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헌법
· ISBN : 9791130332628
· 쪽수 : 1620쪽
· 출판일 : 2018-09-01
책 소개
목차
1. 헌법의 기초와 원리
1. 국가법과 국가
제1 국 가 법 ………………………………………………………………………… 5
제2 국 가 ………………………………………………………………………… 7
제3 국가형태 ……………………………………………………………………… 14
2. 헌 법
제1 헌법의 개념 …………………………………………………………………… 19
제2 국가법과 헌법 ………………………………………………………………… 25
제3 관습헌법 ……………………………………………………………………… 25
제1 개 설 ……………………………………………………………………… 29
제2 최고규범 ……………………………………………………………………… 30
제3 윤곽규범 ……………………………………………………………………… 32
제4 시원규범 ……………………………………………………………………… 33
제5 정치규범 ……………………………………………………………………… 34
제1 기본권의 보장 ……………………………………………………………… 35
제2 국가의 창설 …………………………………………………………………… 35
제3 국가권력의 조직과 제한 …………………………………………………… 36
15 제4 공동체의 유지·통합 ……………………………………………………… 37
제 1 편 헌법의 기초
제 1 장 헌법의 개념과 본질
제 1 절 헌법의 개념
제 2 절 헌법의 특성
제 3 절 헌법의 기능
제5 정치적 정의와 평화의 실현 ……………………………………………… 38
제1 헌법국가에서의 헌법재판 …………………………………………………… 38
제2 헌법재판에 의한 권력통제와 헌법질서의 유지 ………………………… 39
제1 개 설 ……………………………………………………………………… 40
제2 헌법제정권력 ………………………………………………………………… 42
제3 헌법제정의 방법 ……………………………………………………………… 47
제4 헌법제정의 한계 ……………………………………………………………… 50
제1 개 설 ……………………………………………………………………… 52
제2 내 용 ……………………………………………………………………… 53
제3 기 능 ……………………………………………………………………… 55
제1 개 설 ……………………………………………………………………… 56
제2 규범력의 보장 ………………………………………………………………… 58
1. 헌법보호제도의 발달
제1 헌법보호의 의의 ……………………………………………………………… 60
제2 헌법수호자 논쟁 ……………………………………………………………… 60
2. 헌법보호의 수단
제1 개 설 ……………………………………………………………………… 62
제 4 절 헌법과 헌법재판
제 2 절 헌법의 정당성
제 2 장 헌법의 제정과 정당성
제 1 절 헌법의 제정
제 3 장 헌법의 규범력과 헌법의 보호
제 1 절 헌법의 규범력
제 2 절 헌법의 보호
제2 헌법개정권력에 의한 침해와 보호방법 …………………………………… 62
제3 국가권력에 의한 침해와 보호방법 ………………………………………… 63
제4 사회영역에서의 침해와 보호방법 ………………………………………… 64
제5 국가비상사태와 헌법의 보호 ……………………………………………… 65
제6 헌법보호의 한계 ……………………………………………………………… 68
3. 저 항 권
제1 저항권의 개념 ………………………………………………………………… 69
제2 저항권의 근거 ………………………………………………………………… 70
제3 저항권의 법적 성격 ………………………………………………………… 71
제4 저항권 행사의 요건 ………………………………………………………… 71
제5 저항권의 실효성 ……………………………………………………………… 73
제6 현행 헌법과 저항권 ………………………………………………………… 73
제1 개 념 ……………………………………………………………………… 75
제2 헌법규범과 사회현실 ………………………………………………………… 75
제1 개 념 ……………………………………………………………………… 79
제2 인정여부 ……………………………………………………………………… 80
제3 헌법변천과 헌법해석 ………………………………………………………… 81
제1 헌법해석의 의의와 특성 …………………………………………………… 82
제2 헌법해석의 주체 ……………………………………………………………… 85
제3 헌법해석의 목표 ……………………………………………………………… 86
제4 헌법해석의 방법 ……………………………………………………………… 89
제5 헌법해석의 지침 ……………………………………………………………… 90
제6 헌법해석의 한계……………………………………………………………… 93
제 2 절 헌법의 변천
제 3 절 헌법의 해석
제 4 장 헌법의 변동
제 1 절 개 관
제1 개 설 ……………………………………………………………………… 94
제2 헌법개정의 방법 ……………………………………………………………… 96
제3 헌법개정의 절차 ……………………………………………………………… 98
제4 헌법개정의 한계 …………………………………………………………… 101
제1 인적 적용범위 ……………………………………………………………… 108
제2 장소적 적용범위 …………………………………………………………… 112
제1 주권의 개념 ………………………………………………………………… 123
제2 국민주권 ……………………………………………………………………… 124
제1 헌법으로서의 권리장전 …………………………………………………… 126
제2 「헌법적 권리」의 성문화 …………………………………………………… 126
제3 기본권의 실효성 보장 ……………………………………………………… 127
제1 공동체의 존속과 안전 ……………………………………………………… 128
제2 국가의 존속과 안전 ………………………………………………………… 129
제3 공동체의 보장과 기본권의 보장 ………………………………………… 129
제 4 절 헌법의 개정
제 5 장 헌법의 적용범위
제 2 장 기본권의 보장
제 3 장 공동체의 보장
제 2 편 헌법의 기본원리
제 1 장 국민주권
제1 개 념 ……………………………………………………………………… 130
제2 내 용 ……………………………………………………………………… 130
제3 상위가치와 국가구조원리 ………………………………………………… 130
제1 개 설 ……………………………………………………………………… 131
제2 국가의사결정의 민주적 정당성 …………………………………………… 133
제3 국가의사결정의 방식 ……………………………………………………… 136
제4 정 당 ……………………………………………………………………… 142
제5 적용영역 ……………………………………………………………………… 159
제1 개 설 ……………………………………………………………………… 163
제2 내 용 ……………………………………………………………………… 166
제3 성 격 ……………………………………………………………………… 190
제1 개 념 ……………………………………………………………………… 191
제2 단일국가 ……………………………………………………………………… 191
제3 연방국가……………………………………………………………………… 191
제 4 장 국가구조원리
제 1 절 개 관
제 2 절 민주국가원리
제 3 절 법치국가원리
제 4 절 국가형태원리
제1 1948년헌법: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 대한민국의 건국 ……………… 195
제2 1952년헌법: 제 1 차 개정 ………………………………………………… 200
제3 1954년헌법: 제 2 차 개정 ………………………………………………… 201
제4 1960년6월헌법: 제 3 차 개정 ……………………………………………… 202
제5 1960년11월헌법: 제 4 차 개정 …………………………………………… 204
제6 1962년헌법: 제 5 차 개정 ………………………………………………… 205
제7 1969년헌법: 제 6 차 개정 ………………………………………………… 206
제8 1972년헌법: 제 7 차 개정 ………………………………………………… 207
제9 1980년헌법: 제 8 차 개정 ………………………………………………… 209
제10 1987년헌법: 제 9 차 개정 ………………………………………………… 213
제1 개 설 ……………………………………………………………………… 216
제2 헌법의 전문 ………………………………………………………………… 217
제3 헌법의 본문 ………………………………………………………………… 221
제1 국민주권 ……………………………………………………………………… 223
제2 입헌주의 ……………………………………………………………………… 225
제3 기본권의 보장 ……………………………………………………………… 225
제4 공동체의 보장 ……………………………………………………………… 226
제 2 장 한국 헌법의 근본이념과 기본원리
제 1 절 한국 헌법의 구조
제 2 절 한국 헌법의 근본이념
제 3 편 한국 헌법의 역사와 기본원리
제 1 장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과 개정
1. 국가구조원리
제1 민주공화국가 ………………………………………………………………… 227
제2 법치국가 ……………………………………………………………………… 229
제3 단일국가 ……………………………………………………………………… 229
2. 경제영역의 기본원리
제1 헌법과 경제질서 …………………………………………………………… 230
제2 시장경제 ……………………………………………………………………… 230
제3 경제에 관한 헌법규정 ……………………………………………………… 235
3. 사회영역의 기본원리
제1 개 설 ……………………………………………………………………… 238
제2 사회정의 ……………………………………………………………………… 239
제3 복지국가 ……………………………………………………………………… 239
제4 복지국가의 구현 …………………………………………………………… 243
4. 문화영역의 기본원리
제1 개 설 ……………………………………………………………………… 245
제2 문화공동체 …………………………………………………………………… 246
제3 문화공동체의 구현 ………………………………………………………… 248
5. 국제영역의 기본원리
제1 개 설 ……………………………………………………………………… 255
제2 평화주의 ……………………………………………………………………… 256
제3 국제법의 존중 ……………………………………………………………… 261
제4 외국인의 지위 보장………………………………………………………… 269
제 3 절 한국 헌법의 기본원리
제1 개 설 ……………………………………………………………………… 275
제2 기본권보장의 역사 ………………………………………………………… 275
제3 한국에서의 기본권의 보장 ………………………………………………… 281
제1 개 설 ……………………………………………………………………… 282
제2 기본권의 구성요소 ………………………………………………………… 282
제3 기본권의 도출과 포섭 ……………………………………………………… 296
제4 국가목표규정 ………………………………………………………………… 301
제5 제도의 보장 ………………………………………………………………… 306
제1 개 설 ……………………………………………………………………… 312
제2 대국가적 영역 ……………………………………………………………… 312
제3 대사회적 영역 ……………………………………………………………… 314
제1 기본권의 보유능력과 행사능력…………………………………………… 316
2. 헌법상의 권리와 의무
제 4 편 기본권의 일반이론
제 1 장 기본권의 발달과 개념
제 1 절 기본권의 발달과 보장
제 2 절 기본권의 개념과 본질
제 2 장 기본권의 기능
제 3 장 기본권의 주체
제 1 절 개 설
제2 「인간의 권리」로서의 기본권 ……………………………………………… 317
제3 「국민의 권리」로서의 기본권 ……………………………………………… 318
제1 국 민 ……………………………………………………………………… 318
제2 법인·단체 …………………………………………………………………… 326
제3 정 당 ……………………………………………………………………… 330
제4 외국인·외국법인 …………………………………………………………… 330
제1 개 념 ……………………………………………………………………… 335
제2 포기가능성 …………………………………………………………………… 335
제3 포기의 요건 ………………………………………………………………… 337
제4 포기의 효과 ………………………………………………………………… 338
제1 이론의 발달 ………………………………………………………………… 339
제2 효력의 범위 ………………………………………………………………… 340
제1 이론의 발달 ………………………………………………………………… 342
제2 효력의 범위 ………………………………………………………………… 351
제3 기본권간의 충돌 …………………………………………………………… 354
제1 기본권의 내용 ……………………………………………………………… 361
제2 기본권의 제한 ……………………………………………………………… 361
제3 기본권의 보호영역 ………………………………………………………… 364
제 2 절 기본권의 주체
제 3 절 기본권의 포기
제 2 절 사적영역에 대한 효력
제 4 장 기본권의 효력
제 1 절 국가영역에 대한 효력
제 5 장 기본권의 제한
제 1 절 개 관
제1 헌법의 규정 ………………………………………………………………… 365
제2 목 적 ……………………………………………………………………… 366
제3 목적에 대한 입증책임 ……………………………………………………… 369
제4 목적의 정당성 심사 ………………………………………………………… 369
제1 헌법에 의한 제한 …………………………………………………………… 370
제2 법률에 의한 제한 …………………………………………………………… 372
제3 국가긴급권에 의한 제한 …………………………………………………… 379
제4 국제법규에 의한 제한 ……………………………………………………… 381
제1 과잉제한금지원칙 …………………………………………………………… 382
제2 본질적 내용의 침해금지 …………………………………………………… 390
제3 기본권의 경합 ……………………………………………………………… 393
제1 의 의 ……………………………………………………………………… 397
제2 내 용 ……………………………………………………………………… 399
제3 한 계 ……………………………………………………………………… 400
제1 개 설 ……………………………………………………………………… 403
제2 국가기관에 의한 기본권의 침해와 보호 ………………………………… 403
제3 사인에 의한 기본권의 침해와 보호……………………………………… 405
제 2 절 기본권 제한의 목적
제 3 절 기본권 제한의 형식
제 4 절 기본권 제한의 한계
제 6 장 기본권의 보호
제 1 절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제 2 절 기본권의 침해와 기본권의 보호
제1 의 의 ……………………………………………………………………… 409
제2 법적 성격 …………………………………………………………………… 412
제3 주 체 ……………………………………………………………………… 414
제4 내 용 ……………………………………………………………………… 416
제5 효 력 ……………………………………………………………………… 431
제6 제한과 그 한계 ……………………………………………………………… 432
제1 의 의 ……………………………………………………………………… 432
제2 법적 성격 …………………………………………………………………… 434
제3 내 용 ……………………………………………………………………… 437
제4 효 력 ……………………………………………………………………… 439
제1 의 의 ……………………………………………………………………… 440
제2 법적 성격 …………………………………………………………………… 441
제3 주 체 ……………………………………………………………………… 442
제4 내 용 ……………………………………………………………………… 444
제5 효 력 ……………………………………………………………………… 464
제6 제한과 그 한계 ……………………………………………………………… 469
제7 침해와 구제 ………………………………………………………………… 480
제 5 편 헌법상의 기본권과 의무
제 1 장 인간의 존엄과 가치
제 1 절 인간의 존엄과 가치
제 2 절 행복의 추구
제 2 장 평등의 보호
1. 생 명 권
제1 의 의 ……………………………………………………………………… 483
제2 법적 성격 …………………………………………………………………… 484
제3 주 체 ……………………………………………………………………… 485
제4 내 용 ……………………………………………………………………… 486
제5 효 력 ……………………………………………………………………… 486
제6 제한과 그 한계 ……………………………………………………………… 487
2. 인신을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
제1 의 의 ……………………………………………………………………… 500
제2 헌법적 근거 ………………………………………………………………… 501
제3 주 체 ……………………………………………………………………… 502
제4 내 용 ……………………………………………………………………… 502
제5 효 력 ……………………………………………………………………… 503
제6 제한과 그 한계 ……………………………………………………………… 504
3. 신체의 자유
제1 의 의 ……………………………………………………………………… 504
제2 주 체 ……………………………………………………………………… 505
제3 내 용 ……………………………………………………………………… 505
제4 효 력 ……………………………………………………………………… 506
제5 제한과 그 한계 ……………………………………………………………… 506
4. 인신보호를 위한 헌법원리
제1 법률주의 ……………………………………………………………………… 509
제2 적법절차원리 ………………………………………………………………… 510
제3 죄형법정주의 ………………………………………………………………… 514
제4 이중처벌의 금지 …………………………………………………………… 526
제5 친족의 행위로 인한 불이익처우의 금지 ………………………………… 527
제6 무죄추정의 원칙 …………………………………………………………… 529
제7 영장주의 ……………………………………………………………………… 534
제8 자백의 증거능력 및 증명력의 제한……………………………………… 541
제 3 장 자유권적 기본권
제 1 절 생명 및 인신의 자유
5. 인신보호를 위한 형사절차에 관한 기본권
제1 진술거부권 …………………………………………………………………… 542
제2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545
제3 부당한 체포·구속으로부터의 자유 ……………………………………… 552
제4 고문의 금지 ………………………………………………………………… 552
제5 정당한 재판을 받을 권리 ………………………………………………… 553
제6 형사보상청구권 ……………………………………………………………… 550
1. 양심의 자유
제1 의 의 ……………………………………………………………………… 556
제2 주 체 ……………………………………………………………………… 562
제3 내 용 ……………………………………………………………………… 562
제4 제한과 그 한계 ……………………………………………………………… 565
2. 종교의 자유
제1 의 의 ……………………………………………………………………… 575
제2 주 체 ……………………………………………………………………… 577
제3 내 용 ……………………………………………………………………… 577
제4 효 력 ……………………………………………………………………… 588
제5 제한과 그 한계 ……………………………………………………………… 589
3. 학문의 자유
제1 의 의 ……………………………………………………………………… 593
제2 법적 성격 …………………………………………………………………… 594
제3 주 체 ……………………………………………………………………… 594
제4 내 용 ……………………………………………………………………… 595
제5 효 력 ……………………………………………………………………… 602
제6 제한과 그 한계 ……………………………………………………………… 602
4. 예술의 자유
제1 의 의 ……………………………………………………………………… 604
제2 주 체 ……………………………………………………………………… 606
제3 내 용 ……………………………………………………………………… 606
제4 효 력……………………………………………………………………… 607
제 2 절 정신적 자유
제5 제한과 그 한계 ……………………………………………………………… 608
5. 언론·출판의 자유
제1 의 의 ……………………………………………………………………… 610
제2 법적 성격 …………………………………………………………………… 612
제3 주 체 ……………………………………………………………………… 613
제4 내 용 ……………………………………………………………………… 613
제5 효 력 ……………………………………………………………………… 622
제6 제한과 그 한계 ……………………………………………………………… 623
6. 집회·결사의 자유
제1 의 의 ……………………………………………………………………… 638
제2 집회의 자유 ………………………………………………………………… 638
제3 결사의 자유 ………………………………………………………………… 647
1. 주거의 자유
제1 의 의 ……………………………………………………………………… 651
제2 법적 성격 …………………………………………………………………… 652
제3 주 체 ……………………………………………………………………… 652
제4 내 용 ……………………………………………………………………… 653
제5 효 력 ……………………………………………………………………… 654
제6 제한과 그 한계 ……………………………………………………………… 655
2.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제1 의 의 ……………………………………………………………………… 656
제2 법적 성격 …………………………………………………………………… 658
제3 주 체 ……………………………………………………………………… 659
제4 내 용 ……………………………………………………………………… 659
제5 효 력 ……………………………………………………………………… 661
제6 제한과 그 한계 ……………………………………………………………… 661
3. 통신의 비밀과 자유
제1 의 의 ……………………………………………………………………… 667
제2 법적 성격 …………………………………………………………………… 671
제3 주 체……………………………………………………………………… 672
제 3 절 사생활 및 정보의 자유
제4 내 용 ……………………………………………………………………… 672
제5 제한과 그 한계 ……………………………………………………………… 673
4. 정보의 자유
제1 의 의 ……………………………………………………………………… 678
제2 법적 성격 …………………………………………………………………… 680
제3 주 체 ……………………………………………………………………… 682
제4 내 용 ……………………………………………………………………… 682
제5 효 력 ……………………………………………………………………… 687
제6 제한과 그 한계 ……………………………………………………………… 688
1. 거주·이전의 자유
제1 의 의 ……………………………………………………………………… 692
제2 주 체 ……………………………………………………………………… 693
제3 내 용 ……………………………………………………………………… 694
제4 효 력 ……………………………………………………………………… 696
제5 제한과 그 한계 ……………………………………………………………… 696
2. 직업의 자유
제1 의 의 ……………………………………………………………………… 698
제2 주 체 ……………………………………………………………………… 700
제3 내 용 ……………………………………………………………………… 701
제4 효 력 ……………………………………………………………………… 704
제5 제한과 그 한계 ……………………………………………………………… 705
3. 재 산 권
제1 의 의 ……………………………………………………………………… 714
제2 법적 성격 …………………………………………………………………… 716
제3 주 체 ……………………………………………………………………… 716
제4 내 용 ……………………………………………………………………… 717
제5 효 력 ……………………………………………………………………… 725
제6 제한과 그 한계 ……………………………………………………………… 726
4. 단결권·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
제1 의 의……………………………………………………………………… 734
제 4 절 사회·경제적 자유
제2 법적 성격 …………………………………………………………………… 737
제3 주 체 ……………………………………………………………………… 739
제4 내 용 ……………………………………………………………………… 741
제5 효 력 ……………………………………………………………………… 748
제6 제한과 그 한계 ……………………………………………………………… 749
제7 침해와 구제 ………………………………………………………………… 753
제1 의 의 ……………………………………………………………………… 755
제2 법적 성격 …………………………………………………………………… 756
제3 주 체 ……………………………………………………………………… 756
제4 내 용 ……………………………………………………………………… 757
제5 제한과 그 한계 ……………………………………………………………… 758
제1 의 의 ……………………………………………………………………… 766
제2 법적 성격 …………………………………………………………………… 767
제3 주 체 ……………………………………………………………………… 767
제4 내 용 ……………………………………………………………………… 767
제5 제한과 그 한계 ……………………………………………………………… 768
제1 의 의 ……………………………………………………………………… 776
제2 법적 성격 …………………………………………………………………… 777
제3 주 체 ……………………………………………………………………… 778
제4 내 용 ……………………………………………………………………… 779
제5 제한과 그 한계 ……………………………………………………………… 782
제1 의 의……………………………………………………………………… 783
제 4 장 국정참여적 기본권
제 1 절 선 거 권
제 2 절 공무담임권
제 3 절 청 원 권
제 4 절 국민투표권
제2 법적 성격 …………………………………………………………………… 783
제3 주 체 ……………………………………………………………………… 783
제4 내 용 ……………………………………………………………………… 783
제5 효 력 ……………………………………………………………………… 784
제6 제한과 그 한계 ……………………………………………………………… 784
제1 의 의 ……………………………………………………………………… 785
제2 법적 성격 …………………………………………………………………… 787
제3 주 체 ……………………………………………………………………… 789
제4 내 용 ……………………………………………………………………… 789
제5 효 력 ……………………………………………………………………… 792
제6 제한과 그 한계 ……………………………………………………………… 793
제1 의 의 ……………………………………………………………………… 794
제2 법적 성격 …………………………………………………………………… 795
제3 주 체 ……………………………………………………………………… 797
제4 내 용 ……………………………………………………………………… 799
제5 제한과 그 한계 ……………………………………………………………… 807
제6 침해와 구제 ………………………………………………………………… 808
제1 의 의 ……………………………………………………………………… 809
제2 법적 성격 …………………………………………………………………… 812
제3 주 체 ……………………………………………………………………… 813
제4 내 용 ……………………………………………………………………… 813
제5 실현방법 ……………………………………………………………………… 820
제6 제한과 그 한계……………………………………………………………… 827
제 5 장 사회권적 기본권
제 1 절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제 2 절 근로의 권리
제 3 절 교육을 받을 권리
제1 의 의 ……………………………………………………………………… 831
제2 법적 성격 …………………………………………………………………… 831
제3 주 체 ……………………………………………………………………… 832
제4 내 용 ……………………………………………………………………… 832
제5 제한과 그 한계 ……………………………………………………………… 833
제1 의 의 ……………………………………………………………………… 834
제2 법적 성격 …………………………………………………………………… 836
제3 주 체 ……………………………………………………………………… 837
제4 내 용 ……………………………………………………………………… 837
제5 제한과 그 한계 ……………………………………………………………… 860
제6 침해와 구제 ………………………………………………………………… 868
제1 의 의 ……………………………………………………………………… 870
제2 법적 성격 …………………………………………………………………… 871
제3 주 체 ……………………………………………………………………… 875
제4 내 용 ……………………………………………………………………… 878
제5 효 력 ……………………………………………………………………… 883
제6 제한과 그 한계 ……………………………………………………………… 883
제1 의 의 ……………………………………………………………………… 885
제2 법적 성격 …………………………………………………………………… 886
제3 주 체 ……………………………………………………………………… 887
제4 내 용 ……………………………………………………………………… 888
제5 제한과 그 한계……………………………………………………………… 890
제 6 장 청구권적 기본권
제 1 절 재판청구권
제 2 절 국가배상청구권
제 3 절 손실보상청구권
제 4 절 보 건 권
제1 의 의 ……………………………………………………………………… 891
제2 법적 성격 …………………………………………………………………… 892
제3 주 체 ……………………………………………………………………… 892
제4 내 용 ……………………………………………………………………… 893
제1 의 의 ……………………………………………………………………… 896
제2 법적 성격 …………………………………………………………………… 896
제3 주 체 ……………………………………………………………………… 898
제4 내 용 ……………………………………………………………………… 898
제5 제한과 그 한계 ……………………………………………………………… 899
제1 의 의 ……………………………………………………………………… 900
제2 법적 성격 …………………………………………………………………… 902
제3 주 체 ……………………………………………………………………… 903
제4 내 용 ……………………………………………………………………… 904
제5 효 력 ……………………………………………………………………… 906
제6 제한과 그 한계 ……………………………………………………………… 907
제7 침해와 구제 ………………………………………………………………… 907
제1 개 설 ……………………………………………………………………… 910
제2 의무의 주체 ………………………………………………………………… 912
제3 의무의 법적 성격 …………………………………………………………… 913
제4 의무의 내용 ………………………………………………………………… 914
제5 의무와 과잉금지원칙 ……………………………………………………… 922
제 5 절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제 7 장 환경권적 기본권
제 8 장 국민의 헌법상 의무
제 4 절 형사보상청구권
제1 개 설 ……………………………………………………………………… 927
제2 영 국 ……………………………………………………………………… 927
제3 프 랑 스 ……………………………………………………………………… 928
제4 미합중국 ……………………………………………………………………… 928
제1 개 념 ……………………………………………………………………… 929
제2 대표관계 ……………………………………………………………………… 933
제1 개 설 ……………………………………………………………………… 936
제2 선거의 기본원칙 …………………………………………………………… 937
제3 선거제도의 구조 …………………………………………………………… 945
제4 현행법상의 선거제도 ……………………………………………………… 951
제1 개 설 ……………………………………………………………………… 954
제2 대의민주주의와 정당 ……………………………………………………… 955
제1 개 설……………………………………………………………………… 956
3. 국가작용
제 6 편 국가작용의 기본제도
제 1 장 대의제도
제 1 절 대의제도의 형성과 발달
제 2 절 대의원리
제 3 절 대의제도와 선거
제 4 절 대의제도와 정당
제 5 절 대의제도와 정치자금
제2 정치자금의 규제와 제도화 ………………………………………………… 958
제1 자유의 보장과 권력분립 …………………………………………………… 968
제2 국가작용의 기능적 분화와 권력분립 …………………………………… 969
제3 대의제도와 권력분립 ……………………………………………………… 970
제1 개 설 ……………………………………………………………………… 971
제2 내 용 ……………………………………………………………………… 971
제3 기능적 권력통제이론 ……………………………………………………… 973
제4 현대 국가에서의 국가작용과 권력분립 ………………………………… 974
제5 한국 헌법상 권력분립 ……………………………………………………… 975
제1 개 설 ……………………………………………………………………… 983
제2 의회주의제 …………………………………………………………………… 985
제3 대통령제 ……………………………………………………………………… 987
제4 혼 합 제 ……………………………………………………………………… 989
제1 공 무 원 ……………………………………………………………………… 994
제2 직업공무원제도 ……………………………………………………………… 995
제3 현행법상의 공무원제도 …………………………………………………… 1002
제1 개 설 …………………………………………………………………… 1011
제 2 장 권력분립
제 1 절 권력분립의 이념
제 2 절 권력분립의 내용
제 3 장 정부형태
제 4 장 공무원제도
제 5 장 지방자치제도
제2 현행법상의 지방자치제도 ………………………………………………… 1016
제1 헌법재판의 개념 …………………………………………………………… 1032
제2 헌법재판기관 ……………………………………………………………… 1033
제1 헌법의 규범력과 실효성의 보장 ………………………………………… 1034
제2 기본권의 보장 ……………………………………………………………… 1035
제3 국가작용의 합헌성 보장 ………………………………………………… 1036
제4 헌법의 보호 ………………………………………………………………… 1037
제1 재판작용으로서의 성질 …………………………………………………… 1037
제2 입법작용으로서의 성질 …………………………………………………… 1038
제3 정치작용으로서의 성질 …………………………………………………… 1041
제1 입법작용에 대한 통제 …………………………………………………… 1043
제2 집행작용에 대한 통제 …………………………………………………… 1044
제3 재판작용에 대한 통제 …………………………………………………… 1045
제4 국가작용의 정상화와 헌법질서의 유지 ………………………………… 1046
제5 위법행위를 한 공직자의 파면 …………………………………………… 1047
제6 위헌정당으로부터의 헌법보호와 정당의 존속보호 …………………… 1047
제1 헌법의 최고규범성 ………………………………………………………… 1049
제2 기본권의 보장 ……………………………………………………………… 1050
제1 헌법해석상의 한계………………………………………………………… 1051
제 6 장 헌법재판제도
제 1 절 헌법재판권
제 2 절 헌법재판의 목적
제 3 절 헌법재판의 성질
제 4 절 헌법재판의 기능
제 5 절 헌법재판의 지배원리
제 6 절 헌법재판의 한계
제2 입법작용상의 한계 ………………………………………………………… 1051
제3 정치작용상의 한계 ………………………………………………………… 1051
제1 의회주의의 개념 …………………………………………………………… 1055
제2 현대 국가와 의회주의 …………………………………………………… 1056
제1 대의기관 …………………………………………………………………… 1061
제2 입법기관 …………………………………………………………………… 1062
제3 국가정책결정기관 ………………………………………………………… 1063
제4 국정통제기관 ……………………………………………………………… 1064
제5 합의체결정기관 …………………………………………………………… 1065
제1 국회의 구성방식 …………………………………………………………… 1066
제2 헌법상 국회의 구성방식 ………………………………………………… 1067
1. 입 법
제1 입법과 입법권 ……………………………………………………………… 1069
제2 입법의 절차 ………………………………………………………………… 1073
제3 법률개선의무 ……………………………………………………………… 1084
제4 국민의 입법참여 …………………………………………………………… 1086
제5 입법과정에 대한 위헌심사 ……………………………………………… 1090
제 7 편 국가작용과 국가기관
제 1 장 국 회
제 1 절 의회주의
제 2 절 국회의 헌법상 지위
제 3 절 국회의 구성
제 4 절 국회의 기능과 권한
2. 재 정
제1 개 설 …………………………………………………………………… 1093
제2 조세의 입법 ………………………………………………………………… 1094
제3 예산의 심의 및 확정 ……………………………………………………… 1113
제4 결산의 심사 ………………………………………………………………… 1120
제5 중요 재정에 대한 동의·승인 …………………………………………… 1122
3. 국정의 통제
제1 개 설 …………………………………………………………………… 1123
제2 탄핵의 소추 ………………………………………………………………… 1123
제3 국정감사와 국정조사 ……………………………………………………… 1139
제4 국방·외교정책에 대한 동의 …………………………………………… 1149
제5 행정부의 구성과 운용에 대한 통제 …………………………………… 1149
제6 국가긴급권에 대한 통제 ………………………………………………… 1153
제7 일반사면에 대한 동의 …………………………………………………… 1154
4. 헌법기관의 구성
제1 개 설 …………………………………………………………………… 1154
제2 헌법재판소의 구성에 관여 ……………………………………………… 1155
제3 대통령선거에서의 결선 투표 …………………………………………… 1155
제4 대법원의 구성에 관여 …………………………………………………… 1155
제5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구성에 관여 …………………………………… 1155
제6 국무총리의 임명에 대한 동의 …………………………………………… 1155
제7 감사원장의 임명에 대한 동의 …………………………………………… 1156
5. 중요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동의
제1 개 설 …………………………………………………………………… 1156
제2 동의의 시기 ………………………………………………………………… 1160
제3 동의안의 수정가능여부 …………………………………………………… 1162
제4 동의와 동의거부의 효과 ………………………………………………… 1162
제5 동의받아 체결한 조약의 종료 …………………………………………… 1163
6. 자 율
제1 개 설 …………………………………………………………………… 1164
제2 내 용 …………………………………………………………………… 1164
제3 범위와 한계………………………………………………………………… 1169
7. 헌법의 개정
제1 헌법개정의 제안 …………………………………………………………… 1169
제2 헌법개정안의 의결 ………………………………………………………… 1170
1. 국회의 회의운영
제1 국회의 회기 ………………………………………………………………… 1171
제2 국회의 집회 ………………………………………………………………… 1173
2. 국회의 의사원칙
제1 의사의 공개 ………………………………………………………………… 1176
제2 회기의 계속 ………………………………………………………………… 1180
제3 일사부재의 ………………………………………………………………… 1182
제4 정 족 수 …………………………………………………………………… 1183
제5 다 수 결 …………………………………………………………………… 1186
제6 의사의 기록 ………………………………………………………………… 1187
1. 헌법상의 지위
제1 국민의 대표자 ……………………………………………………………… 1189
제2 국회의 구성원 ……………………………………………………………… 1189
제3 정당의 소속원 ……………………………………………………………… 1190
2. 선거와 임기
제1 개 설 …………………………………………………………………… 1192
제2 지역구국회의원 …………………………………………………………… 1193
제3 비례대표국회의원 ………………………………………………………… 1194
3. 의정활동상의 권한과 임무
제1 개 설 …………………………………………………………………… 1197
제2 내 용 …………………………………………………………………… 1197
제3 법적 성격 …………………………………………………………………… 1200
제4 침해와 구제 ………………………………………………………………… 1200
4. 직무상의 면책과 특권
제1 직무상의 면책……………………………………………………………… 1201
제 5 절 국회의 회의운영과 의사원칙
제 6 절 국회의원
제2 불체포특권 ………………………………………………………………… 1208
5. 의 무
제1 헌법상의 의무 ……………………………………………………………… 1213
제2 국회법상의 의무 …………………………………………………………… 1215
제3 기타 법령상의 의무 ……………………………………………………… 1215
제4 의무위반에 대한 제재 …………………………………………………… 1215
6. 자격의 소멸
제1 개 설 …………………………………………………………………… 1216
제2 임기의 만료 ………………………………………………………………… 1216
제3 선거무효와 당선무효 ……………………………………………………… 1217
제4 퇴 직 …………………………………………………………………… 1217
제5 사 직 …………………………………………………………………… 1217
제6 제 명 …………………………………………………………………… 1218
제7 자격심사 …………………………………………………………………… 1218
제8 당적의 변경 ………………………………………………………………… 1218
제9 소속정당의 해산 …………………………………………………………… 1221
1. 의장과 부의장
제1 지 위 …………………………………………………………………… 1222
제2 선출과 임기 ………………………………………………………………… 1222
제3 권 한 …………………………………………………………………… 1223
2. 위 원 회
제1 위원회제도 ………………………………………………………………… 1223
제2 위원회의 종류 ……………………………………………………………… 1226
제3 위원회의 운영 ……………………………………………………………… 1228
3. 교섭단체
제1 개 설 …………………………………………………………………… 1229
제2 구성과 지위 ………………………………………………………………… 1229
제3 기능과 법적 성격 ………………………………………………………… 1230
제4 교섭단체대표의원 ………………………………………………………… 1232
제 7 절 국회의 조직
4. 국회의 보조기구
제1 국회사무처 ………………………………………………………………… 1233
제2 국회예산정책처 …………………………………………………………… 1233
제3 국회입법조사처 …………………………………………………………… 1234
제4 국회도서관 ………………………………………………………………… 1235
1. 대통령의 헌법상의 지위
제1 헌법상의 지위 ……………………………………………………………… 1236
제2 불소추특권 ………………………………………………………………… 1244
제3 대통령의 직무수행상의 면책 …………………………………………… 1248
2. 대통령의 선거와 임기
제1 대통령의 선거 ……………………………………………………………… 1248
제2 취 임 …………………………………………………………………… 1253
제3 임 기 …………………………………………………………………… 1254
3. 대통령의 권한
제1 국가원수업무에 관한 권한 ……………………………………………… 1256
제2 헌법기관구성에 관한 권한 ……………………………………………… 1257
제3 국정수행에 관한 권한 …………………………………………………… 1259
제4 헌법수호에 관한 권한 …………………………………………………… 1293
제5 헌법개정에 관한 권한 …………………………………………………… 1319
4. 대통령권한의 행사방법과 대행
제1 대통령권한의 행사방법 …………………………………………………… 1319
제2 대통령권한의 대행 ………………………………………………………… 1330
제3 대통령의 궐위와 후임 대통령의 선출 ………………………………… 1338
5. 직무상의 의무
제1 헌법수호의무 ……………………………………………………………… 1341
제2 국가의 독립·보전의무 …………………………………………………… 1342
제3 직무수행의무 ……………………………………………………………… 1342
제4 겸직금지 …………………………………………………………………… 1343
제 2 장 대통령과 행정부
제 1 절 대 통 령
제5 평화통일노력의무 ………………………………………………………… 1344
6. 퇴임 후의 예우
제1 전직대통령의 예우 ………………………………………………………… 1345
제2 국가원로자문회의 의장 …………………………………………………… 1345
1. 국무총리
제1 국무총리제도 ……………………………………………………………… 1346
제2 국무총리의 헌법상 지위 ………………………………………………… 1348
제3 국무총리의 임명과 해임 ………………………………………………… 1351
제4 국무총리의 권한 …………………………………………………………… 1355
제5 국무총리권한의 대행 ……………………………………………………… 1361
제6 행정부의 2원적 운영 ……………………………………………………… 1362
제7 국무총리의 책무 …………………………………………………………… 1363
2. 국무위원
제1 국무위원의 헌법상 지위 ………………………………………………… 1365
제2 국무위원의 임명과 해임 ………………………………………………… 1365
제3 국무위원의 권한 …………………………………………………………… 1366
제4 국무위원직무의 대행 ……………………………………………………… 1368
제5 국무위원의 책무 …………………………………………………………… 1368
3. 국무회의
제1 국무회의의 헌법상 지위 ………………………………………………… 1369
제2 국무회의의 구성 …………………………………………………………… 1372
제3 국무회의의 심의 …………………………………………………………… 1373
제4 국무회의의 운영 …………………………………………………………… 1375
4. 행정각부
제1 행정각부의 헌법상 지위 ………………………………………………… 1376
제2 행정각부의 장 ……………………………………………………………… 1379
제3 조직과 직무범위 …………………………………………………………… 1381
5. 대통령 소속기관
제1 감 사 원 …………………………………………………………………… 1383
제2 대통령자문기관 …………………………………………………………… 1387
제 2 절 행 정 부
제3 국가정보원 ………………………………………………………………… 1389
제1 선거관리위원회의 헌법상의 지위 ……………………………………… 1391
제2 선거관리위원회의 종류와 구성 ………………………………………… 1392
제3 선거관리위원회의 기능과 권한 ………………………………………… 1394
제4 선거의 관리와 선거의 공영 ……………………………………………… 1395
제1 헌법조항 …………………………………………………………………… 1413
제2 사법과 사법권의 개념 …………………………………………………… 1414
제1 재판기관 …………………………………………………………………… 1415
제2 중립적 권력기관 …………………………………………………………… 1415
제3 헌법수호기관 ……………………………………………………………… 1416
제4 기본권보장기관 …………………………………………………………… 1416
제1 의 의 …………………………………………………………………… 1417
제2 재판의 독립 ………………………………………………………………… 1419
제3 법관의 독립 ………………………………………………………………… 1429
제4 법원의 독립 ………………………………………………………………… 1439
제1 심급제도 …………………………………………………………………… 1445
제2 제 1 심과 관할법원 ………………………………………………………… 1448
제3 항소심과 관할법원 ………………………………………………………… 1448
제4 상고심과 관할법원………………………………………………………… 1449
제 3 절 선거관리위원회
제 3 장 법 원
제 1 절 사법과 사법권
제 2 절 법원의 헌법상의 지위
제 3 절 사법의 독립
제 4 절 재판의 심급과 관할
제1 개 설 …………………………………………………………………… 1450
제2 대 법 원 …………………………………………………………………… 1451
제3 고등법원 …………………………………………………………………… 1456
제4 특허법원 …………………………………………………………………… 1457
제5 지방법원 …………………………………………………………………… 1458
제6 가정법원 …………………………………………………………………… 1459
제7 행정법원 …………………………………………………………………… 1460
제8 회생법원 …………………………………………………………………… 1461
제9 군사법원 …………………………………………………………………… 1461
제1 개 설 …………………………………………………………………… 1466
제2 사법권의 범위 ……………………………………………………………… 1466
제3 사법권의 한계 ……………………………………………………………… 1468
제1 개 설 …………………………………………………………………… 1473
제2 제도적 형태 ………………………………………………………………… 1473
제3 기능과 한계 ………………………………………………………………… 1475
제1 헌법재판기관 ……………………………………………………………… 1476
제2 헌법수호기관 ……………………………………………………………… 1476
제3 기본권보장기관 …………………………………………………………… 1477
제4 권력통제기관 ……………………………………………………………… 1477
1. 헌법재판소의 구성
제1 구성원리 …………………………………………………………………… 1478
제 6 절 사법권의 범위와 한계
제 7 절 국민의 사법참여
제 4 장 헌법재판소
제 1 절 헌법상의 지위
제 2 절 헌법재판소의 구성과 조직
제 5 절 법원의 구성과 조직
제2 구 성 …………………………………………………………………… 1482
제3 합의제 단일재판부 ………………………………………………………… 1486
2. 헌법재판소의 조직
제1 재판관회의 ………………………………………………………………… 1487
제2 헌법재판소장 ……………………………………………………………… 1487
제3 헌법연구관 ………………………………………………………………… 1488
제4 사 무 처 …………………………………………………………………… 1488
제5 헌법재판연구원 …………………………………………………………… 1489
제1 의 의 …………………………………………………………………… 1490
제2 재판의 독립 ………………………………………………………………… 1491
제3 재판관의 독립 ……………………………………………………………… 1494
제4 헌법재판소의 독립 ………………………………………………………… 1499
제1 재판부의 구성 ……………………………………………………………… 1503
제2 심판정족수 ………………………………………………………………… 1504
제3 신청주의와 소송대리 ……………………………………………………… 1505
제4 사건의 심리 ………………………………………………………………… 1508
제5 심 판 …………………………………………………………………… 1510
제6 재 심 …………………………………………………………………… 1514
제7 준용 및 절차의 창설 ……………………………………………………… 1516
제8 가 처 분 …………………………………………………………………… 1517
1. 개 설
2. 위헌법률심판
제1 개념과 성질 ………………………………………………………………… 1523
제2 요 건 …………………………………………………………………… 1524
제3 절 차 …………………………………………………………………… 1531
제4 결 정 …………………………………………………………………… 1534
제 4 절 일반심판절차
제 3 절 헌법재판의 독립
제 5 절 특별심판절차
제5 재 심 …………………………………………………………………… 1553
제6 가 처 분 …………………………………………………………………… 1554
제7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 항의 헌법소원심판 ………………………… 1554
3. 탄핵심판
제1 개념과 성질 ………………………………………………………………… 1555
제2 요 건 …………………………………………………………………… 1557
제3 절 차 …………………………………………………………………… 1557
제4 결 정 …………………………………………………………………… 1558
4. 정당해산심판
제1 개념과 성질 ………………………………………………………………… 1559
제2 요 건 …………………………………………………………………… 1559
제3 절 차 …………………………………………………………………… 1562
제4 결 정 …………………………………………………………………… 1562
제5 가 처 분 …………………………………………………………………… 1565
5. 권한쟁의심판
제1 개념과 성질 ………………………………………………………………… 1565
제2 당 사 자 …………………………………………………………………… 1568
제3 요 건 …………………………………………………………………… 1572
제4 절 차 …………………………………………………………………… 1575
제5 결 정 …………………………………………………………………… 1575
제6 가 처 분 …………………………………………………………………… 1577
6. 헌법소원심판
제1 개념과 성질 ………………………………………………………………… 1577
제2 요 건 …………………………………………………………………… 1578
제3 절 차 …………………………………………………………………… 1594
제4 결 정 …………………………………………………………………… 1599
제5 재 심 …………………………………………………………………… 1600
제6 가 처 분 …………………………………………………………………… 1601
판례색인 …………………………………………………………………………………… 1603
사항색인 ……………………………………………………………………………………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