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설계
· ISBN : 9791130301051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14-06-30
목차
서론: 안전한 어린이공원
CHAPTER 1 셉테드(CPTED) 이론
1. 건축 및 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2.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3. 도시공원의 CPTED 관련 법률
4. 셉테드(CPTED)의 원리
(1) 자연적 감시(Natural Surveillance)
(2) 자연적 접근통제(Natural Access Control)
(3) 영역성 강화(Territorial Reinforcement)
(4) 명료성 강화(Legibility)
(5) 활동의 활성화(Activity Support)
(6) 유지관리(Maintenance)
CHAPTER 2 어린이공원이란?
1. 어린이공원의 개념 및 의의
2. 어린이공원의 관련 법률
3. 어린이공원의 법적 기준
4. 어린이공원의 성격
5. 어린이공원의 설계 목표
(1) 접근성
(2) 쾌적성
(3) 안전성
(4) 흥미성
6. 어린이공원의 설계에 대한 문제제기
(1) 설계에 앞선 문제제기
(2) 어린이공원이란 과연 무엇인가?
(3) 어린이공원에서 과연 어린이가 주인인가?
(4) 도시의 맥락과 장소의 기억 속에서 어린이공원은 어떻게 읽혀지는가?
(5) 어린이공원이라는 공간
CHAPTER 3 대상지 분석: PPT
1. 프로세스로서의 조경디자인
2. PPT분석: 대상지의 분석
3. People: 이용자 특성
(1) 사회적 분석: 설문조사법(Questionnaires)
(2) 이용자행태와 환경의 상호작용 분석(User’s Behaviour)
4. Place: 대상지의 물리적·생태적 그리고 역사적 특성…
(1) 지질(Geology)
(2) 토양(Soil)
(3) 지형(Topography)
(4) 식생(Vegetation)
(5) 야생동물(Wildlife)
(6) 기후(Climate)
(7) 대상지의 특성(Existing Features)
(8) 시각적인 질(Visual Quality)
5. Time: 시대적 특성
CHAPTER 4 조경디자인 요소: 4E
1. 지형
2. 식물재료
3. 물
4. 돌
CHAPTER 6 어린이공원의 식재
1. 수목
(1) 식물의 분류
(2) 식물의 수형
(3) 식물의 서식환경
2. 어린이공원에 적합한 수목
(1) 수종선택 시 고려사항
(2) 어린이공원 식물의 조건
(3) 어린이공원의 식재 기준
3. 식재디자인 원리
(1) 균형(Balance)
(2) 균제(Symmetry)
(3) 반복(Repetition)
(4) 통일(Unity)
(5) 대비(Contrast)
(6) 유사(Similarity)
(7) 축(Axis)
(8) 질감(Texture)
(9) 리듬(Rhythm)
(10) 점진(Gradation)
4. 식재디자인
5. 자연적 감시를 고려한 식재디자인의 예
CHAPTER 7 안전한 어린이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