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국어 > 기출/문제집/모의고사
· ISBN : 9788997461677
· 쪽수 : 1056쪽
· 출판일 : 2013-10-20
책 소개
목차
제1권 문법 / 어휘
PART Ⅰ 문법
1. 현대 국어 문법
제1장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
1 음운과 음운 체계
2 음운 변동
제2장 단어의 구조와 품사
1 단어의 구조
2 품사
제3장 문장과 문법 범주
1 문장 성분과 문장의 종류
2 문법 범주
제4장 어휘와 의미
1 어휘
2 의미
2. 어문 규정
제1장 한글 맞춤법
1) 총칙
2) 자모
3) 소리에 관한 것
4) 형태에 관한 것
5) 띄어쓰기
6) 그 밖의 것
7) 문장 부호
제2장 표준어와 표준 발음
1 표준어 사정 원칙
1) 총칙
2)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3)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4) 2011년 8월 새로 추가된 표준어
2 표준 발음법
1) 총칙
2) 자음과 모음
3) 음의 길이
4) 받침의 발음
5) 음의 동화
6) 경음화
7) 음의 첨가
제3장 외래어 표기법
1) 표기의 원칙
2) 표기 일람표
3) 표기 세칙
4)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제4장 로마자 표기법
1) 표기의 기본 원칙
2) 표기 일람
3) 표기상의 유의점
3. 국어의 이해와 순화
제1장 언어의 특성과 기능
1 언어와 인간
2 언어의 특성
제2장 국어의 특질과 국어의 문자
1 국어의 특질
2 국어의 문자
3 한글의 제자 원리와 문자 운용법
제3장 높임법과 언어 예절
1 높임법
2 지칭어와 호칭어
제4장 우리말 다듬기
1 고운 우리말로 다듬기
2 쉬운 우리말로 다듬기
4. 문장 다듬기
제1장 조사와 어미의 올바른 사용
1 격조사의 올바른 사용
2 보조사의 올바른 사용
3 어미의 올바른 사용
4 접속 어미와 내포 어미의 올바른 사용
제2장 어법에 맞고 논리적인 문장
1 어법에 맞는 문장
2 간결한 문장
3 논리적인 문장
제3장 분명하고 우리말다운 문장
1 중의성을 지닌 문장
2 우리말다운 문장
3 법조문의 번역 투 문장
제4장 문장 구성이 적절한 문장
1 절 구성의 적절성
2 문장 성분 갖추기
3 문장 성분 간의 호응
4 문장 다듬기 연습
PART Ⅱ 어휘
1. 고유어와 속담
제1장 고유어의 올바른 사용
제2장 고유어 어휘
1 어원으로 익히는 고유어
2 문학 작품 속의 고유어
제3장 주제별 어휘
1 단위 관련 어휘
2 시간 관련 어휘
3 나이 관련 어휘
4 민속 관련 어휘
5 인물 관련 어휘
6 기후 관련 어휘
7 지리 관련 어휘
8 동물 관련 어휘
9 자연 관련 어휘
제4장 필수 속담
2. 한자어와 한자성어
제1장 한자의 구성 원리와 독음
제2장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운 한자
제3장 혼동하기 쉬운 한자어
1 긍정적 어감과 부정적 어감의 혼동
2 동음어로 인한 혼동
3 말소리의 유사성으로 인한 혼동
4 족보를 혼동한 한자어
5 쓰임새를 잘못 파악하여 혼동하는 한자어
6 논리성을 상실한 한자어
7 맥락에 어울리는 한자어
8 의미 변별에 유의해야 할 한자어
제4장 한자성어
제2권 문학 / 비문학
PART Ⅰ 문학
1. 문학 일반
제1장 문학의 이해
1 문학의 정의와 기원
2 문학의 기능과 미의식
3 문학의 갈래
제2장 문학의 감상과 문예사조
1 문학의 감상 방법
2 수사법
3 문예사조
2. 갈래별 이해와 감상
제1장 시 문학의 이해
1 시의 갈래
2 시의 운율
3 시어의 의미와 특징
4 시어의 이미지
5 시의 어조와 정서
6 시적 화자의 태도
7 시상의 전개
빈출 작품 감상과 실전 적용
제2장 소설 문학의 이해
1 소설의 개념과 요소
2 소설의 구성
3 소설의 인물
4 소설의 갈등
5 소설의 서술과 시점
6 소설의 문체
빈출 작품 감상과 실전 적용
제3장 극 문학의 이해
1 희곡의 특성
2 희곡의 요소
3 희곡의 갈래
4 시나리오
5 현대 문학사의 대표적인 극작가
6 현대 문학사의 주요 연극 단체
빈출 작품 감상과 실전 적용
제4장 수필 문학의 이해
1 수필의 특질
2 수필의 갈래
빈출 작품 감상과 실전 적용
PART Ⅱ 독해
1. 문제 유형별 독해
제1장 사실적 이해 중심의 독해
유형 1 내용의 일치·불일치 문제
유형 2 개념적으로 정리하며 정보 파악하기
제2장 중심 내용의 파악
유형 3 제목 붙이기
유형 4 주제 파악하기
제3장 서술 방법과 글의 특성 이해
유형 5 서술 방법의 이해
유형 6 글의 특성 파악하기
제4장 추론적 독해
유형 7 자료 해석의 적절성 판단하기
유형 8 전제 또는 결론 추론하기
제5장 구조 독해
유형 9 미시적 구조 독해
유형 10 거시적 구조 독해
제6장 개념의 파악과 적용
유형 11 문맥적 의미의 파악과 적용
유형 12 개념과 원리의 파악과 적용
2. 교과서 지문 독해
01 기미 독립 선언서 민족 대표 33인
02 민족 문화의 전통과 계승 이기백
03 유재론 - 허균
04 나의 소원 김구
05 건축과 동양 정신 김수근
06 현대 과학은 환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윤순창
07 민주주의 한국의 청사진 김태길
08 학문의 목적 박종홍
09 독서와 인생 이희승
10 역사란 무엇인가 ? E. H. 카
11 척화론 윤집
12 기예론 정약용
PART Ⅲ 쓰기와 논리
1. 쓰기와 말하기
제1장 구상과 자료의 활용
제2장 개요의 작성과 수정
제3장 글의 조직과 구성
제4장 표현하기
제5장 말하기(토의와 토론)
2. 글의 진술 방식과 논리
제1장 글의 진술 방식
1 설명
2 기술
제2장 추론과 논리적 오류
1 추론
2 논리적 오류
PART Ⅳ 중세 국어 문법과 한문
1. 중세 국어 문법
제1장 국어의 계통과 국어사 시대 구분
1 국어의 계통
2 국어의 형성
3 국어사의 시대 구분
제2장 중세 국어 문법
1 음운과 정서법
2 단어
2. 한자어와 한문
제1장 한자어의 독음과 의미
제2장 한문 문법
1 한문의 문형
2 한문 품사의 이해
제3장 한문 고전과 한문 격언
1 논어
2 맹자
3 대학
4 중용
5 고문진보
6 초사
7 한문 속담과 격언
빈출 작품 감상과 실전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