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07466
· 쪽수 : 104쪽
· 출판일 : 2018-01-15
책 소개
목차
01 애니메이션 미장센과 미학
02 애니메이션 이미지와 디자인
03 캐릭터와 배경
04 색채와 선의 매력
05 이미지와 사운드
06 애니메이션 운동 이미지와 움직임의 창조
07 창조적 상상력, 대상물 속성에 의한 극적 장면 연출
08 타이밍 연출
09 특수효과와 편집
10 뉴미디어 출현에 따른 애니메이션 연출 방식 다양화
저자소개
책속에서
루이스 자네티(Louis Gianetti)는 체계적 미장센 분석을 위한 요소로 프레임(frame), 구도와 디자인(composition and design), 지배 공간(territorial space), 접근 양식(proxemic patterns), 열린 양식과 닫힌 형식(open and closed forms)으로 큰 범주로 잡고 15가지의 세부적인 요소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했다. 이런 미장센 분석은 실사영화의 미장센 이론으로 정립되면서 최근 디지털 기술 발달에 실사영화, 애니메이션, 디지털 영화 등 각기 다른 특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애니메이션 미장센과 미학’ 중에서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배경 디자인은 움직임과 TV 시청 경험의 중심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대략 구분된다. 캐릭터가 화면에서 움직인다고 해서 시청자의 주목을 끄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배경은 정적이고, 캐릭터의 행동을 뒷받침하는 분위기 연출의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학적 측면에서는 캐릭터와 배경 디자인은 똑같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관객들은 캐릭터는 가장 잘 기억하지만 배경 그림에 대해서는 비중을 적게 두는 경향이 있다.
‘캐릭터와 배경’ 중에서
애니메이션에서 성격 표현은 가장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그것을 실현하는 데는 회화 기법, 연출법, 타이밍 등을 교묘하게 구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성격은 선, 크기 그리고 자세(line, size and pose)로 표현할 수 있다. 선의 모든 요소, 즉 두꺼움, 정밀함, 긴장감 그리고 선과의 관계성들은 그리는 과정에서 실험되고, 증명되고 또한 조정되어야 한다. 상냥한 기분일 때에는 부드러운 곡선으로, 공격적인 기분일 때에는 투박하고 긴장감을 느끼게 하는 선, 즉 유기적 관계에 의한 변화 있는 표현이 요구된다.
‘색채와 선의 매력’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