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1세기 유교 연구를 위한 백가쟁명 2권

21세기 유교 연구를 위한 백가쟁명 2권

(정상과 이상의 대결 역사)

신정근 (지은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1세기 유교 연구를 위한 백가쟁명 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1세기 유교 연구를 위한 백가쟁명 2권 (정상과 이상의 대결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55503935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19-12-31

책 소개

인권유학 유교문화연구총서 23권. 지금은 유교 연구를 둘러싸고 모두가 제 목소리를 내야 하는 백가쟁명의 시대이다. 유교 보호와 보장을 위한 제도적 노력과 시대의 변화와 함께 자신의 정체성을 재정립하자는 다양한 목소리를 수록하였다.

목차

서문

󰡔시경󰡕과 당시唐詩 속 춤동작의 문학적 형상화 추출 및 유형화
: 연무宴舞·전무戰舞·취무醉舞·신무神舞 / 김미영

1. 들어가는 글
2. 󰡔시경󰡕 속 춤동작의 문학적 형상화 추출
3. 당시唐詩 속 춤동작의 문학적 형상화 분석
4. 연무宴舞·전무戰舞·취무醉舞·신무神舞
5. 나오는 글

조선후기 문인들의 ‘소확행’ 음악활동 / 송지원
1. 머리말
2. ‘닦는 음악’에서 ‘소통하는 음악’으로
3. 임원林園에서의 음악 생활
4. 맺음말

조선시대 18, 19세기 화론畫論에서 중시된 ‘기奇’와 ‘예藝’ / 고연희
1. 머리말
2. 18세기, 기경奇景의 추구
3. 19세기, 문자기법文字奇法의 추구
4. 18세기에서 19세기로
5. 맺음말

장자의 자연自然과 기인奇人의 상관성: 카를 로젠크란츠의 󰡔추醜의 미학󰡕을 중심으로 / 임태규
1. 들어가는 글
2. 장자 기인奇人 이해의 주변
3. ‘기인’의 세 가지 유형
4. 나가는 글

기이한 정상: 유교가치 실현을 위한 제언 / 전성건
1. 서론
2. 정상화의 역사화 과정
3. 정반합의 논리적 모순
4. 수사학의 미래적 선택
5. 결론

「심기리心氣理」편에서는 왜 리理를 유교의 최상위 개념으로 설정했는가? / 이해임
1. 들어가는 글
2. 마음은 외부대상의 자극으로부터 어떻게 반응하는가?
3. 양기는 마음의 지각작용을 통제할 수 있는가?
4. 형이상의 리가 형이하의 세계를 어떻게 주재하는가?
5. 나오는 글

서학의 욕구론과 위정척사파의 비판: 김평묵의 󰡔벽사변증기의󰡕를 중심으로 / 이원석
1. 들어가며
2. 󰡔칠극󰡕의 지평과 유가 비판
3. 김평묵의 󰡔칠극󰡕 비판
4. 결론

과욕寡欲에서 양욕養欲으로 / 권오향
1. 들어가며
2. 욕欲의 의미와 가치
3. 욕欲은 왜 억눌려 왔는가?
4. 욕欲이 왜 현대에 권리로 부상하는가?
5. 결론

유학에서 경經의 수렴성으로부터 예藝의 확산성까지
: 규범 원리와 심미 의식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 엄연석

1. 머리말
2. 유학에서 경經의 일반적 의미와 상관개념
3. ‘문文’의 의미와 예藝의 확산적 특성
4. 문文과 질質, 인의와 예악의 연속성과 균형 조화
5. 맺음말

천리天理의 ‘공공성’과 ‘현실성’: 일관된 충서忠恕의 리理가개인 및 사회에 가지는
의미에 관한 소고 / 정도원

1. 서론: ‘리理’라는 ‘말’의 의미
2. 사람 사는 이치로서의 천리天理와 공리公理
3. ‘일관一貫’된 ‘천天’리理의 인식과 의미
4. ‘공公’리理의 실현과 개인의 행복
5. 결론: 천리天理에 대한 도학 담론의 가치

신유학의 불교 비판과 유학의 복원: 이정 형제를 중심으로 / 이현선
1. 들어가는 말
2. 불교 우위의 ‘현재[今]’: 불교의 유학화와 유·불 융합론
3. 이정 형제 이전 송대 유학의 불교 비판
4. 이정 형제의 불교 비판: 유·불 융합론의 모순
5. 「중용장구서」에 나타난 주희의 도통론과 이정二程 계승
6. 나가는 말

주자의 󰡔주역본의周易本義󰡕 권수卷首 구도九圖는 어떻게 정正이 되었는가 / 임재규
1. 서언
2. 조선 역학에 있어서 󰡔주역전의대전󰡕과 󰡔주역본의󰡕의 권수卷首 구도九圖
3. 󰡔주역전의대전󰡕 이전 중국 역학에 있어서 󰡔사고전서󰡕 본 󰡔주역본의󰡕 판본과 󰡔주역본의󰡕의 권수 구도九圖
4. 왕무횡王懋竑의 「주역본의구도론周易本義九圖論」
5. 󰡔주역본의󰡕 권수 구도 중의 「괘변도」와 󰡔주역본의󰡕의 주문注文
6. 결어

양명의 탈성화脫聖}化 기획 / 설준영
1. 존재 양태로서의 성인
2. 행위 양태로서의 성인
3. 심즉리를 통한 탈성화脫聖}化 기획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