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표준 발음법 영향 평가

표준 발음법 영향 평가

국립국어원 (엮은이)
휴먼컬처아리랑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0% 0원
0원
3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3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표준 발음법 영향 평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표준 발음법 영향 평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학개론/정서법
· ISBN : 9791155652374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5-01-23

목차

I.서론
1.연구의 배경 1
2.연구내용 및 방법 3
3.연구개요 5
1)연구일반현황 5
2)연구내용개관 5
3)연구진 7
4.기대효과 8

Ⅱ.각국의 표준발음정책
1.각국의 표준발음정책조사개요 10
1)표준발음정책의 어제와 오늘 10
2)외국의 표준발음관련 정책, 제도, 법조사 10
3)외국의 표준발음 관련정책의 효과, 변화방향 등 조사 11
4)북한의 표준발음법과의 비교 11
2.우리의 표준발음, 어제 와 오늘 11
1)문교부 표준말 안(1979.12.) 12
2)국어연구소표준발음법(1987.4.) 12
3)국어연구소표준발음법(1987.9.) 14
3.외국의 표준발음정책 14
1)표준발음 관련규정의 존재양상 14
2)표준발음을 정한 절차와 기준 18
3)표준발음관련교육현황 31
(1)일반인들을대상으로하는표준발음관련교육홍보방법 31
(2)표준발음에 대한학교 교육 과정과 교육방법 35
(3)일반인들의 표준발음 관련의 문제해결 방법 39
4)표준발음관련정책의장단점 40
4.북한의 표준발음 정책 43
1)조선어철자법(1954)의 표준발음법 43
2)조선어문법(1960)의 표준발음법 45
3)‘조선말 규법집’(1966)의‘표준발음법’ 46
4)‘조선말규범집’(1987)의문화어발음법 46
5)‘조선말규범집’(2010)의문화어발음법 58
5.요약 62

Ⅲ.표준발음에 대한 일반인의식조사
1.일반인설문조사개요 67
1)조.사.의개요67
2)조사과정 68
3)조사내용 69
4)설문지 71
5)조사대상 77
2.일반인설문결과 분석82
1)표준발음 및 표준발음법인지도 82
2)표준발음 및 표준발음법이해도 86
3)표준발음 표준발음법 수용도 95
4)표준발음법의 세부규정 수용도 102
5)표준발음법 개정의 필요성 방식 108
6)개별표준발음 117
(1)경음화 117
(2)자음군 121
(3)ㄴ첨가 125
(4)ㄴㄹ연쇄의 발음 129
(5)ㅢ133
(6)받침의 발음 137
(7)기타 141
3.요약 146

Ⅳ.표준발음에 대한전문가의식조사
1.전문가 심층면담 개요 152
1)면담대상선정 152
2)면담 내용 방법 154
2.표준발음법에 대한 전문가 식 155
1)표준발음법과 표준발음사전 155
(1)표준발음법의 존재에 대하여 155
(2)표준발사전의 필요성 156
(3)표준발음법과 표준발음사전의 관계 156
2)표준발음법규정의 개정 157
(1)표준발음법의 개정필요성 157
(2)문제가 되는 표현이나 항목 158
(3)전통성과 합리성 158
3)논란이 많은 발음 159
(1)장단 159
(2)단모음‘외, 위’160
(3)경음화 161
(4)겹받침 162
(5)유음화와 치조비음화163
(6)‘ㄴ’첨가 163
(7)재구조화된 단어의 발음163
(8)‘ㅐ/ㅔ’의 혼동 163
(9)기타 현실발음164
4)표준발음결정절차 164
5)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 165
6)복수표준발음 165
7)외래어의 발음 166
3.전문가 면담녹취록 요약 167
4.요 약 206

Ⅴ.일반인 발음 실태 조사
1.일 반 인발 음실 태조 사개 요 210
1)조 사목 적 210
2)조 사방 법 210
3)조 사내 용 213
2.일반인 발음 실태조사결과 분석 219
1)단 모 음 의 발 음 219
(1)‘ㅔ’와‘ㅐ’의구별 219
(2)‘ㅚ’의 발음 223
(3)‘ㅟ’의 발음 227
2)이 중모? 음의 발음 230
(1)‘ㅖ’의 발음 231
(2)‘ㅢ’의 발음 235
3)음의길이 240
(1)어두장음의 발음 240
(2)어두단음의 발음 245
4)홑받침의 발음 246
(1)‘ㄷㅆ’연쇄의 발음 247
5)겹받침의 발음 248
(1)자음군단순화 249
6)어간말‘ㅎ’의 발음 255
(1)어간말 ㅎ의 발음 256
(2)초성‘ㅎ’의 축약 257
7)연음 261
(1)체언어간 말자음의 변화 261
(2)체언 어간말 자음군의 변화 267
8)절음 269
(1)합성어 경계에서의 절음현상 270
9)구개음화 270
10)유음화 272
11)조음위치동화 278
12)활음첨가 282
13)경음화 284
(1)용언에서의 경음화 285
(2)한자어에서의 경음화 287
(3)관형사어 뒤에서의 경음화 287
(4)합성어에서의경음화 288
14)음의첨가 292
15)사이시옷의 발음 296
16)모음연쇄의 발음 297
17)외래어의경음화 299
3.요약 301

VI.표준발음법의 내적.외적문제점
1.표준발음법의 법적지위 311
1)고시의법규로서의 효력 311
2)‘국어의 로마자표기법’ 관련헌법재판소결정 312
3)표준발음법’의 법적구속력 314
2.표준발음법규정내의 문제 317
1)표준발음법의 용어문제 317
2)표준발음 법규정 내의 충돌 317
VII.요약 및 제언 320
1.표준발음 및 표준발음법에 대?한인지도 및 수용도 320
1)인지도 320
2)수용도 320
2.표준발음법 및 표준발음 320
1)각국의 표준발음법 표준발음 정책 320
2)표준발음법의 필요성 322
3)표준발음사전의 필요성 322
3.표준발음법규정의 개정 323
1)표준발음법의 법적지원 323
2)표준발음법 규정개정의 필요성 324
3)표준발음법 규정 개정방향 324
4)논란이 많은 표준발음 326
(1)장단326
(2)단모음‘ㅚ,ㅟ’ 326
(3)경음화 326
(4)겹받침발음 327
(5)유음화와 치조비음화 327
(6)‘ㄴ’첨가 328
(7)재구조화 된 단어의 발음 328
(8)ㅐ/ㅔ의 혼동 329
(9)기타발음 329
4.표준발음 및 현실발음의 관계 330
1)현실발음의 반영 330
2)복수 표준발음의 필요성 30
3)외국의 현실발음 반영사례 330
5.외래어의 발음 331
1)외래어발음의 문제점 331
2)외래어발음의 실태 331
3)외래어발음 문제의 해결방안 332
(1)외래어표기법에 따라 발음하는 방안 332
(2)외래어 발음법을 제정하는 방안 332
(3)단어에 따라 발음 정보를 달리 제시 하는 방 안 332
6.표준 발음법 개정 및 표준 발음 결정 절차 333
1)표준 발음법 개정 333
2)표 준발 음결 정 333
7.향후조사를 위한 제언 335
표준발음관련 참고논저 337
표준발음관련 신문기사 350
Abstract· 352

저자소개

국립국어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국어원(이하 "국어원"이라 한다)은 국어의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의 추진과 연구활동을 관장한다. - 기획 - 박미영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조은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 공동 집필 - 이정희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교수 장미정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 김은애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대우교수 천민지 한양대학교 국제교육원 교육전담교수 김지혜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 강사 윤세윤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객원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연구①에서는 미국, 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영국 등 외국에서의 표준발음과 관련한 정책과 제도 및 법과 시행령 등을 살피고, 각 국가의 발음교육 관련내용을 아울러 살펴보았다. 국가차원에서 남북한과 같은 표준발음법을 제정하여 그것을 기준으로표준발음을 정하고 보급하는 국가는 없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표준발음법 자체의 사회적의미에대한재고가필요하다.즉일반인에게표준발음법자체를전파하는 교육 및 홍보는 지양되어야 한다.
연구②는 전국의 남녀노소5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은 대개 표준발음이 사용되고 있다는것은알고있지만그것이규정에의한것이라는점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표준발음법 자체에 대한교육과 홍보를 확대하는 것보다는 현실적으로 일반인이 자신의 발음과 표준발음을 병행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방식을 채택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일반인의 경우 표준발음을사용할 의향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표준발음은 표준어를 사용하는 공적 상황의 발음에 대한 기준이라는 사실을 교육하고 홍보 할 필요가 있다. 연구③은총70명의전문가(교수와 교사45명, 한국어교육전문가5명, 아나운서, 기자, 연기자, 성우20명)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전문가들은표준발음법은규정이표준발음을 정하는 기준의 역할을 하므로 필요 하지만, ‘표준발음사전’도 필요하다는 견해를 제시 하였다. 그러나 표준발음법의 규정에 쓰이는 용어나 서술을 쉽게 바꾸고, 가능하면 예외에 대한 서술을 줄여야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논란이많은 발음에 대해서는 현실발음을 어느 정도는 반영하여야하고 복수의 표준발음도 적극적으로 인정자는 의견이 많았다.
연구④는 전국의 남녀노소5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대체적으로 단모음‘ㅔ’‘ㅐ’의 구별,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별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