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05052
· 쪽수 : 149쪽
· 출판일 : 2025-07-07
책 소개
목차
초보자를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01 AI 언어 모델 이해하기
02 효과적인 프롬프트의 구조와 기본 패턴
03 프롬프트 개선 기술
04 작업별 프롬프트
05 고급 프롬프트 구조
06 실용적인 응용을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07 프롬프트 실패 이해하기
08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윤리적 고려 사항
09 프롬프트 라이브러리 구축
10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가 언어 모델의 본질과 작동 방식을 이해하게 되면, AI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때 명확한 의사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인간과의 대화보다 더 명확해야 하는 이유는 AI는 사용자 표정, 암묵적 문화 맥락, 배경지식을 이해하지 못한다. 따라서 더욱 정확한 언어적 표현이 요구된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도움 되는 사고방식은 “최소 가정의 원칙”이다. 이는 특정 요구 사항, 선호도, 맥락에 대해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한 모델이 아무것도 모른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것이 좋은 투자인가?”와 같이 묻기보다는, “20년 후 100만 달러를 저축해 은퇴하겠다는 목표에 비추어, 이 인덱스 펀드에 1만 달러를 투자하는 것이 과거 성과를 기준으로 볼 때 이 목표와 부합하는가?”와 같이 구체적으로 물을 수 있다.
-01_“AI 언어 모델 이해하기” 중에서
프롬프트는 한 번에 완성되지 않으며, 반복적인 개선과 피드백이 필수다. 기본 사이클은 초안 작성 → 응답 관찰 → 분석 → 수정 → 반복이다. 버전 관리를 통해 개선 내역을 기록하고 효과를 분석하면 직관을 키울 수 있다. 다만 과도한 반복보다는 현실적 제약(요구 충족, 개선 한계 등)을 기준으로 종료 시점을 판단해야 한다.
불명확한 프롬프트는 부분 응답, 방향 이탈, 추가 질문 등으로 드러나며, 명확성 체크리스트(목표, 맥락, 형식 등)를 통해 사전에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응답 품질을 높이기 위해 맥락(청중, 목적, 상황)과 제약(형식, 분량, 어조 등)을 전략적으로 추가해야 한다.
복잡한 요청은 순차적 분해, 계층적 접근, 입력-출력 연쇄 방식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모호성은 범위, 용어, 조건 명확화로 해결하며, 다양한 시나리오와 관점, 결정 프레임워크를 요청해 불확실성에도 대응 가능하다.
-03_“프롬프트 개선 기술” 중에서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프롬프트를 통해 체계적인 분석과 선택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주요 기법은 다음과 같다.
- 가중치 결정 행렬: 평가 기준 설정 → 중요도 가중치 → 옵션별 점수 → 총합 비교.
- 장단점 분석의 고도화: 객관/주관, 단기/장기, 확실/불확실 요인별로 구조화된 장단점 분석.
- 시나리오 플래닝: 최선/일반/최악 시나리오 등 가능한 미래를 가정하고 각 경우의 전략 설계.
- 의사 결정 나무: 초기 선택지 → 결과 → 다음 선택지의 경로를 시각화하며 리스크 및 기회 평가.
- 프리모텀(Pre-Mortem) 분석: 실패했다고 가정하고, 그 원인과 대응책을 사전에 설계.
-06_“실용적인 응용을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