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고등-문제집 > 국어영역
· ISBN : 9791157957354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4-05-20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PART 1. 시
시를 감상하는 방법 | 작품 감상법 | 시적 화자 | 시적 화자의 정서 | 시어의 함축적 의미 | 감정이입 vs 객관적 상관물 | 심상(이미지), 감각화 | 심상(이미지)의 종류 | 상승이미지 vs 하강이미지 | 색채대비 | 복합감각 vs 공감각 | 상징 | 시상 | 시상전개방식 | 통사구조의 반복/변주 | 시상의 극적전환 | 변주/변용 | 시의 분위기 | 작가의 태도 | 미적 범주 | 수사법 | 자연친화 | 시간의 역전 | 환기 | 현학적 | 언어유희 | 모순어법 | 시적허용 | 강호가도 | 월령체가 | 모티프 | 음성상징 | 낯설게 하기 | 어조
PART 2. 소설
소설 작품 감상법 | 입체적 인물 vs 평면적 인물 | 말하기 vs 보여주기 | 내적 갈등 vs 외적 갈등 | 개연성 | 의식의 흐름 기법 | 시점과 거리 | 전기적(傳奇的) vs 전기적(傳記的) | 서술상 특징 | 해학과 풍자 | 옴니버스 | 염세적 | 자조적 | 복선 | 가전체 | 성장소설 | 군담소설 | 방백 | 서사적 구조 | 희화화 | 우의적 | 액자 소설
PART 3. 비문학(독서)
논지 전개 방식 | 추론 | 논리적 전제 | 통시적, 공시적 | 유추 | 변증법 | 자의성 | 유기적 | 내연 / 외연 | 요지
부록
고사성어(주제별) | 기본 속담 | 독해 필수 어휘
리뷰
책속에서
세 번째는 내가 가장 아끼고 사랑하는 방법이야. 이건 인강이고 현강이고 누구도 하는 인간이 없다. 왜냐하면, 시간을 투자해야하는 삽질이 필요하거든. 무슨 방법인지 궁금하지? 그것은 시 작품에 쓰여져 있는 글자 그대로 쭉 읽어나가면서 한 연 한 연의 (이거 무슨 욕 같은데........) 핵심내용을 독해하는 거야. 왜냐면 시도 한 편의 글이니까 좀 어려워서 그렇지 충분히 독해할 수 있어. 쌤은 현대시 수업시간에 이 방법을 95%이상 사용해. 어때 확실한 방법이지.
핵심내용이 뭔지 잘 모를 때는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위주로 독해한다. 꾸며주는 말은 독해할 필요없고..... 어때? 지금까지 정리한 작품 감상법이 어려운 것은 아니지?
- ‘시를 감상하는 방법’ 중에서
역전이라는 말 알지? 한국 축구는 늘 역전 패? ‘역전’은 말 그대로 해석하면 거꾸로 회전한다는 의미야. 따라서 시간의 역전이란 시간의 흐름이 거꾸로 되어 있다는 뜻이지. 시간은 ‘과거→현재→미래’의 순서로 흐르기 마련이잖아. 그런데 이 순서가 뒤죽박죽 되어 시간의 흐름이 ‘현재→과거→현재’로 제시된다면 시간의 역전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어.
- ‘시간의 역전’ 중에서
입체적 인물이란 작품 안에서 그려진 성격 이나 행동의 동기가 복잡하고 미묘한 인물로서, 한 작품내의 성격이 변화·발전하는 경우가 많단다. 소설 소나기 읽어봤나? 그 주인공에 처음에는 소녀를 보고 부끄러워서 아무 말도 못하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다가, 나중에 소녀와 둘이 눈이 맞아서 아주 그냥 북치고 장구치고 다 하는 그런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잖니! 이런게 입체적 인물이지!
이에 반해 평면적 인물이란 작품의 처음부터 끝까지, 행동이나 태도의 변화 없이 동일한 모습이나 특성을 드러내는 인물이란다. 반대로 평면적 인물의 예로는 흥부전의 흥부를 들 수 있지. 흥부 봐라. 이야기 전개 내내 착하잖니! 그냥 형수한테 뺨을 맞아도 밥풀이 볼에 붙었다고 헤벌레~ 나중에 박을 자르고 나니 그 안에 보물을 보고도 헤벌레~ 이런게 평면적 인물이지!
- ‘입체적 인물 vs 평면적 인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