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28895920
· 쪽수 : 118쪽
· 출판일 : 2024-09-19
책 소개
목차
인간과 도구(비인간)의 공진화
01 언어의 형태와 지식-학습의 개념사
02 다른 지능으로서의 인공지능
03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행위자네트워크이론
04 체화인지이론과 인간지능
05 인공지능 시대 학습의 개념
06 인공지능 시대 지식의 개념
07 생성되는 모든 것이 지식일 수 없는 이유
08 의미 있는 지식의 조건으로서의 협업 규범
09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넘어
10 여전히 남겨지는 질문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렇게 고도의 훈련과 학습 없이도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이 가능한 구술성이 구현되고, 지식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며, 웹 및 디지털 기기 자체가 지능화되는 상황에서 지식은 이전 시대의 분산적 특징을 넘어 편재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분산된 지식’이 총체적 지식의 일부가 다양한 공간(저장소)에 흩어진 상태를 뜻한다면 ‘편재하는 지식’은 모든 시공간에 완결적 형태로 지식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특정한 지식의 구성을 위해 웹을 통해 여기저기 흩어진 정보를 모으고 분석하고 구조화하는 작업이 요구되었다면 현재는 인공지능이 그러한 과정 전체를 대신하면서 인간 사용자(학습자) 앞에 상당히 그럴듯한 수준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도하고 있다.
-01_“언어의 형태와 지식-학습의 개념사” 중에서
인간지능은 물리적 세계와 연결된 신체를 통해 축적한 경험과 이를 토대로 한 지식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묶인 지식이자 책임을 내포한 지식이라는 특징이 있고, 인공지능은 몸이 주는 한계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환각이라는 한계와 인간이 경험하지 못한 기묘한 상상력의 가능성이라는 양면성을 가진 지식이라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04_“체화인지이론과 인간지능” 중에서
인공지능을 행위자로 포함하면 인간?인공지능 상호작용 과정에서 자신의 신경망을 변화시키면서 산출물의 내용과 형태에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 인공지능의 행위 능력, 즉 행위자로서의 특징이 더 선명해지고 그런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 지식의 하이브리드적 성격도 더 분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06_“인공지능 시대 지식의 개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