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전자책 > 역사 > 중국사 > 중국중세사(위진남북조~당,송)
· ISBN : 9791158260835
· 출판일 : 2019-10-31
목차
|목차
◆ 들어가면서 : 번득이는 삶의 혜안과 만나다
◆ 목차
◆ 화보
◆ 일러두기
제1장 《자치통감》 탄생의 전야
· 읽히는 역사책이 필요한 상황
· 영종이 짊어지고 있던 무거운 짐
· 읽히는 역사가 필요했던 시대
· 완벽한 역사서의 저작
· 길고 긴 《자치통감》 편찬 과정
제2장 역사적 격변기에 잉태한 《자치통감》
· 《자치통감》의 편찬을 지원한 황제들
· 《자치통감》을 만든 주역 사마광
· 사마광의 충실한 조력자들
· 《자치통감》을 통한 현실 참여
· 왕안석이 만든 새로운 제도
· 왕안석 대 사마광
· 남북으로 갈린 북송의 사대부들
제3장 신종·왕안석·사마광의 삼각관계
· 사마광과 왕안석을 도운 사람들
· 천 년 전 중국 지역 갈등의 배경
· 왕안석과 사마광의 철학적 차이
· 공자와 맹자, 그리고 왕안석과 사마광
· 사마광과 왕안석의 현실관과 철학
· 왕안석과 사마광 사이에 선 신종
· 황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자치통감》
· 법이 아니라 사람이 문제다!
제4장 《자치통감》 기술의 원칙들
· 《자치통감》, 어디부터 쓸 것인가?
· 시간은 무엇을 기준으로 볼 것인가?
· 《자치통감》에서 사용한 호칭
· 신분 변화에 따른 호칭의 변화
· 열국시기의 호칭
· 그 외의 호칭들
제5장 《자치통감》의 구성과 사론
· 《자치통감》의 일반적인 구성
·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 다양한 역사가들의 시각
제6장 역사서의 새 지평을 연 사마광
· 경직된 편년기술의 극복
· 사마광이 역사를 쓰려는 이유
· 읽히는 역사로 추구한 목표
· 유교 이외의 종교에 대한 비판
제7장 《자치통감》을 즐겨 읽는 사람들
· 역사 속에서 치도를 찾는 신종
· 판각 후에 제왕학이 된 《자치통감》
· 《자치통감》을 읽고 쓴 사람들
· 《자치통감》과 관련된 송대의 저작
제8장 경전과 역사서 사이에 선 《자치통감》
· 정통성을 강조한 《자치통감강목》
· 이념으로 역사를 보려한 주자학
· 《통감강목》을 경으로 이해한 주자학도
· 금과 원의 《자치통감》에 대한 이해
· 명·청시대의 통감학
· 《자치통감》, 그 영원한 인생교과서
제9장 《자치통감》의 전래와 김부식
· 삼국시대 중국도서의 전래와 전파
· 고려와 송의 왕래
· 도서 간행에 힘쓴 문종
· 김부식은 《자치통감》을 보았을까?
· 《자치통감》이 고려로 전래된 시기
· 《삼국사기》와 《자치통감》의 이후
제10장 치세를 이룩한 세종과 《자치통감》
· 김부식 이후의 《자치통감》
· 《자치통감훈의》를 편찬하는 세종
· 조선 전기의 역사학 정신
제11장 통감필법으로 우리 역사를
· 《자치통감》을 중시한 세조
· 양란 이전의 《자치통감》에 대한 이해
· 《동국통감》의 편찬
· 《동국통감》의 구성
【여론(餘論)】 양난 이후 통감학
부록 《자치통감》을 베껴 쓴 《삼국사기》
· 《자치통감》과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비교
· 사서 찬자의 입장과 서술태도
· 철저하지 못한 고구려 입장의 표현
· 《삼국사기》가 《자치통감》을 베껴 온 정도
· 큰 사건을 줄인 기록의 예
· 《삼국사기》의 사학사적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