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만화의 역사

중국 만화의 역사

석향란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360원
14,1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840원 -10% 390원 6,660원 >

책 이미지

중국 만화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만화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28807572
· 쪽수 : 138쪽
· 출판일 : 2018-01-15

책 소개

만화웹툰이론총서. 고대의 청동기 도안들로부터 근대의 풍자만화와 연환화, 개혁개방 이후 해외 만화의 영향을 받은 '신만화', 인터넷 환경에서 탄생한 올 컬러의 '중국식 만화', 모바일의 다양한 디지털 만화 등을 망라한 중국 만화의 변천사를 살펴본다.

목차

01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의 만화
02 신중국, 문화대혁명 그리고 만화
03 개혁개방과 함께 꽃피운 중국 만화
04 창작 만화 발전 이끈 ‘5155공정’
05 중국 만화의 시장화와 세계화
06 ‘중국식 만화’의 정립과 산업화
07 디지털 동만의 등장과 발달
08 홍콩, 마카오, 타이완 만화
09 중국 동만의 국가 정책과 산업구조
10 중국 ‘2차원문화’와 만화 콘텐츠

저자소개

석향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중국 연변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미술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한국 세종대학교에서 애니메이션 전공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대학교와 한국체육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애니메이션학회 국제이사직을 맡고 있고, 이론 연구와 작가 활동을 겸하고 있다. 만화 활동으로는 초등학교 때 주간신문에 네컷만화 2년간 연재, 15세 때 단행본 만화책 <댄스부의 다섯 천사(舞蹈部五天使)>(2002)를 출간했으며, 2016년에는 <똑똑한 한국사>를 출간했다. 순수 예술 활동으로는 2008년 ‘제22기 국제 예술문화교류협회 국제서화예술 전’에서 서예 대상, 2012년 ‘말레이시아 페낭국제판화대전’ 에서 동판화작품상을 수상했다. ‘여수국제아트페스티벌’(2016), ‘NICAF 2015대한민국남부국제현대미술제’(2015), 2013년 ‘수목원가는길2013예술전’(2013) 등에 해외 초대작가로서 참여했다. 연구 논문으로는 “중국2차원문화의 시장 확대 현상 연구”(2016), “전통회화이론 화론 육법을 적용한 캐릭터설계”(2015), “현대미술에서 만화애니메이션을 통한 자아표현”(2015), “‘寻觅’系列绘画创作研究”(2012), “浅谈‘美’的应用”(2009)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 만화의 원형이었던 고대의 ‘만화’가 은유적이고 함축성이 강했다면, 근대의 만화는 그 표현이 직설적이고 통속적이어서 알아보기 쉬웠다. 1884년 5월, 중국 최초의 그림 신문인 ≪점석재화보(点石斋画报)≫가 열흘에 한 번씩 발행되는 순간(旬刊)으로 창간되었다. ≪심보≫를 사면 부록으로 제공하던 ≪점석재화보≫는 순식간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이후 상하이, 톈진, 광저우를 중심으로 한 중국 전역에서 비슷한 만화 연재 신문들이 창간되었다. 1898년 7월, 홍콩의 ≪보인문사사간(辅仁文社社刊)≫에 기재된 <시국도(时局图)>는 현대 만화 형식을 갖춘 중국 최초의 만화 작품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의 만화’ 중에서


문화대혁명은 심각한 문화적 퇴보를 초래한 기나긴 대혼란의 시기였다. 이 시기의 만화 작품들은 당시의 사상을 대변하는 메가폰과 같은 역할을 했다. 이 때문에 그 형태가 단조롭고 내용이 획일화되었다. 이 시기의 만화는 ‘모범극(样板戏)’이 주된 내용을 이루고 있다. ‘모범극’이란 문화대혁명 기간에 수립된 ‘혁명 모범극’으로서, 희극(戏剧)을 중심으로 한 20여 가지 무대예술의 속칭이다. 대표 모범극으로는 경극인 <지취위호산(智取威虎山)>(1958), <홍등기(红灯记)>(1964), <사가병(沙家浜)>(1963), <두견산(杜鹃山)>(1974)과 발레극인 <홍색낭자군(红色娘子军)>(1971), <백모녀(白毛女)(1965)> 등이 있다.
‘신중국, 문화대혁명 그리고 만화’ 중에서


초창기의 인터넷 만화는 대부분 대형 포털 사이트의 뉴스 만화였는데, 당시의 네티즌은 수동적인 단순 수용자에 불과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화신망(火神网)’, ‘중국신문만화망(中国新闻漫画网)’, ‘남방동만망(南方动漫网)’ 등 영향력 있는 만화 전문 포털 사이트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 사이트들은 ‘사용자 생성 콘텐츠(用户生产内容, UGC, User Generated Contents)’ 형식을 도입해, 누구나 작품을 올리거나 의견을 게재할 수 있는 전문 코너를 만들었다. 네티즌들은 더 이상 수동적 관객이 아닌 생산자가 되어 자신의 만화 작품을 사람들과 공유했고, 다른 네티즌들은 댓글 형식으로 커뮤니케이션하거나 다른 곳으로 전파시키기도 했다. 우수한 만화 작품들은 네티즌 사이에서 신속하게 퍼져나갔다.
‘디지털 동만의 등장과 발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07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