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재미있는 행정학

재미있는 행정학

(제3판)

박경효 (지은이)
윌비스(미래와사람 한림법학원)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6개 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재미있는 행정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재미있는 행정학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행정법 > 7/9급 교재
· ISBN : 9791159620553
· 쪽수 : 687쪽
· 출판일 : 2016-05-16

책 소개

제3판에서는 첫째, 정부3.0, 정부조직개편과 협업행정, 규제정책, 최근의 예산이론, 국가부채와 재정준칙 등 최근의 행정이슈들을 새로이 반영하였다. 이외에도 인사교류, 승진, 정책옹호연합모형, 딜레마이론, 자원의존이론 등 여러 주제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었다.

목차



제1편
행정(학)의 기초적 이해


제1장 행정의 의의와 성격 3
1. 행정과 행정학 / 3
2. 행정환경 / 5
3. 행정의 역할 및 기능 / 9
4. 요약: 행정체제 및 그 구성요소 / 12
제2장 행정학의 정체성 13
1. 정치, 행정, 경영의 관계 / 13
2. 행정학에 대한 시각 / 18
3. 행정학의 정체성에 관한 논쟁 / 23
제3장 행정이념 26
1. 행정이념의 개념 및 연구동향 / 26
2. 주요 행정이념의 내용 / 27
3. 공익 / 33
4. 공공성 / 35
5. 공정성 / 41
■ 참고문헌 / 43




제2편
행정이론의 변천


제1장 행정이론의 의미와 분류 49
1. 행정이론의 의미 / 49
2. 행정이론의 시대적 분류 / 49
제2장 고전적 행정이론 52
1. 행정학 태동 이전의 시대적 상황 / 52
2. Wilson의 정치행정관 / 53
3.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 / 56
4. Weber의 관료제론 / 58
5. Gulick의 행정관리학파 / 65
6. 고전적 행정이론의 특징 및 한계 / 66

제3장 신고전적 행정이론 67
1. 정치행정일원론 / 67
2. 초기 인간관계론 / 67
3. 관료제 역기능론 / 71
4. Simon의 행정행태론 / 74
5. 신고전적 행정이론의 특징 및 한계 / 77
제4장 전환기적 행정이론 78
1. 정치학으로서의 행정학 / 78
2. 발전적 관료제론 / 80
3. 행정과학으로서의 행정학 / 83
제5장 현대적 행정이론 84
1. 신행정학 / 84
2. 공공선택론적 접근과 민주행정패러다임 / 86
3. 정책연구 / 93
4. 포스트모더니즘 행정이론 / 93
5. 신제도주의 / 100
■ 참고문헌 / 110




제3편
정부와 시장


제1장 정부와 시장에 관한 기초 이론 117
1. 고전적 논쟁: Smith vs. Marx / 117
2. 자유와 기획: Hayek vs. Finer / 118
3.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 119
제2장 신공공관리 125
1. 신공공관리의 등장배경과 의미 / 125
2. 신공공관리의 이론적 배경 / 126
3. 신공공관리의 주요 내용 / 131
4. 신공공관리에 대한 평가 / 135
제3장 우리나라의 신공공관리적 정부개혁 139
1. 신공공관리적 정부개혁의 전개과정과 내용 / 139
2. 신공공관리적 정부개혁의 효과와 한계 / 142
3. 향후의 전망과 과제 / 146
제4장 성과관리와 전략적 기획 149
1. 성과관리의 개념과 특성 / 149
2. 성과관리의 유용성과 한계 / 151
3. 성과관리도구로서의 균형성과표 / 154
4. 전략적 기획 / 159
제5장 고객지향적 행정 165
1. 고객지향적 행정의 개념 및 의의 / 165
2. 고객지향적 행정에 대한 비판 / 165
3. 고객지향적 행정을 위한 개선방안 / 167
4. 고객지향적 행정의 사례 / 168
제6장 공공서비스의 민영화 171
1. 공공서비스 민영화의 개념, 의의 및 유형 / 171
2. 계약(혹은 민간위탁) / 172
3. 바우처제도 / 177
4. 민간투자: BTO와 BTL을 중심으로 / 182
5. 공기업의 민영화 / 184
제7장 정부의 규모: 작은 정부와 큰 정부 191
1. 작은 정부의 개념 및 대두배경 / 191
2. 정부규모에 관한 이론적 고찰 / 192
3. 작은 정부의 한국적 의미 / 194
4. 보편적 서비스와 정부규모 / 197
■ 참고문헌 / 200

제4편
정부와 시민사회


제1장 뉴거버넌스의 이론과 실제 211
1. 뉴거버넌스에 관한 이론적 고찰 / 211
2. 우리나라에서의 뉴거버넌스: myth or reality? / 218
제2장 시민참여와 비정부조직 228
1. 시민참여 / 228
2. 시민참여의 사례: 공동생산 / 231
3. 비정부조직(NGO) / 233
제3장 거버넌스 변화의 정책분야별 사례 239
1. 환경규제와 거버넌스: 규제거버넌스 / 239
2. 전자정부와 정부3.0: 전자거버넌스 / 246
3. 공유재와 거버넌스 / 251
제4장 신공공서비스론 256
1. 신공공서비스론의 개념 및 주요 내용 / 256
2. 신공공서비스론의 유용성과 한계 / 260
제5장 정부신뢰와 사회자본 262
1. 정부신뢰 / 262
2. 사회자본 / 268
■ 참고문헌 / 273

제5편
행정책임성과 행정문화


제1장 행정책임성과 통제 281
1. 행정책임성 / 281
2. 행정이론과 책임성 유형 / 286
제2장 행정부패와 행정윤리 294
1. 행정부패 / 294
2. 행정윤리 / 307
제3장 행정문화 312
1. 우리나라에서의 행정문화연구 / 312
2. 정부개혁과 행정문화 / 314
3. 신공공관리와 한국행정문화 / 315
4. 한국행정문화의 바람직한 이미지 / 317
■ 참고문헌 / 319

제6편
정부관료제와 정책


제1장 정부관료제의 다면성 325
1. 정부관료제의 의의 및 개념 / 325
2. 정부관료제에 대한 접근방법 / 326
제2장 정부관료제의 이론적 고찰 332
1. 관리적 접근방법 / 332
2. 정치적 접근방법 / 338
3. 경제적 접근방법 / 345
제3장 정부관료제에 대한 비판과 변론 351
1. 정부관료제에 대한 비판 / 351
2. 정부관료제를 위한 변론 / 352
제4장 정부관료제와 정책과정 357
1. 정책의제설정 / 357
2. 정책결정 / 360
3. 정책집행 / 370
4. 정책평가 / 377
제5장 공공갈등 381
1. 공공갈등의 개념 및 의의 / 381
2. 공공갈등의 원인과 해결방식: 이론적 검토 / 382
3. 공공기관의 갈등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의 주요 내용 / 386
4. 우리나라 공공갈등의 실태와 효과적 관리전략 / 389
제6장 정책수단 395
1. 정책수단의 개념 및 의의 / 395
2. 정책수단의 유형과 평가기준 / 398
제7장 규제정책 402
1. 정부규제에 관한 이론적 논의 / 402
2. 한국정부의 규제개혁 / 410
제8장 시차이론과 딜레마이론 415
1. 시차이론 / 415
2. 딜레마이론 / 419
■ 참고문헌 / 421

제7편
조 직


제1장 조직의 개념과 성격 429
1. 조직의 다면성 / 429
2. 조직의 개념 및 유형 / 430
3. 조직목표 / 432
제2장 조직구조와 환경 434
1. 조직구조의 특성과 고전적 조직이론 / 434
2. 조직과 환경의 관계에 관한 이론 / 436
3. 고전적 조직구조(관료제)에 대한 대안적 조직구조 / 443
제3장 조직의 개인과 집단 457
1. 동기부여 / 457
2. 조직시민행동 / 461
3. 조직몰입 / 463
4. 리더십 / 464
제4장 조직과 권력 471
1. 조직에서의 권력 / 471
2. 갈등관리 / 473
제5장 조직과 문화 479
1. 조직문화 / 479
2. 사회문화와 조직관리 / 482
제6장 조직과 혁신 484
1. 변화관리 / 484
2. 지식관리 / 491
3. 조직혁신에 대한 저항관리 / 493
제7장 정부조직개편과 협업행정 495
1. 정부조직개편 / 495
2. 정부조직간 칸막이 현상 / 499
3. 협업행정 / 502
■ 참고문헌 / 507

제8편
인 사


제1장 인사행정의 가치적 접근 515
1. 인사행정의 가치적 접근 / 515
2. 가치적 관점에서의 인사제도 변천 / 517
3. 가치적 관점에서 본 최근 한국인사행정의 변화 / 518
제2장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519
1. 엽관제, 실적제, 그리고 직업공무원제 / 519
2. 공직분류체계: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527
3. 중앙인사행정기관 / 530
4. 대표관료제와 적극적 인사조치 / 532
제3장 인적자원의 전략적 관리 537
1.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 537
2. 직무분석 / 540
3. 인력기획 / 541
4. 고위공무원단제도 / 543
5. 총액인건비제도 / 546
제4장 공무원의 임용 552
1. 공무원의 임용 / 552
2. 특별채용제도와 경력경쟁채용시험(민간경력자채용제도) / 553
3. 개방형직위제도 / 554
4. 공무원의 배치전환과 보직관리 / 557
5. 경력개발제도 / 562
6. 승진 / 563
제5장 공무원의 교육훈련 566
1. 공무원 교육훈련의 개념 및 의의 / 566
2. 액션러닝 / 566
3.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역량평가제도 / 568
제6장 공무원의 평가와 보상 572
1. 근무성적평정제도 / 572
2. 공무원의 보수체계 / 576
3. 성과급제도 / 577
4. 다면평가제 / 584
제7장 공무원의 개인적 권리와 삶의 질 587
1.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 587
2. 공무원단체 / 591
3. 공무원의 신분보장 / 594
4. 퇴직공직자의 취업제한 / 597
5. 공무원의 삶의 질 / 600
■ 참고문헌 / 605

제9편
재 무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적 이해 611
1. 예산기능과 전통적 예산제도 / 611
2. 예산의 원칙 / 612
3. 예산의 종류 / 615
4. 재정적자, 국가부채, 그리고 재정준칙 / 625
제2장 예산과정의 주요 이슈 631
1. 예산결정참여자의 역할과 행태 / 631
2. 예산편성과정 / 633
3. 예비타당성조사 / 634
4. 예산집행에서의 신축성 확보 / 636
5. 주민참여예산제도 / 637
제3장 예산이론 641
1. 전통적 예산이론 / 641
2. 최근의 주요 예산이론 / 644
제4장 예산제도의 개혁 650
1. 재정패러다임의 전환과 새로운 예산규범 / 650
2. 전통적 예산제도의 한계와 예산제도 개혁 / 653
3. 국가재정운용계획 / 656
4. 총액배분자율편성(Top-down) 예산제도 / 659
5. 성과관리예산제도 / 664
6. 디지털 예산회계시스템 / 670
7. 프로그램예산제도 / 671
8. 복식부기?발생주의 회계제도 / 674
■ 참고문헌 / 679

부 록
찾아보기
/ 685

그림, 표, 사례 목차

[그림 1-1] 행정의 흐름 5
[그림 1-2] 행정체제 및 그 구성요소 11

[표 1-1] 행정과 경영의 차이점 18
[표 1-2] 공공성의 구성요소 36
[표 2-1] 행정이론의 시대적 분류 50
[표 2-2] Riggs의 일반체제모형 79
[표 2-3] 사회과학에 대한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접근방법 95
[표 2-4] 신제도주의 세 분파의 특징 비교 109
[표 3-1]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개혁 비교 141
[표 3-2] 성과 관련 개념들의 예시 151
[표 3-3] BSC의 주요 구성요소와 적용사례: 인천지하철공사 155
[표 3-4] BSC의 4대 관점 156
[표 3-5] 고객모형 vs. 주인모형 166
[표 3-6] BTO와 BTL의 비교 183
[표 3-7] 우리나라 공공기관 현황: 2016년 현재 185
[표 4-1] Peters의 미래국정관리 모형 212
[표 4-2] 전통적 시민참여와 뉴거버넌스에서의 시민참여 229
[표 4-3] 정부와 NGO의 관계 유형 236
[표 4-4] 정부 3.0을 위한 ‘3대 전략 10대 추진과제’ 249
[표 4-5] 정부3.0의 특성 250
[표 4-6] 공유재 관리방식의 비교 254
[표 4-7] 신공공관리와 신공공서비스론의 비교 259
[표 5-1] 책임성의 유형 286
[표 5-2] 책임성 유형별 주요 특징 288
[표 5-3] 행정이론과 책임성 288
[표 5-4] 역대 정부의 반부패 노력 296
[표 5-5] 청탁금지법의 주요 내용 304
[표 5-6] 이해충돌 방지의 주요 내용 306
[표 5-7] 전통적 한국행정문화의 특성 312
[표 6-1] 정부관료제에 대한 세 가지 접근방법 329
[표 6-2] Hummel의 관료제 비판 352
[표 6-3] Allison의 세 가지 모형 비교 364
[표 6-4] 하위정부모형, 정책공동체, 이슈네트워크간의 비교 369
[표 6-5] 정책집행의 결정요인 371
[표 6-6] 하향식 접근방법과 상향식 접근방법 372
[표 6-7]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 378
[표 6-8] 정책평가의 문제점 378
[표 6-9] 참여적 의사결정기법의 주요 내용 386
[표 6-10] 정책수단의 거버넌스적 의미 397
[표 6-11] 정책수단별 개념 및 내용 399
[표 6-12] 정책수단의 유형: 강제성과 직접성을 중심으로 400
[표 6-13] 규제의 네 가지 정치상황 408
[표 7-1] 조직의 주요 접근 및 이슈 429
[표 7-2] 계층제, 시장, 네트워크 조직의 특성 비교 445
[표 7-3] 성격별 행정위원회 사례 450
[표 7-4] 일반행정기관과 책임운영기관의 성격 비교 454
[표 7-5] 리더십의 개념 464
[표 7-6] 성공적 행정가의 리더십 470
[표 7-7] Sethia & Glinow의 조직문화 유형 480
[표 7-8] 지식관리의 성공요인 492
[표 7-9] 변화단계별 저항요인과 극복방안 494
[표 7-10] 기능별 관료행정과 협업행정 비교 504
[표 7-11] 협업행정의 성공조건 505
[표 8-1]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특징 527
[표 8-2]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장?단점 529
[표 8-3] 기존의 인적자원관리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의 비교 538
[표 8-4] 정부 인력기획의 과정 542
[표 8-5] 총액인건비 대상경비 548
[표 8-6] 총액인건비제하에서의 인건비 분류체계 548
[표 8-7] 총액인건비제 시행 전후 비교 548
[표 8-8] 임용의 유형 552
[표 8-9]2010년 5급 특채와 2011년 민간경력자 5급 일괄채용 비교 554
[표 8-10] 승진의 기준 563
[표 8-11] 전통적 교육방법과 액션러닝의 비교 567
[표 8-12] 근무성적평가의 평가항목 574
[표 8-13] 공무원노조법의 주요 내용 593
[표 8-14] 유연근무제도의 목표 602
[표 9-1] 예산기능과 예산제도 611
[표 9-2] 국가부채의 유형과 연도별 규모 627
[표 9-3] 예산행태의 유형 632
[표 9-4] 예비타당성조사와 타당성조사의 내용 비교 635
[표 9-5] 총체주의와 점증주의 특성 비교 642
[표 9-6] 예산편성절차의 비교 659
[표 9-7] 우리나라의 재정성과관리제도 666
[표 9-8]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의 평가항목 및 질문: 예시 668

[사례] 우리나라의 환경성적표 239
[사례] 고사에 나타난 정부신뢰의 중요성 262
[사례] 피터의 원리: 사례분석 334
[사례] 청계천 복원사업: 이슈네트워크의 사례 369
[사례]언론기사를 통해 본 인사혁신처의 성과평가 및 보상 개선방안 576
[사례] 다면평가제, 기로에 서다. 585
[사례] 지방선거에 흔들리는 공직사회 590
[사례] 서울시의 공무원 퇴출제 595
[사례] 대법 공직자윤리위, 퇴직 법원장 대형 로펌 행 첫 허가 599
[사례] 국가재정법(제38조) 예비타당성조사 관련 조항 634
[사례] 겉도는 프로그램 예산제도 673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