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56543961
· 쪽수 : 339쪽
· 출판일 : 2023-12-31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 내용 5
1)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에 관한 이론적 배경 분석 5
2) 지역사회 청소년 관련 부처의 네트워크 사업 분석 5
3)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시범사업 분석 5
4)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사업의 활성화 방안 마련 5
3. 연구 방법 6
1) 문헌 연구 6
2) 전문가 자문회의 6
3) 설문조사 7
4) 면접조사(FGI) 7
5) 시범사업 지역 사례 조사 8
6) 기타 연구 방법 8
4. 연구 추진 체계 9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개념 13
2.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구조적 측면 14
1) 지역사회 네트워크 유형 15
2) 지역사회 네트워크 범위 18
3) 지역사회 네트워크 자원의 유형 19
4)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22
5) 지역사회 네트워크 주관 운영 주체와 중간지원 조직 24
3.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기능적 측면 31
1) 지역사회 네트워크 운영 원리
- 협력적 거버넌스(collaborative governance) - 31
2) 지역사회 네트워크 운영 방식 33
3) 지역사회 네트워크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35
4.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법·제도적 측면 37
1) 법체계 및 법령의 입법 절차 37
2) 자치법규의 입법 절차 40
3) 청소년 관련 법 42
Ⅲ.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관련 네트워크 사업
1. 분석 개요 49
2. 분석 결과 51
1) 중앙 부처 주도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 51
2) 지역 주도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 67
3) 민간 주도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 71
3. 소결 및 시사점 77
Ⅳ.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사례 분석
-시범사업 지역을 중심으로-
1. 사례 분석 개요 83
1) 사례지역 선정 절차 및 현황 83
2) 분석 방법 및 질문 내용 85
3) 인터뷰 대상 86
2. 지역별 인터뷰 분석 결과 88
1) 전라북도 완주군 88
2) 전라남도 곡성군 109
3) 경기도 부천시 130
4) 대구광역시 수성구 151
5)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166
6) 경기도 성남시 182
Ⅴ.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사업 활성화를 위한 양적·질적 조사
1. 조사 개요 197
1)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197
2) 조사 방법 및 절차 197
3) 조사 내용 199
2. 양적 조사 결과 202
1) 지역사회 내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사업추진 정도 ? 사업추진 전/후 202
2)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을 주도해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관 206
3)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초기의 형태 214
4)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효율적 구성단위 218
5) 협의체 형태의 중간지원조직 운영의 효과성 220
6) 중간지원조직의 운영 형태에 따른 각 항목별 가능성의 정도 224
7)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의 효율적·발전적 운영을 위한 각 항목별 중요성 238
8) 중간지원조직(청소년성장지원협의체)의 역할 중 각 항목별 중요도 240
9) 관련 법령 및 자치법규의 실효성과 제·개정의 필요성 242
10)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 참여 청소년의 전반적인 만족도 244
11)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 참여 청소년의 경험 246
12)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 참여 청소년의 변화 248
13)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 활성화를 위한 중요도 250
3. 질적 조사 결과 254
1)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사업의 활성화 정도 254
2)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사업의 운영 주체 256
3)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범위 258
4)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중간지원조직의 운영형태 259
5)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의 운영방식 261
6)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265
7)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사업 참여 만족도와 인식의 변화 266
8)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사업 참여에 따른 변화 경험 267
9) 지역사회 청소년 성장지원 네트워크 사업의 활성화 방안 268
4. 소결 및 시사점 273
1) 양적 조사 273
2) 질적 조사 277
Ⅵ. 정책제언
1. 정책과제 개요 283
1) 정책과제 도출 과정 283
2) 정책과제 및 세부 추진과제 285
2. 정책과제 및 제언 286
참고문헌 307
부 록 323
1. 성인 참여자용 설문지 323
2. 청소년 참여자용 설문지 332
Abstract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