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기계공학 > 자동차공학
· ISBN : 9791158139346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24-02-02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자동차 엔진
01 엔진 기초사항
1.1. 열기관(heat engine)
1.2. 4행정 사이클 엔진
1.3. 2행정 사이클 엔진
1.4. 행정과 내경에 의한 분류
1.5. 실린더 수와 배열에 의한 분류
1.6. 엔진의 성능과 효율
02 엔진 본체
2.1. 실린더헤드(cylinder head)
2.2. 연소실(combustion chamber)
2.3. 실린더블록(cylinder block)
2.4. 실린더헤드 개스킷(gasket)
2.5. 피스톤 및 커넥팅로드 조립체
2.6. 크랭크축과 베어링
2.7. 밸브기구
2.8. 밸브 작동기구
2.9. 밸브개폐시기
2.10. 밸브타이밍 가변제어 타이밍장치(VVTS: variable valve timing system)
2.11. CVVD(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03 냉각장치(cooling system)
3.1. 냉각장치의 분류
3.2. 냉각장치의 구성
3.3. 입⋅출구 제어방식
3.4. 배기열 회수장치(EHRS: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3.5. 통합 열관리시스템(ITMS: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3.6. 엔진의 과열 및 과냉원인
04 윤활장치(lubrication system)
4.1. 윤활유
4.2. 윤활장치의 구성품
05 흡기 및 배기장치
5.1. 흡기계통
5.2. 배기계통
5.3. 과급장치(charger)
06 자동차 배출가스와 대책
6.1. 배출가스의 개요
6.2. 배기가스(exhaust gas)
6.3. 배기가스 발생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6.4. 배출가스 제어시스템
Chapter 02 전자제어 엔진(Electronic Control Engine)
01 가솔린 전자제어
1.1. 가솔린 전자제어의 개요
1.2. 전자제어 엔진의 특징
1.3. 가솔린 전자제어 엔진시스템
1.4. 가솔린엔진 제어용 센서
1.5. 가솔린 전자제어 연료장치
02 GDI(gasoline direct injection)엔진
2.1. GDI방식의 장⋅단점
2.2. GDI시스템의 적용기술
2.3. GDI엔진의 희박연소과정
2.4. GDI엔진의 제어(연비 및 성능)
2.5. GDI시스템의 연료공급회로
03 LPI(liquid petroleum injection)엔진
3.1. LPI 연료 공급장치의 구성과 작용
3.2. LPI장치의 전자제어 입력요소
3.3. LPI장치의 전자제어 출력요소
04 천연 가스자동차(NGV: natural gas vehicle)
4.1. 천연 가스자동차의 종류
4.2. CNG 연료장치
05 CRDI(common rail direct injection) 연료분사장치
5.1. CRDI 연료분사장치의 개요
5.2. 커먼레일 연료분사장치 엔진의 연소과정
5.3. 커먼레일 연료분사장치의 구성
5.4. 커먼레일 연료분사장치 엔진의 전자제어
5.5.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Chapter 03 자동차 전기 전자(Automotive Electric ․ Electronic)
01 전기⋅전자 기초이론
1.1. 전기의 성질
1.2. 전기 기초이론
1.3. 전기의 기본법칙
1.4. 반도체(semiconductor)
02 축전지(battery)
2.1. 축전지의 개요
2.2. 납산축전지의 구조와 작용
2.3. 납산축전지의 여러 가지 특성
2.4. MF축전지(maintenance free battery)
2.5. AGM배터리(absorbent glass mat battery)
2.6. 배터리센서(IBS: intelligent battery sensor)
2.7. 고전압 배터리
03 시동장치(starting system)
3.1. 시동장치의 개요
3.2. 기동전동기의 원리
3.3. 기동전동기의 종류와 특징
3.4. 기동전동기의 구조와 기능
04 점화장치(ignition system)
4.1. 점화장치의 개요
4.2. 고압 발생원리
4.3. 컴퓨터 제어방식의 점화장치
05 충전장치(charging system)
5.1. 발전기(alternator)의 원리
5.2. 교류발전기의 구조
5.3. 시동발전기(HSG: hybrid starter generator)
06 차체 전기장치
6.1. 자동차용 전선
6.2. 등화장치
6.3. 난방장치 및 냉방장치
6.4. 윈드 실드 와이퍼(wind shield wiper: 창닦이기)
6.5. 경음기
Chapter 04 자동차 섀시(Automotive Chassis)
01 동력전달장치
1.1. 클러치(clutch)
1.2. 수동변속기(MT: manual transmission)
1.3. 자동변속기(AT: automatic transmission)
1.4. 무단변속기(CV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1.5. 드라이브라인, 뒷차축 어셈블리 및 바퀴
1.6. 4WD(4wheel drive)
02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2.1.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의 개요
2.2. 현가장치용 스프링
2.3. 쇽업소버(shock absorber)
2.4.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2.5. 현가방식
2.6. 공기 현가장치
2.7. 자동차 진동 및 승차감각
2.8. 전자제어 현가장치(ECS)
03 조향장치(steering system)
3.1. 조향장치의 원리
3.2. 조향장치의 구조와 작용
3.3. 동력 조향장치(power steering system)
3.4.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ECPS: electronic control power steering)
3.5. 전동형 동력 조향장치
3.6. 4WS(4-wheel steering)
04 휠 얼라인먼트(wheel alignment)
4.1. 휠 얼라인먼트(wheel alignment)의 개요
4.2. 휠 얼라인먼트 요소의 정의와 필요성
05 제동장치(brake system)
5.1. 제동장치(brake system)의 개요
5.2. 유압 브레이크
5.3. 브레이크슈와 드럼의 조합
5.4. 브레이크 오일
5.5.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
5.6. 배력 브레이크 하이드로 백(hydro-vac)
5.7. 공기 브레이크
5.8. ABS(anti lock brake system)
5.9. TCS(traction control system)
5.10. 차체 자세제어장치(VDC: vehicle dynamic control)
5.11. iEB(integrated electronic brake: 통합형 전동 브레이크)
06 SRS(supplement restraint system)에어백
6.1. SRS 에어백의 개요
6.2. SRSCM(보조 안전장치 제어모듈)
6.3. 에어백(air bag)의 구조
Chapter 05 친환경자동차
01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1.1.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개요
1.2.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종류
1.3.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시스템
1.4.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구성
1.5.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주행모드
1.6. 주행모드별 계기판의 작동
1.7. HEV 냉각시스템
1.8.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엔진특징
02 전기자동차(EV:electric vehicle)
2.1. 전기자동차의 장⋅단점
2.2. 전기자동차 전지
2.3. 전기자동차 전지의 충전
2.4. 전기자동차의 주요부품
03 수소연료 전지자동차(FCEV: fuel cell electronic vehicle)
3.1. 수소가스 제조기술
3.2. 연료전지의 개요
3.3. 수소연료 전지자동차 구조의 특징 및 구성부품의 레이아웃
3.4. 수소연료 전기차 시스템
3.5. 전력 변환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