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경찰공무원(승진) > 경찰학개론
· ISBN : 9791155062135
· 쪽수 : 604쪽
· 출판일 : 2015-07-10
목차
제1장경찰과 경찰학 / 3
제1절 경찰의 개념 3
01 경찰개념의 형성 및 변천 3
02 형식적 의미 경찰과 실질적 의미 경찰 7
03 경찰의 분류 9
제2절 경찰의 임무와 수단 13
01 경찰의 임무 13
02 경찰의 수단 18
제3절 경찰활동의 기초 및 경찰의 관할 19
01 경찰활동의 기초(경찰권) 19
02 경찰권과 관할 20
제4절 경찰의 기본이념(가치)과 경찰윤리 23
01 의의 23
02 경찰의 기본이념 23
03 경찰윤리 30
04 경찰활동의 사상적 토대 및 경찰활동의 기준(경찰인의 윤리표준)과 경찰윤리강령 37
제2장한국경찰의 역사와 제도 / 46
제1절 갑오개혁 이전의 경찰 46
01 부족국가시대의 경찰제도 46
02 삼국시대의 경찰제도(지방장관의 명칭) 47
03 통일신라시대의 경찰제도 48
04 고려시대의 경찰제도 49
05 조선시대(갑오개혁 이전)의 경찰제도 50
제2절 갑오개혁부터 한일합병 이전의 경찰 53
01 갑오개혁과 근대경찰 53
02 광무개혁에 따른 경부(警部) 경찰체제의 출범과좌절 54
03 한국 경찰권의 상실 55
04 갑오개혁부터 한일합병 이전 경찰의 특징 56
제3절 일제강점기 경찰 57
01 개요 57
02 헌병경찰시대 57
03 보통경찰시대 58
04 강점기 경찰의 특징 58
제4절 미군정시기 경찰 59
01 개요 59
02 식민경찰체제 청산의 미흡 59
03 경찰제도 60
04 미군정하 경찰의 특징 61
제5절 정부수립 후 경찰(1948년 8월 15일~1991년 경찰법 제정) 61
01 서설 61
02 경찰의 조직 61
03 경찰의 정비 62
제6절 경찰법제정(1991년) 이후 경찰 63
01 경찰법 제정의 의의 63
02 조직정비 63
제3장경찰과 그 법적 토대 / 64
제1절 서설 64
01 경찰과 법치행정 64
02 경찰법의 구성 67
03 경찰법의 법원 67
제2절 경찰조직법 75
01 경찰조직법 일반 75
02 경찰행정기관 77
03 경찰관청 상호간의 관계 86
제3절 경찰공무원법 95
01 개설 95
02 경찰공무원의 분류 95
03 경찰공무원관계 99
04 경찰공무원의 권리와 의무 115
05 경찰공무원의 책임 123
06 경찰공무원의 권익보장 134
제4절 경찰작용법 140
01 경찰작용법의 의의 140
02 개인적 공권과 반사적 이익 142
03 경찰권발동의 한계 144
04 경찰처분(행정행위) 150
05 행정지도 165
06 경찰관직무집행법 166
07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186
제5절 경찰상 의무이행확보수단 191
01 개관 191
02 경찰강제 191
03 경찰벌(행정벌) 197
04 기타 경찰의무이행의 확보수단 203
제6절 경찰구제법 204
01 구제제도의 개괄 204
02 사전구제 - 행정절차법 204
03 손해배상(국가배상)제도 207
04 행정상 손실보상 210
05 행정심판 210
06 행정소송 212
제4장경찰행정학 / 217
제1절 경찰관리일반론 217
01 경찰관리의 의의 217
02 경찰관리자 217
제2절 경찰조직관리 218
01 경찰조직의 의의 218
02 경찰조직의 편성원리 218
제3절 경찰인사관리 222
01 인사관리 222
02 사기관리 225
제4절 경찰예산관리 227
01 예산의 의의 227
02 경찰예산분류 227
03 예산의 과정 229
04 예산제도 232
제5절 기타관리 234
01 물품관리 234
02 장비관리 235
03 보안관리 238
제6절 경찰홍보 243
01 경찰홍보의 의의 243
02 경찰홍보의 전략 243
03 경찰홍보의 유형 244
04 경찰홍보와 문제점 245
05 언론의 오보에 대한 대응책(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245
제5장경찰통제 및 향후과제 / 248
제1절 경찰통제 248
01 경찰통제의 필요성 248
02 경찰통제의 기본요소 248
03 통제의 유형 및 장치 249
제2절 경찰의 향후과제 256
01 수사구조의 개혁 - 경찰수사권 독립론에 대한 논의 256
02 기타 256
제1장생활안전경찰 / 259
제1절 생활안전경찰의 의의 259
01 경찰개념의 형성 및 변천 259
제2절 범죄의 원인과 예방 259
01 범죄의 의의 259
02 범죄원인론 260
03 범죄통제론 264
제3절 지역경찰활동 271
01 지역사회경찰활동(Community Policing) 271
02 지역경찰 273
03 순찰(Patrol)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