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59056277
· 쪽수 : 391쪽
· 출판일 : 2021-09-10
책 소개
목차
차례
책머리에 3
1부 백석 시의 근대성과 문체
백석 시의 낭만성과 동양적 상상력-유토피아 의식을 중심으로 15
1. 낭만성과 유토피아 의식 15
2. 창작 의식의 낭만성과 ‘당나귀’의 의미 19
3. 고전의 인용과 은둔의 상상력 26
4. 자의식의 공간으로서 ‘가난’의 의미 35
5. 모계적 공동체로서의 유토피아 42
6. 동양적 상상력의 근대적 작동 방식 51
백석 시에 쓰인 ‘-는 것이다’의 문체적 효과 54
1. 문체론적 연구 방법의 효용성 54
2. ‘-는 것이다’의 활용과 기능 57
3. ‘-는 것이다’의 변형들과 그 기능 73
4. ‘-는 것이다’의 문체적 효과 78
백석 시에 나타난 문화의 충돌과 습합-여행․음식․종교를 중심으로 81
1. 이질적인 문화의 공존 81
2. 여행의 체험을 습득하는 방식 84
3. 습득과 환기의 매개로서의 음식 94
4. 불교와 무속의 습합 100
5. 의인화의 전략과 공동체적 유대의 강화 106
6. 세계와 대면하는 방식 108
백석의 기행시편에 나타난 장소의 심상지리 110
1. 백석의 기행시편과 심상지리 110
2. 이향 체험과 기행시편의 상관관계 115
3. ‘있어야 할’ 서민적 생활 체험의 장소로서 ‘거리’와 ‘장’-‘남행시초’ 연작시 119
4. 쓸쓸히 사라져가는 북방의 정서를 드러내는 공간으로서 ‘북관’과 산-‘함주시초’․‘서행시초’ 연작시 129
5. 자기 극복과 연대의 장소로서 이국의 ‘방’과 ‘거리’-만주시편 139
6. 식민지 조선의 다른 표상 146
2부 백석의 동화시와 시인의 표상
마르샤크의 동화시집 번역을 통해 본 집게네 네 형제 창작의 의미 151
1. 동화시의 번역과 창작 151
2. 동화시집 번역 전후의 아동문학에 대한 인식 153
3. 동화시집과 집게네 네 형제의 구성 및 체제 162
4. 종결어미 ‘-네’의 활용과 그 의미 165
5. 동화시집의 번역이 동화시 창작에 미친 영향 181
백석의 동화시 창작과 음악성 실현의 의미 184
1. 동화시와 음악성 184
2. 고리키와 마르샤크의 아동문학관兒童文學觀과 음악성 187
3. 백석의 아동문학비평에 사용된 ‘률동’과 음악성 195
4. 시어의 음악성 실현과 개성적인 의성어․의태어의 활용 204
5. 음악성 실현의 의미 217
백석 시에 나타난 ‘마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219
1. 현대시와 ‘마음’ 219
2. ‘마음’의 출현 빈도와 환경 223
3. 분단 이전 시의 ‘마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228
4. 분단 이후 시의 ‘마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242
5. ‘마음’의 상태를 표현하는 형용사들의 활용과 의미 변화 249
6. 백석 시에 나타난 ‘마음’의 의미 254
백석의 시와 산문에 나타난 ‘아이-시인’의 표상 256
1. ‘아이-시인’의 표상 256
2. 미래의 시인으로서 아이의 품성 259
3. 고독과 순수의 표상으로서 시인의 천명天命 266
4. 아동문학의 시성詩性과 ‘아이-시인’의 결합체로서 동화시의 선택 281
5. ‘아이-시인’의 공동운명체 294
3부 백석 시 연구 현황 검토와 시사적 의의
백석 시 전집 출간 및 어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297
1. 백석 시 전집 출간 현황 297
2. 어석 연구의 현황과 쟁점 315
3. 앞으로의 과제 322
1930년대 후반기 시에 나타난 ‘가난’의 의미 326
1. ‘가난’의 시적 계보 326
2. 자발적 가난의 도덕적 염결성-백석의 시 328
3. 부끄러움과 죄의식의 내면 공간으로서의 가난-이용악의 시 342
4. 1930년대 후반기 시와 ‘가난’의 의미 351
어석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연 백석 시어 분류 사전-백석 시의 물명고-백석 시어 분류 사전 서평 354
1. 이 책의 특징 및 의의 354
2. 기존 시어 풀이의 결정판 357
3. 해소되지 않은 의문들 363
4. 남은 과제 369
참고문헌 373
수록 글 발표 지면 380
찾아보기 3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