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웹 취약점 진단 기술

웹 취약점 진단 기술

(누구나 쉽게 따라 하는)

여동균, 김선집, 허행희, 손우종, 나진수 (지은이)
해드림출판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웹 취약점 진단 기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웹 취약점 진단 기술 (누구나 쉽게 따라 하는)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네트워크 보안/해킹
· ISBN : 9791156342489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8-02-02

책 소개

KISA 웹 취약점 진단 22개 항목 완벽 실습서이며, 웹 취약점 진단의 표준 지침서. 웹 취약점 진단의 초보자들에게 쉽게 다가서고, 빠른 기술력 습득과 이해에 초점을 맞추었다.

목차

머리말 _이 책을 읽기 전에 04

제1장 웹 취약점 진단 개요 11

제2장 웹 취약점 진단 상세 방법
- 운영체제 명령실행 취약점 33
- SQL 인젝션 취약점 37
- XPath 인젝션 취약점 50
- 디렉토리 인덱싱 취약점 52
- 정보노출 취약점 60
- 악성콘텐츠 취약점 69
- 크로스사이트 스크립팅 취약점 71
- 약한 문자열 강도(브루트포스) 취약점 92
- 불충분한 인증 및 인가 취약점 100
- 취약한 패스워드 복구 취약점 103
- 불충분한 세션 관리 취약점 104
- 크로스사이트 요청 변조(CSRF) 취약점 106
- 자동화 공격 취약점 110
- 파일 업로드 취약점 115
- 경로추적 및 파일다운로드 118
- 관리자 페이지 노출 취약점 122
- 위치 공개 취약점 126
- 데이터 평문 전송 취약점 134
- 쿠키변조 취약점 138
- 웹 서비스 메소드 설정 공격 142
- URL/파라미터 변조 취약점 146
- 기타(검증되지 않은 리다이렉트와 포워드) 취약점 150

[부록] 시스템 취약점 진단 기술

저자소개

여동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내 전국민의 사이버보안 의식 수준 제고와 어린이들의 올바른 사이버보안 의식, 윤리, 도덕심을 함양하도록 정보보안 파수꾼으로 활동하고 있다. - ㈜이글루시큐리티 보안관제 팀장, ㈔한국사이버감시단 이사 - 한국정보보호심사원협회 부회장(현재), ISMS 인증심사원(현재)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정보보호연구회 정회원(현재) - 저서: 사이버보안의 북극성, ISMS 보안인증관리, 보안관제 실무가이드, 정보보안관제사(1/2/3급), 정보보안기사 핵심노트 등 - 특허: 인증전원제어시스템(제 10-1672926)
펼치기
여동균의 다른 책 >
허행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이글루시큐리티 취약점 진단 전문가
펼치기
김선집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기업 그룹사의 IT부서, 정부 산하 기관 등에서 다년간 IT시스템과 네트워크 및 보안을 다뤘으며, 현재는 한세대학교 IT학부 ICT 디바이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정부 산하기관 평가 위원을 맡고 있다.
펼치기
손우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이글루시큐리티 취약점 진단 전문가
펼치기
나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이글루시큐리티 악성코드 분석 전문가
펼치기

책속에서

▣ 악성콘텐츠 취약점 진단방법
- 플래쉬와 같은 콘텐츠의 취약점을 이용하면 악성코드를 삽입 가능하므로, 소스보기에서 악의적인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 플래쉬 매개변수 AllowScriptAccess가 Always로 설정되었을 경우 취약
- 해당 취약점은 클라이언트단 스크립트 소스 Flash Player 관련해서 Allow ScriptAccess와 같은 오브젝트 매개변수에 Always 값을 주게 되면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 및 실행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예) <embed src="https://www.test.co.kr/xss.swf" width="450" height="400"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allowScriptAccess="always"> </embed>
- 결과적으로 always 이면 swf 파일은 html 페이지와 다른 도메인에 있는 경우에도 swf 파일이 포함된 html 페이지와 통신 할 수 있다. 그러나 sameDoma in이면 swf 파일은 html 페이지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해 있는 경우에만 swf 파일이 포함된 html 페이지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값이 기본 값이다. 또한 never 값으로 설정하면 swf 파일에서 어떠한 html 페이지와도 통신 할 수 없다.

▣ 악성콘텐츠 취약점 대응방안
- 악성콘텐츠를 삽입하려면 기본적으로 SQL 인젝션, XSS, 파일업로드 취약점을 이용하기 때문에, 앞서 학습한 취약점들이 없다면 조금은 안심해도 되겠다. 그러나 악성콘텐츠 삽입방법은 소프트웨어의 취약사항 및 알려지지 않은 공격으로 자주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에 웹 소스를 확인하여 인가되지 않았거나, 잘 모르는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여야 하겠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