유배 가사 / 개화 가사 / 민요 / 잡가 / 창가 / 신체시 / 현대시의 흐름 / 시문학파 / 모더니즘 계열 / 생명파 / 전원파 / 청록파 / 참여시 / 민중시
[ 20. 산문 문학사 ] 설화 / 신화 / 전설 / 민담 / 가전체 / 패관 문학 / 고전 소설 / 전기 소설 / 영웅 소설 / 몽자류 소설 / 몽유록계 소설 / 적강 소설 / 군담 소설 / 염정 소설 / 명혼 소설 / 가정 소설 / 판소리계 소설 / 고전 수필 / 내간체 / 판소리 / 민속극 / 현대 소설의 흐름
Ⅱ. 비문학
[ 01. 서술 ] 설명 / 논증 / 묘사 / 서사 / 지정 / 정의 / 분류 / 구분 / 분석 / 비교/대조 / 예시 / 유추 / 묘사 / 서사 / 과정 / 인과
[ 02. 논증과 추론 ] 명제 / 사실 명제 / 가치 명제 / 정책 명제 / 논거 / 사실 논거 / 소견 논거 / 추론 / 연역 추론 / 전제 / 대전제 / 소전제 / 결론 / 귀납 추론 / 변증법 / 오류
[ 03. 문장 ] 일반적 진술 / 구체적 진술 / 순접 / 역접 / 대등?병렬 / 전환 / 첨가?보충 / 선택 / 인과 / 예시 / 환언 / 요약
[ 04. 문단 ] 형식 문단 / 내용 문단 / 중심 문장 / 소주제문 / 뒷받침 문장 / 통일성 / 완결성 / 일관성 / 두괄식 / 미괄식 / 양괄식 / 주지 문단 / 보조 문단 / 도입 문단 / 전제 문단 / 전개 문단 / 요약 문단 / 상술 문단 / 예시 문단 / 첨가?부연 문단 / 연결 문단 / 강조 문단
[ 05. 글 ① - 내용 ] 정보 / 소재 / 제재 / 화제 / 중심 화제 / 논제 / 문제 / 과제 / 논점 / 쟁점 / 핵심어 / 주제 / 주제문 / 요지 / 논지 / 제목 / 표제/부제 / 관점 / 견해 / 절충 / 입장 / 의도 / 통념 / 주장 / 근거 / 증거 / 의거 / 비판 / 신뢰성 / 타당성 / 평가 / 반박 / 반론 / 논박 / 반증 / 사례
[ 06. 글 ② - 구성 ] 시간적 구성 / 공간적 구성 / 물리적 구성 / 단계적 구성 / 2단 구성 / 3단 구성 / 4단 구성 / 5단 구성 / 포괄식 구성 / 두괄식 구성 / 미괄식 구성 / 양괄식 구성 / 열거식 구성 / 점층식 구성 / 글쓰기 전략 / 논지 전개 방식 / 추론식 전개 방식 / 문제 해결식 전개 방식 / 관점이나 견해를 다루는 글의 전개 방식 / 비판하는 글의 전개 방식
[ 07. 여러 가지 글 ] 논설문 / 설명문 / 기행문 / 여정 / 견문 / 감상 / 전기문 / 전기 / 자서전 / 회고록 / 평전 / 열전 / 일기문 / 서간문 / 기사문 / 표제 / 전문 / 본문 / 광고문 / 표어 / 건의문 / 소개서 / 안내문 / 초청장 / 속독 / 정독 / 통독 / 다독 / 낭독?음독 / 묵독 / 발췌독 / 강독 / 분석적 읽기 / 해석적 읽기 / 비판적 읽기 / 감상적 읽기 / 집중형 읽기 / 분산형 읽기 / 검색형 읽기 / SQ3R
Ⅲ. 문법
[ 01. 언어와 국어 ] 음성 언어 / 문자 언어 / 그림 문자 / 표의 문자 / 표음 문자 / 음절 문자 / 음소 문자 / 자질 문자 / 기호성 / 자의성 / 사회성 / 역사성 / 개방성 / 분절성 / 추상성 / 체계성 / 정보 전달 및 보존의 기능 / 표현적 기능 / 표출적 기능 / 감화적 기능 / 친교적 기능 / 미적 기능 / 관어적 기능
/ 국어의 음운상 특징 / 국어의 어휘상 특징 / 국어의 구문상 특징
[ 02. 음운 ] 음성 / 발성 / 발음 / 음운 / 음소 / 운소 / 음절 / 음절 / 초성 / 중성 / 종성 / 모음 / 단모음 / 이중모음 / 자음 / 음운 현상 / 음절의 끝소리 규칙 / 두음 법칙 / 자음 동화 / 비음화 / 유음화 / 구개음화 / 된소리되기 / 사잇소리 현상 / 사이시옷 / 모음 조화 / 양성 모음 / 음성 모음 / 원순모음화 / ‘ㅣ’ 모음동화 / 음운의 축약 / 음운의 탈락
[ 03. 형태소와 단어 ] 형태소 / 자립 형태소 / 의존 형태소 /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 단어 / 단일어 / 복합어 / 파생어 / 어근 / 접사 /접두사 / 접미사 / 합성어 / 통사적 합성어 / 비통사적 합성어
[ 04. 품사 ] 체언 / 명사 / 보통 명사 / 고유 명사 / 자립 명사 / 의존 명사 / 대명사 / 인칭 대명사 / 지시 대명사 / 수사 / 양수사 / 서수사 / 용언 / 어간 / 어미 / 본용언 / 보조 용언 / 활용 / 규칙 활용 / 불규칙 활용 / 어말 어미 / 종결 어미 / 연결 어미 / 전성 어미 / 선어말 어미 / 높임 선어말 어미 / 시제 선어말 어미 / 공손 선어말 어미 / 동사 / 불완전 동사 / 형용사 / 수식언 / 관형사 / 성상 관형사 / 지시 관형사 / 수 관형사 / 부사 / 성분 부사 / 문장 부사 / 관계언 / 조사 / 격조사 / 접속 조사 / 보조사 / 독립언 / 감탄사
[ 05. 의미 ] 어휘의 의미 / 중심 의미 / 주변 의미 / 사전적 의미 / 문맥적 의미 / 지시적 의미 / 함축적 의미 / 어휘의 의미 관계 / 동의 관계 / 유의 관계 / 반의 관계 / 상하 관계 / 대소 관계 / 동음이의 관계 / 다의 관계 / 의미의 확장 / 의미의 축소 / 의미의 이동 / 고유어 / 한자어 / 외래어 / 외국어 / 표준어 / 방언 / 비속어 / 은어 / 유행어 / 전문어 / 금기어 / 완곡어 / 관용어
[ 06. 문장 성분 ] 어절 / 구 / 절 / 문장 / 주어 / 서술어 / 서술어의 자릿수 / 목적어 / 보어 / 관형어 / 부사어 / 독립어
[ 07. 문장의 짜임 ] 홑문장 / 겹문장 / 이어진문장 / 대등하게 이어진문장 /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 / 안은문장 / 안긴문장 / 명사절로 안긴문장 / 서술절로 안긴문장 / 관형절로 안긴문장 / 부사절로 안긴문장 / 인용절로 안긴문장
[ 08. 문장 표현 ] 평서문 / 의문문 / 명령문 / 청유문 / 감탄문 / 주체 높임법 / 간접 높임법 / 압존법 / 객체 높임법 / 상대 높임법 / 격식체 / 비격식체 / 공손법 / 높임말/낮춤말 / 시제 / 발화시 / 사건시 / 현재 시제 / 과거 시제 / 회상 시제 / 미래 시제 / 동작상 / 진행상 / 완료상 / 사동문 / 피동문 / ‘안’ 부정문 / ‘못’ 부정문 / 명령문과 청유문의 부정 / 중의적 표현
[ 09. 국어사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이어 적기 = 연철 / 끊어 적기 = 분철 / 거듭 적기 = 중철 / 이어 쓰기 = 연서 / 나란히 쓰기 = 병서 / 합용 병서 / 각자 병서 / 붙여 쓰기 = 부서 / 성조 / 방점 / 근대 국어
Ⅳ. 쓰기/말하기
[ 01. 쓰기 ] 연상 = 자유 연상 / 발상 / 착상 / 착안 / 착안점 / 일반화 / 추상화 / 구체화 / 상세화 / 구상 / 개요 / 내용 조직 방법 / 고쳐쓰기 / 통일성 / 완결성 / 일관성 / 삭제의 원리 / 부가의 원리 / 재구성의 원리
[ 02. 말하기 ] 대화 / 대담 / 좌담 / 의논 / 강의 / 강연 / 연설 / 발표 / 프레젠테이션 / 토의 / 원탁 토의 / 패널 토의 / 심포지엄 / 포럼 / 토론 / 회의 / 컨벤션 / 컨퍼런스 / 공청회 / 청문회 / 인터뷰 / 협상 / 세미나 / 브레인스토밍 / 말하기 방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