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55657430
· 쪽수 : 604쪽
· 출판일 : 2015-09-20
목차
발간사 06
Chapter 01 이명박 정부의 외교정책 방향
1장 국제 정세 변화 개관 10
2장 이명박 정부의 외교정책 기조 23
Chapter 02 외교통상정책 분야별 성과
1장 한반도 안보 공고화 30
1절 북핵문제 해결 노력
2절 주요국과의 전략적 협력관계 강화
3절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외교적 노력
2장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128
1절 정상외교를 통한 전방위 네트워크 구축
2절 신아시아 외교
3절 지역 외교
3장 경제·통상 외교 강화 222
1절 주요국과의 경제·통상관계 강화
2절 다자통상외교 강화
3절 새로운 글로벌 경제거버넌스 체제 구축
4절 FTA 네트워크 확대
5절 에너지협력 외교 강화
6절 저탄소 녹색성장 지원
7절 경제 분야 협력외교 기반 구축
4장 국제사회 내 역할 확대 및 위상 제고 330
1절 주요 국제이슈 논의 주도
2절 개발협력 및 인도지원 확대
3절 유엔 및 국제기구 활동 참여 확대
4절 선진 문화외교를 통한 국가 브랜드 제고
5장 영사 서비스 확충 426
1절 재외국민 보호와 동포 권익 증진
2절 국민편익을 위한 영사서비스 강화
3절 대국민 소통 강화
6장 선진외교 인프라 구축 458
1절 외교 역량 강화
2절 국립외교원 출범
Chapter 03 부록
1. 외교통상부 조직도 474
2. 재외공관 현황 476
3. 경제·통상관계 현황 478
4. 조약 발효 현황 482
5. FTA 추진 실적 498
6. 재외동포 현황 500
7. 해외이주 현황 501
8. 여권 발급 및 해외여행자 현황 502
9. 2008~2012 주요 국제관계 일지
저자소개
책속에서
외교통상부는 이명박 정부 재임 기간중‘성숙한 세계국가(Global Korea)를 구현하기 위해 진력해 왔습니다.
우선, 주변국과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심화·발전시켰습니다. 미국과는「한·미 동맹을 위한 미래비전(2009.6) 채택, 전작권 전환 시기 조정, 외교·국방장관 2+2회의 개최, 미사일 지침 개정 등 전략 동맹 관계를 강화하였습니다. 아울러, 한미 FTA 발효(2012.3)로 동맹의 범위를 기존의 군사·안보에서 경제 분야로 확대하였으며, 공동 가치에 기반하여 국제무대에서의 협력 범위를 넓혀 가는 등 최상의 한미동맹 관계를 구축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